전조선축구선수권대회

칫통 (토론 | 기여)님의 2011년 7월 14일 (목) 19:31 판 (→‎2회 (1936년))

전조선축구선수권대회(全朝鮮蹴球選手權大會)는 1935년~1940년에 조선축구협회의 주최로 열렸던 축구대회이다. 주로 4~5월경 열려 10~11월에 열렸던 전조선축구대회와 함께 일제강점기 양대 축구대회였으나, 일본축구협회가 주최하는 전일본종합축구선수권대회(현, 덴노배)의 조선예선으로써 기능하였기 때문에 조선신궁대회와 마찬가지로 큰 의미를 두기 어렵다.

전조선축구선수권대회
全朝鮮蹴球選手權大會
국가 일제강점기 조선
설립 연도 1935년
리그 폐지 1940년
최다 우승 보성전문 (3회 우승)

개요

1933년 조선축구협회가 창립된 이후에도 최고 권위의 전조선축구대회는 계속해서 조선체육회의 주최로 운영되었으며, 1934년부터 전조선종합경기대회의 일부로 편입된 상황이라 조선축구협회는 전만주축구단, 동경유학생, 영,불함대축구팀 등 과의 교류전 정도만 주최하는 형편으로 전조선의 축구계를 대표하는 위상을 가지지 못했다. 그러던 중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다시 축구가 부활함에 따라 당시 대일본축구협회(현 일본축구협회)가 올림픽 출전에 대한 강화책으로 올림픽 대표선발을 의미도 다소 포함된 제1회 전일본종합축구선수권대회(15회 덴노배)를 메이지신궁경기대회와 분리하여 개최하게 됨에 따라 그 조선예선으로써 전조선축구선수권대회가 개최되게 되었다.

[1]


1회 (1935년)

1935년 5월 14,15 양일간 경성운동장에서 조선축구협회 주최, 조선중앙일보 후원?으로 열렸다. 관람료는 성인 30전, 학생 20전. 평양에서 평양축구단, 고려축구단, 경성에서 서울축구단, 경성축구단 총 4팀이 출전 신청을 하였으나 고려축구단과 서울축구단이 기권하여, 평양축구단과 경성축구단의 결승전이 열렸다. 후반 20분 경축 채금석의 어시스트를 배종호가 골로 연결하여 1 대 0 으로 경성축구단이 우승했다.

2회 (1936년)

1936년 2회대회는 이전까지 봄에 열리던 오사카아사히신문 경성지국 주최 전조선축구대회를 합병하여 5월 7,8,9일 경성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 참가자격으로 조선축구협회 가맹팀에 한했으므로 경기신청시 조선축구협회 가맹신청서 및 회비 10원을 함께 받았다.

대회 우승팀인 보성전문에게는 6월 6,7일 일본에서 개최되는 전일본축구선수권대회 출전자격이 주어졌다.

3회 (1937년)

4회 (1938년)

5회 (1939년)

같이 보기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