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356 바이트 추가됨 ,  2014년 12월 11일 (목) 18:41
14년까지의 수치상의 기록과 에피소드 덧붙임, 대표팀 서술 추가
19번째 줄: 19번째 줄:  
* 유스클럽 : 숭실대학교 중퇴  
 
* 유스클럽 : 숭실대학교 중퇴  
   −
* 국가대표 경력 : [[2012년 런던 올림픽대표]] 상비군
+
* 국가대표 경력 :
 +
:[[2012년 런던 올림픽대표]] 상비군
 +
:2013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
:'''(A매치 2경기 0골)'''
    
* 포지션 : [[스트라이커]]
 
* 포지션 : [[스트라이커]]
36번째 줄: 39번째 줄:  
| [[포항 스틸러스]] || 2012 ||39||32|| 6||6 ||2 ||0 ||0
 
| [[포항 스틸러스]] || 2012 ||39||32|| 6||6 ||2 ||0 ||0
 
|-
 
|-
| [[포항 스틸러스]] || 2013 ||0||-|| -||- ||- ||- ||-
+
| [[포항 스틸러스]] || 2013 ||34||23|| 8||5 ||5 ||0 ||0
 
|-
 
|-
! 통산 ([[K리그]])|| - ||67||48|| 16||9||4||0 ||0
+
| [[포항 스틸러스]] || 2014 ||27||19|| 5||1 ||2 ||0 ||0
 +
|-
 +
! 통산 ([[K리그]])|| - ||128||90|| 29||15||11||0 ||0
 
|}
 
|}
:[[K리그]] 통산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3년 3월 1일 시점 기준.
+
:[[K리그]] 통산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4년 12월 10일 시점 기준.
 
{{col-end}}
 
{{col-end}}
   49번째 줄: 54번째 줄:     
== K리그 ==
 
== K리그 ==
2011시즌을 앞두고 포항에 사령탑으로 부임한 [[황선홍]]은 고무열 선수의 잠재성에 극찬을 아끼지 않으며 많은 기대를 걸었다. 선수 시절 자신의 등번호인 18번을 고무열에게 내준 것도 그 때문. 이런 황감독의 믿음에 보답하듯 개막전 프리시즌부터 득점 행진을 벌이던 고무열은 리그 초반 잠시 주춤하다 중반 이후부터 날아올라 데뷔 시즌에만 10골 3도움을 올리는 대활약을 펼쳐보였다. 예년 같았으면 바로 [[K리그 신인왕]]을 거머쥘 호성적이었지만, 2011년 신인왕은 미드필더임에도 8골을 쏟아넣은 [[이승기]] 선수에게 돌아가고 말았다. 상당히 성공적인 신인 시즌을 거친 후, 2012년에는 전형적인 [[서포모어 증후군]]을 겪으며 고생중이다. 현재 [[박성호]]와 함께 가루가 되도록 까이는중. 다행히(?) 고무열 선수는 포항 유스 시스템의 결과물이기 때문에 팬들도 애증으로 고선수의 부활을 바라고 있다. <del>다만 박성호 선수는..</del> 그래도 12시즌 6골 6도움을 기록하며 나쁘지 않은 스탯을 싾았다. 13시즌에는 [[황선홍]] 감독이 추구하는 축구에 잘 녹아들며 다시금 대활약을 이어갔고, 34경기 8골 5도움을 기록하며 신인상 대신 신설된 [[K리그 영플레이어상]]의 첫 수상자가 되었다. 14시즌에는 크고 작은 부상과 기복있는 플레이로 팀에 큰 보탬이 되지 못했다.
+
2011시즌을 앞두고 포항에 사령탑으로 부임한 [[황선홍]]은 고무열 선수의 잠재성에 극찬을 아끼지 않으며 많은 기대를 걸었다. 선수 시절 자신의 등번호인 18번을 고무열에게 내준 것도 그 때문. 이런 황감독의 믿음에 보답하듯 개막전 프리시즌부터 득점 행진을 벌이던 고무열은 리그 초반 잠시 주춤하다 중반 이후부터 날아올라 데뷔 시즌에만 10골 3도움을 올리는 대활약을 펼쳐보였다. 예년 같았으면 바로 [[K리그 신인왕]]을 거머쥘 호성적이었지만, 2011년 신인왕은 미드필더임에도 8골을 쏟아넣은 [[이승기]] 선수에게 돌아가고 말았다. 상당히 성공적인 신인 시즌을 거친 후, 2012년에는 전형적인 [[서포모어 증후군]]을 겪으며 고생중이다. 현재 [[박성호]]와 함께 가루가 되도록 까이는중. 다행히(?) 고무열 선수는 포항 유스 시스템의 결과물이기 때문에 팬들도 애증으로 고선수의 부활을 바라고 있다. <del>다만 박성호 선수는..</del> 그래도 12시즌 6골 6도움을 기록하며 나쁘지 않은 스탯을 쌓았다. 13시즌에는 [[황선홍]] 감독이 추구하는 축구에 잘 녹아들며 다시금 대활약을 이어갔고, 동아시안컵을 위한 국가대표팀에 발탁되기도 했다. 결국 34경기 8골 5도움을 기록하며 신인상 대신 신설된 [[K리그 영플레이어상]]의 첫 수상자가 되었다. 14시즌에는 크고 작은 부상과 기복있는 플레이로 팀에 큰 보탬이 되지 못했다.
    
== 플레이 스타일 ==
 
== 플레이 스타일 ==
57번째 줄: 62번째 줄:  
* 약간 [[신영록1|신영록]] 선수와 생김새가 닮았다.
 
* 약간 [[신영록1|신영록]] 선수와 생김새가 닮았다.
   −
* 한참 욕 먹다가 갑자기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또 다시 한참 못하다 잠깐 잘하는 패턴으로 매번 팬들을 애타게 만들어 "희망고무열"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
* 한참 욕 먹다가 갑자기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또 다시 한참 못하다 잠깐 잘하는 패턴으로 매번 팬들을 애타게 만들어 "희망고무열"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으며 14년 시즌이 끝난 시점에서도 '''현재진행중'''이다.
      66번째 줄: 71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배천석]]
 
* [[배천석]]
 +
* [[박성호1|박성호]] <del>12시즌 영혼의 투톱</del>
     

편집

484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