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째 줄: |
1번째 줄: |
− | [[파일:다카하라.jpg|220픽셀|섬네일|<center>수원 삼성 블루윙즈 시절 다카하라</center>]] | + | [[파일:다카하라.jpg|300픽셀|섬네일|<center>수원 삼성 블루윙즈 시절 다카하라</center>]] |
− | '''다카하라 나오히로'''(Naohiro Takahara, 1979년 6월 4일 ~ )는 [[일본]] 국적의 축구 선수로 2010년 7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활동한 [[스트라이커]]다. | + | '''다카하라 나오히로'''(Naohiro Takahara, 1979년 6월 4일 ~ )는 [[일본]] 국적의 축구선수로, 2010년 [[K리그]]에서 활동한 [[스트라이커]]이다. |
− | | |
− | | |
| | | |
| | | |
10번째 줄: |
8번째 줄: |
| {{col-begin}} | | {{col-begin}} |
| {{col-3}} | | {{col-3}} |
− | * 성명 : '''다카하라 나오히로'''(일본어: 高原 直泰, 영어: Naohiro Takahara) | + | * 이름 : '''다카하라 나오히로'''(일본어: 高原 直泰, 영어: Naohiro Takahara) |
| | | |
− | * [[등록명]] : 다카하라 | + | * [[K리그 등록명|등록명]] : 다카하라 |
| | | |
| * 국적 : {{국기그림|일본}} [[일본]] | | * 국적 : {{국기그림|일본}} [[일본]] |
− |
| |
− | * 출생지 : {{국기그림|일본}} 시즈오카 현 미시마 시
| |
| | | |
| * 출생일 : 1979년 6월 4일 | | * 출생일 : 1979년 6월 4일 |
27번째 줄: |
23번째 줄: |
| | | |
| * 국가대표 경력 | | * 국가대표 경력 |
| + | : 1998년 방콕 아시안게임 본선 대표 |
| + | : 1998년 [[AFC U-19 아시아청소년선수권대회]] 본선 대표 |
| + | : 1999년 [[FIFA 세계청소년선수권대회]] 본선 대표 |
| + |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본선 대표 |
| + | : 2000년 [[AFC 아시안컵]] 본선 대표 |
| + | : [[2006년 FIFA 독일 월드컵]] 본선 대표 |
| + | : 2007년 [[AFC 아시안컵]] 본선 대표 |
| : 1998년 ~ 1999년 일본 U-20 16경기 16골 | | : 1998년 ~ 1999년 일본 U-20 16경기 16골 |
| : 1998년 ~ 2000년 일본 U-23 11경기 4골 | | : 1998년 ~ 2000년 일본 U-23 11경기 4골 |
| : 2000년 ~ 2008년 일본 국가대표 | | : 2000년 ~ 2008년 일본 국가대표 |
− | : '''(일본 국가대표 A매치 통산 57경기 출장 23골)''' | + | : '''([[일본]] 축구 [[국가대표]] [[A매치]] 통산 57경기 출전 23득점)''' |
− | : '''(일본 U-23 대표 통산 11경기 출장 4골)''' | + | :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 11경기 출전 4득점)''' |
− | : '''(일본 U-20 대표 통산 16경기 출장 16골)''' | + | : '''([[일본]] U-20 축구 [[국가대표]] 16경기 출전 16득점)''' |
| | | |
− | * 현 소속 클럽 : {{국기그림|일본}} 오키나와 SV | + | * 현 소속팀 : {{국기그림|일본}} 오키나와 SV |
| | | |
− | * 등번호 : - | + | * [[등번호]] : 10 |
| {{col-3}} | | {{col-3}} |
| * K리그 기록 | | * K리그 기록 |
47번째 줄: |
50번째 줄: |
| ! 통산 ||colspan=2| [[K리그]] || 12 || 7 || 4 || 0 || 1 || 0 | | ! 통산 ||colspan=2| [[K리그]] || 12 || 7 || 4 || 0 || 1 || 0 |
| |} | | |} |
−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6년 1월 1일 기준 | +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6년 3월 1일 기준 |
| :{{연맹선수기록|ID=20100278}} | | :{{연맹선수기록|ID=20100278}} |
| {{col-end}} | | {{col-end}} |
57번째 줄: |
60번째 줄: |
| | | |
| | | |
− | === 분데스리가 시절 === | + | === 독일 분데스리가 진출 === |
− | 2002년 주빌로 이와타에서 맹활약한 다카하라는 독일 [[분데스리가]]의 함부르크 SV(Hamburger SV)로 2003년 1월에 완전 이적하였다. 이적 후 연속 무실점 경기를 이어가던 바이에른 뮌헨(Bayern Munich)을 상대로 득점에 성공하며 주목을 받기도 했었다. 2003/04 시즌에는 많은 경기에 출전하였으나 2골 밖에 득점하지 못하며 주춤하기도 했으나, 2004/05 시즌에는 31경기에 출전하여 7골을 득점하여 함부르크 팀내 공격수 중 최다골을 기록하며 입지를 확실히 다졌다. 그러나 다음 시즌에는 21경기에 1골이라는 매우 저조한 활약을 보였으며 함부르크에서의 마지막 시즌이 되었다. | + | 2002년 주빌로 이와타에서 맹활약한 다카하라는 독일 [[분데스리가]]의 함부르크 SV로 2003년 1월에 완전 이적하였다. 이적 후 연속 무실점 경기를 이어가던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득점에 성공하며 주목을 받기도 했었다. 2003-04 시즌에는 많은 경기에 출전하였으나 2골 밖에 득점하지 못하며 주춤하기도 했으나, 2004-05 시즌 31경기에 출전하여 7골을 득점하여 함부르크 팀내 공격수 중 최다골을 기록하며 입지를 확실히 다졌다. 그러나 다음 시즌에는 21경기에 1골이라는 매우 저조한 활약을 보였으며 함부르크에서의 마지막 시즌이 되었다. |
| | | |
− | 함부르크에서 퇴단한 다카하라는 2006년 5월에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Eintracht Frankfurt)로 팀을 옮겼다. 이적 후 [[2006 독일 월드컵]]을 앞두고 독일과 평가전에서 다카하라는 멀티골을 성공시키며 프랑크푸르트 팬들에게 자신의 존재감을 확실히 각인시켰다. 월드컵 종료 후 소속팀으로 복귀한 다카하라는 주전 공격수로 꾸준히 득점에 성공하였고 2006년 12월 3일에 있었던 알레마니아 아헨(Alemannia Aachen)과 경기에서는 일본인 최초로 분데스리가에서 [[해트트릭]]을 성공하기도 했었다. 2007년까지 득점 행진을 이어간 다카하라는 시즌 11골을 득점하며 분데스리가 진출 후 처음으로 두 자릿수 득점 기록하며 팀의 분데스리가 잔류에 기여하였고 프랑크푸르트 서포터들이 선정한 시즌 MVP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었다. 이적 후 첫 시즌부터 맹활약하여 다음 시즌에도 전망이 밝아 보일 것 같은 다카하라는 2007/08 시즌에는 무릎 부상으로 초반부터 경기를 소화하지 못하였다. 게다가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하기 원했던 감독과 전술상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서 8경기 1골을 끝으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를 떠나게 되었다. | + | 함부르크에서 퇴단한 다카하라는 2006년 5월에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로 팀을 옮겼다. 이적 후 [[2006 독일 월드컵]]을 앞두고 독일과 평가전에서 다카하라는 멀티골을 성공시키며 프랑크푸르트 팬들에게 자신의 존재감을 확실히 각인시켰다. 월드컵 종료 후 소속팀으로 복귀한 다카하라는 주전 공격수로 꾸준히 득점에 성공하였고 2006년 12월 3일에 있었던 알레마니아 아헨과 경기에서는 일본인 최초로 분데스리가에서 [[해트트릭]]을 성공하기도 했었다. 2007년까지 득점 행진을 이어간 다카하라는 시즌 11골을 득점하며 분데스리가 진출 후 처음으로 두 자릿수 득점 기록하며 팀의 분데스리가 잔류에 기여하였고 프랑크푸르트 서포터들이 선정한 시즌 MVP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었다. 이적 후 첫 시즌부터 맹활약하여 다음 시즌에도 전망이 밝아 보일 것 같은 다카하라는 2007-08 시즌에는 무릎 부상으로 초반부터 경기를 소화하지 못하였다. 게다가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하기 원했던 감독과 전술상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서 8경기 1골을 끝으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를 떠나게 되었다. |
| | | |
| | | |
− | === 우라와 레즈 시절 === | + | === J리그 우라와 레즈로 복귀 === |
| 2008년 1월 11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서 우라와 레즈로 이적료 1억 8500 만엔, 연봉 1억 8000만엔에 3년 계약으로 [[J리그]]에 복귀하였다. 하지만 프랑크푸르트에서 있었던 무릎 부상 후유증과 적은 경기 출전으로 실전 감각이 떨어져 우라와 레즈에서 주빌로 이와타 시절 만큼 폭발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하였다. 또한 폴커 핑케(Volker Finke, 1948.03.24 ~ ) 감독이 사이드 미드필더로 기용하며 다카하라는 부진의 늪에 빠지게 된다. 우라와 레즈에서 자리를 잃은 다카하라는 폴커 핑케 감독의 전력 구상에서 완전히 제외되었고, 겨울부터 이적을 모색하며 팀을 떠나기로 결정하였다. | | 2008년 1월 11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서 우라와 레즈로 이적료 1억 8500 만엔, 연봉 1억 8000만엔에 3년 계약으로 [[J리그]]에 복귀하였다. 하지만 프랑크푸르트에서 있었던 무릎 부상 후유증과 적은 경기 출전으로 실전 감각이 떨어져 우라와 레즈에서 주빌로 이와타 시절 만큼 폭발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하였다. 또한 폴커 핑케(Volker Finke, 1948.03.24 ~ ) 감독이 사이드 미드필더로 기용하며 다카하라는 부진의 늪에 빠지게 된다. 우라와 레즈에서 자리를 잃은 다카하라는 폴커 핑케 감독의 전력 구상에서 완전히 제외되었고, 겨울부터 이적을 모색하며 팀을 떠나기로 결정하였다. |
| | | |
70번째 줄: |
73번째 줄: |
| 우라와 레즈에서 전력 외 선수로 밀려난 다카하라는 이적을 모색한 끝에 2010년 7월에 [[K리그]]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하게 된다. 다카하라는 일본 복귀 후 계속되던 부진을 만회할 기회를 찾고 있었고 마찬가지로 수원도 외국인 선수인 [[헤이날도]]의 실패와 [[차범근]] 감독의 성적 부진으로 인한 자신사퇴 등으로 어수선한 분위기에 [[윤성효]] 감독을 선임한 상태로 신임 감독이었던 [[윤성효]]에게 전폭적인 지원을 통하여 분위기 반전을 생각한 수원은 다카하라와 같은 검증된 공격수가 필요했었던 것이 상호간 의견이 맞아 떨어진 것이었다.<ref>이 밖에도 수원은 다카하라를 영입하면서 국내선수로 [[신영록]]과 [[황재원]] 등으로 공격과 수비를 보강해 주며 부진을 반등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ref> | | 우라와 레즈에서 전력 외 선수로 밀려난 다카하라는 이적을 모색한 끝에 2010년 7월에 [[K리그]]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이적하게 된다. 다카하라는 일본 복귀 후 계속되던 부진을 만회할 기회를 찾고 있었고 마찬가지로 수원도 외국인 선수인 [[헤이날도]]의 실패와 [[차범근]] 감독의 성적 부진으로 인한 자신사퇴 등으로 어수선한 분위기에 [[윤성효]] 감독을 선임한 상태로 신임 감독이었던 [[윤성효]]에게 전폭적인 지원을 통하여 분위기 반전을 생각한 수원은 다카하라와 같은 검증된 공격수가 필요했었던 것이 상호간 의견이 맞아 떨어진 것이었다.<ref>이 밖에도 수원은 다카하라를 영입하면서 국내선수로 [[신영록]]과 [[황재원]] 등으로 공격과 수비를 보강해 주며 부진을 반등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ref> |
| | | |
− | [[K리그]] 데뷔는 2010년 7월 31일 [[광주 상무]]와의 홈경기에서 이루어 졌다. 이적 후 평가는 실전 감각이 많이 떨어져 보인다는 평가가 대부분으로 냉담한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다카하라는 이후 리그를 꾸준히 출전하며 실전 감각을 빠르게 회복하였고, 2010년 8월 28일 [[GS]]와의 경기에서 데뷔골과 추가골을 폭발시키며 맹활약을 펼치며 경기 MVP에 선정되기도 했었다.<ref>이 경기에서 그 유명한 다카하라-[[리웨이펑]]-[[이상호]]의 '''동아시아 합작 골이 탄생하였다.''' 또한 자기 팀은 전성기의 현역 우즈벡 국가대표 [[제파로프]]를 영입하는데, 수원은 일본 퇴물이나 영입한다고 비웃었던 그 팀팬들에게 제대로 엿을 먹여주었다</ref> 그 후에는 [[강원 FC]]와 [[광주 상무]] 원정 경기에 득점하여 총 12경기 4골로 2010년 시즌을 마무리하였다. 시즌 후 총평은 네임벨류에 비해서 아쉽다는게 대부분 이었지만 실전감각이 떨어졌던 것에 비해 성실한 플레이와 다카하라 특유의 공격 센스는 인상적이었다는 평. 다카하라는 2010 시즌이 종료하고 본인 홈페이지에 "자신감을 찾을 수 있었다"라고 스스로 만족 스럽게 평가하고 수원에서 있었던 자신에 대한 지지에 대하여 고마움을 표시하기도 하였다. | + | [[K리그]] 데뷔는 2010년 7월 31일 [[광주 상무]]와의 홈경기에서 이루어 졌다. 이적 후 평가는 실전 감각이 많이 떨어져 보인다는 평가가 대부분으로 냉담한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다카하라는 이후 리그를 꾸준히 출전하며 실전 감각을 빠르게 회복하였고, 2010년 8월 28일 [[GS]]와의 경기에서 데뷔골과 추가골을 폭발시키며 맹활약을 펼치며 경기 MVP에 선정되기도 했었다.<ref>이 경기에서 그 유명한 다카하라-[[리웨이펑]]-[[이상호]]의 '''동아시아 합작 골이 탄생하였다.'''</ref> 그 후 [[강원 FC]]와 [[광주 상무]] 원정 경기에 득점하여 총 12경기 4골로 2010년 시즌을 마무리하였다. 시즌 후 총평은 네임벨류에 비해서 아쉽다는게 대부분 이었지만 실전감각이 떨어졌던 것에 비해 성실한 플레이와 다카하라 특유의 공격 센스는 인상적이었다는 평. 다카하라는 2010 시즌이 종료하고 본인 홈페이지에 "자신감을 찾을 수 있었다"라고 스스로 만족 스럽게 평가하고 수원에서 있었던 자신에 대한 지지에 대하여 고마움을 표시하기도 하였다. |
| | | |
| | | |
− | === 일본으로 복귀 === | + | === K리그 이후 === |
− | 2010년 반시즌 활약하며 폼을 회복한 다카하라는 2011년부터 수원에서 [[J리그]]의 시미즈 에스펄스로 이적하였고, 계약 만료로 방출된 뒤에는 2013년 [[J2리그]]의 도쿄 베르디로 이적하였다. 도쿄 베르디에서는 11골을 기록하여 팀내 최다 득점자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었지만, 도쿄 베르디의 자금난에 이적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지게 되었다. 소속팀의 재정난에 방출 대상이 되어버린 다카하라는 2014년 [[J3리그]]의 SC 사가미하라로 임대이적하였다. 2015년에는 완전 이적하여 주장으로 선임되어 33경기에 출전하여 6득점을 기록하는 노익장을 과시하기도 하였다. | + | 2010년 반시즌 활약하며 폼을 회복한 다카하라는 2011년부터 수원에서 [[J리그]]의 시미즈 에스펄스로 이적하였고, 계약 만료로 방출된 뒤에는 2013년 [[J2리그]]의 도쿄 베르디로 이적하였다. 도쿄 베르디에서는 11골을 기록하여 팀내 최다 득점자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었지만, 도쿄 베르디의 자금난에 이적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지게 되었다. 소속팀의 재정난에 방출 대상이 되어버린 다카하라는 2014년 [[J3리그]]의 SC 사가미하라로 임대이적하였다. 2015년에는 완전 이적하여 주장으로 선임되어 33경기에 출전하여 6득점을 기록하는 노익장을 과시하기도 하였다. |
| | | |
− | 2015년 11월을 끝으로 SC 사가미하라와 계약이 만료된 다카하라는 2016년부터 자신이 대표로 새롭게 창단한 오키나와 3부리그 소속의 오키나와 SV에서 현역 선수로 플레이할 예정이다.
| |
| | | |
− | | + | === 선수 생활 황혼기 === |
− | == 개인 수상 == | + | 2015년 11월을 끝으로 SC 사가미하라와 계약이 만료된 다카하라는 2016년부터 자신이 대표로 창단한 오키나와 3부리그 소속의 오키나와 SV에서 플레잉 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
− | * 1998년 - AFC U-19 득점왕
| |
− | * 1998년 - 나비스코컵 신인상
| |
− | * 2000년 - AFC 올스타 팀 선정
| |
− | * 2000년 - 아시안컵 베스트 일레븐
| |
− | * 2002년 - J 리그 최우수 선수상, 득점왕, 베스트 일레븐
| |
− | * 2007년 - 아시안컵 득점왕
| |
| | | |
| | | |
99번째 줄: |
95번째 줄: |
| * 수원으로 이적한 당시의 다카하라는 수원 구단 역사상 최초의 일본 국적의 선수였다. 그리고 다카하라가 일본 국적임에도 [[아시아쿼터]]는 아니었다. 아시아쿼터는 2009년 영입된 [[리웨이펑]]이 채우고 있었으며, [[주닝요1|주닝요]]와 [[헤이날도]]의 방출로 공석이었던 외국인쿼터를 다카하라와 [[마르시오]]가 대체했다. | | * 수원으로 이적한 당시의 다카하라는 수원 구단 역사상 최초의 일본 국적의 선수였다. 그리고 다카하라가 일본 국적임에도 [[아시아쿼터]]는 아니었다. 아시아쿼터는 2009년 영입된 [[리웨이펑]]이 채우고 있었으며, [[주닝요1|주닝요]]와 [[헤이날도]]의 방출로 공석이었던 외국인쿼터를 다카하라와 [[마르시오]]가 대체했다. |
| | | |
− | * 이적 당시에는 우라와 레즈에서 임대로 이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적료 약 4~5 억원 수준의 완전 이적이며, 우라와 측에서 연봉을 약간 부담해 주는 조건이 있다고 한다. | + | * 이적 당시에는 우라와 레즈에서 임대로 이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적료 약 4~5 억원 수준의 완전 이적이며, 우라와 측에서 연봉을 약간 부담해 주는 조건이었다고 한다. |
| | | |
− | * 2015년 프로필에는 체중이 거의 80kg 근처인 것으로 나오고 있다. 은퇴 직전의 나이라 그런지 체중관리가 쉽지 않은 모양.. | + | |
| + | == 개인 수상 == |
| + | * 1998년 - [[AFC U-19 챔피언십]] 득점상 |
| + | * 1998년 - 나비스코컵 신인상 |
| + | * 2000년 - AFC 올스타팀 FW 부문 선정 |
| + | * 2000년 - [[AFC 아시안컵]] 베스트 일레븐 |
| + | * 2002년 - [[J리그]] 최우수 선수상, 득점상, 베스트 일레븐 |
| + | * 2007년 - [[AFC 아시안컵]] 득점상 |
| | | |
| | | |
110번째 줄: |
113번째 줄: |
| |- | | |- |
| | 1998 ~ 2002 || {{국기그림|일본}} 주빌로 이와타 || [[J리그]] || | | | 1998 ~ 2002 || {{국기그림|일본}} 주빌로 이와타 || [[J리그]] || |
| + | |-bgcolor=#f0fff0 |
| + | | → 2001 ~ 2002 || {{국기그림|아르헨티나}} 보카 주니어스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임대 |
| |- | | |- |
− | | → 2001 ~ 2002 || {{국기그림|아르헨티나}} Boca Juniors || Primera División || 임대
| + | | 2003 ~ 2006 || {{국기그림|독일}} 함부르크 SV || [[독일 분데스리가]] || |
− | |-
| |
− | | 2003 ~ 2006 || {{국기그림|독일}} Hamburger SV || [[분데스리가]] || | |
| |- | | |- |
− | | 2006 ~ 2007 || {{국기그림|독일}} Eintracht Frankfurt || [[분데스리가]] || | + | | 2006 ~ 2007 || {{국기그림|독일}}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독일 분데스리가]] || |
| |- | | |- |
| | 2008 ~ 2010 || {{국기그림|일본}} 우라와 레즈 || [[J리그]] || | | | 2008 ~ 2010 || {{국기그림|일본}} 우라와 레즈 || [[J리그]] || |
124번째 줄: |
127번째 줄: |
| |- | | |- |
| | 2013 ~ 2014 || {{국기그림|일본}} 도쿄 베르디 || [[J2리그]] || | | | 2013 ~ 2014 || {{국기그림|일본}} 도쿄 베르디 || [[J2리그]] || |
− | |- | + | |-bgcolor=#f0fff0 |
| | → 2014 || {{국기그림|일본}} SC 사가미하라 || [[J3리그]] || 임대 | | | → 2014 || {{국기그림|일본}} SC 사가미하라 || [[J3리그]] || 임대 |
| |- | | |- |
134번째 줄: |
137번째 줄: |
| | | |
| == 같이 보기 == | | == 같이 보기 == |
− |
| |
− |
| |
− | == 외부 링크 ==
| |
− | * 다카하라가 운영하는 공식 블로그 taka19 [http://taka19.blogspot.kr/]<ref>2011년 이후로 관리는 하지 않는 듯 하다.</ref>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