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4,708 바이트 추가됨 ,  2012년 2월 2일 (목) 03:26
잔글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 역사 ==
 
== 역사 ==
 
=== 축구클럽 및 주리그의 태동 ===
 
=== 축구클럽 및 주리그의 태동 ===
브라질은 1870~80년대 [[스코틀랜드]] 등 [[홈네이션]] 국가에서 처음 축구가 도입되어 1888년 영국 이민자들 중심의 첫 클럽인 상파울로 애슬레틱 클럽(São Paulo Athletic Club)<ref>초창기 [[상파울루 주리그]]에서 3연속 우승을 한 팀으로 현재는 축구는 그만두고 [[럭비 유니온]]과 [[스쿼시]]를 하는 클럽이다.</ref>이 생긴이래 1900년대에 영국 등 유럽과 교류가 많은 교역도시인 리우데자네이루와 상파울루를 중심으로 축구 클럽이 생기고 두 주를 중심으로 각 주별 [[브라질 주리그|리그]]가 생겨났고 1914년 [[브라질축구협회]]가 탄생했음에도 불구하고 발달하지 못한 항공 교통과 이동 및 경기에 드는 비용 등으로 인해 전국규모의 리그는 제대로 열리지 못했다. 특히 브라질 축구의 양대축인 [[리우데자네이루 주리그]](1906)와 [[상파울루 주리그]](1902) 중심의 리그 운영을 넘어서지 못한 바가 컸다.  
+
브라질은 1870~80년대 [[스코틀랜드]] 등 [[홈네이션]] 국가에서 처음 축구가 도입되어 1888년 영국 이민자들 중심의 첫 클럽인 상파울로 애슬레틱 클럽(São Paulo Athletic Club)<ref>초창기 [[상파울루 주리그]]에서 3연속 우승을 한 팀으로 현재는 축구는 그만두고 [[럭비 유니온]]과 [[스쿼시]]를 하는 클럽이다.</ref>이 생긴이래 1900년대에 영국 등 유럽과 교류가 많은 교역도시인 리우데자네이루와 상파울루를 중심으로 축구 클럽이 생기고 두 주를 중심으로 각 주별 [[브라질 주리그|리그]]가 생겨났다. 1914년 [[브라질축구협회]]가 탄생했음에도 불구하고 발달하지 못한 항공 교통과 이동 및 경기에 드는 비용 등으로 인해 전국규모의 리그는 제대로 열리지 못했다. 특히 브라질 축구의 양대축인 [[리우데자네이루 주리그]](1906)와 [[상파울루 주리그]](1902) 중심의 리그 운영을 넘어서지 못한 바가 컸다.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출범과 브라질 대표 선발전 ===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출범과 브라질 대표 선발전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48년부터 교통 및 각국 사정에 따라 정기적으로 열리지 못하던 남아메리카 클럽 대항전이 1955년 유러피언컵 출범의 영향으로 1960년 정기적인 남미 클럽 대항전인 [[코파 리베르타도레스]]가 출범하게 됨에 따라 브라질 축구계에서도 브라질 대표의 선발 필요성이 제기되어 1959년 전국적인 토너먼트대회인 '''[[타사 브라질]]'''(Taça Brasil, Brazil Trophy)이 창설되게 되었으며, 타사 브라질의 챔피언은 브라질을 대표하여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출전하게 되었다.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48년부터 교통 및 각국 사정에 따라 정기적으로 열리지 못하던 남아메리카 클럽 대항전이 1955년 [[유러피언컵]] 출범하고 이 후 양 대륙의 우승자간의 대결인 [[인터컨티넨탈컵]]을 치루기 위해 1960년 정기적인 남미 클럽 대항전인 [[코파 리베르타도레스]]가 출범하게 되었다. 이에 브라질 축구계에서도 브라질 대표의 선발 필요성이 제기되어 1959년 전국적인 토너먼트대회인 '''[[타사 브라질]]'''(Taça Brasil, Brazil Trophy)이 창설되게 되었으며, 타사 브라질의 우승팀은 브라질을 대표하여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출전하게 되었다. 1959년부터 1964년까지는 우승팀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참가했으며, 1965년부터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가 확대 개편되면서 결승전에 오른 2개의 팀이 출전하게 되었다.
 +
 
 +
=== 리우-상파울루 인터리그의 확대와 로베르땅 ===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확대 개편과 더불어 브라질 전국 리그의 출범을 위한 방법을 모색했는데 우선 리우데 자네이루주와 상파울로 주 클럽들간의 대회인 [[토르네이우 리우 - 상파울루|리우 - 상파울루 인터리그]](Torneio Rio - São Paulo, Rio - São Paulo Tournament)가 확대개편되는 방법을 통해서 였다. 1967년 '''[[호베르투 고메즈 페드로사 기념대회|토르네이우 호베르투 고메즈 페드로사]]'''(호베르땅)<ref>호베르투 고메즈 페드로사(Roberto Gomes Pedrosa)는 상파울루 출신의 축구인으로 [[보타포구]]의 선수로 활동하며 1934년 월드컵에서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출전했으며, [[상파울루 FC]]의 관리직 및 상파울루 주 축구협회 회장을 지낸 인물이다. 1954년 요절한 그를 기념하고자 대회명칭으로 명명되었다. 대회명이 약자로 호베르땅(Robertão)이라 불리기도 했다. </ref>라는 이름으로 기존 상파울루 주의 [[SE 파우메이라스|파우메이라스]] , [[SC 코린치안스 파울리스타|코린치안스]] , [[산투스 FC|산투스]] , [[상파울루 FC]], [[아소시아상 포르투게자|포루투게자]] 5팀과 리우데자네이루 주의 [[플라멩구]] , [[플루미넨시]] , [[바스코 다 가마]] , [[보타포구]], [[방구 AC]] 등 5개팀에 히우그란지두술 주의 [[인테르나시오나우]], [[그레미우]] 2팀, 미나스제라이스 주의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크루제이루 EC|크루제이루]] 2팀, 파라나 주의 [[AC 페로비아리우|페로비아리우]] 등 5개주 총 15개 팀이 2개조로 나눠 대회를 개최했다. 1968년에는 페르남부쿠 주의 [[나우치쿠 카피바리비|나우치쿠]], 바이아 주의 [[EC 바이아]]가 합류하고 파라나 주에서 페로비아리우 대신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가 합류하여 7개주 17개팀이 2개조로 대회를 치뤘다. 1967~1968년 양년에는 타사 브라질과 호베르땅이 동시에 열렸는데 1967년에는 타사 브라질 결승진출 2팀이 출전하였으며, 1968년에는 브라질이 불참하였으므로 로베르땅 출전팀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출전하지 못했다. 1969년부터는 타사 브라질은 없어지고 호베르땅만 개최되었는데 리오데자네이루주에서는 방구 AC 대신 [[아메리카 FC (리오데자네이루)|아메리카 FC]]가 참여했으며, 페르남부쿠 주의 나우치쿠 대신 [[산타 크루즈 FC]]가 참가하고, 파라나주의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대신 [[쿠리치바 FC]]가 참가하였다. 1970년 대회에서는 상파울루 주의 포르투게자 대신 [[AA 폰티 프레타]]가 출전하였으며, 파라나주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 대신 [[쿠리치바 FC]]가 참여하였다. 그러나 브라질 축구가 타사 브라질에서 로베르땅으로 이완되고 있는 과정에서 자국내 일정문제와 월드컵 준비 등 에 대한 브라질스포츠연맹(CBD)<ref>1979년이 되어서야 현재와 같은 [[브라질축구협회]](CBF)가 브라질 축구 대표기관이 되었으며, 그이전에는 브라질스포츠연맹이 브라질내의 모든 스포츠를 관리하였다.</ref>와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사이의 오해로 인해 1969년 우승, 준우승팀인 파우메이라스와 크루제이루는 또 다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출전하지 못했으며, 1971년이 되어서야 1970년 로베르땅 우승, 준우승팀인 플루미넨시와 파우메이라스가 최초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출전하게 되었다.
 +
 
 +
=== 전국리그의 시행 ===
 +
항공교통 등 이동 수단의 발달 및 브라질 군사 정권의 우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
 
 +
 
 +
== 리그 구성 ==
 +
 
 +
=== [[브라질 세리 A]] ===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아(Campeonato Brasileiro Série A)
 +
 
 +
=== [[브라질 세리 B]] ===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베(Campeonato Brasileiro Série B)
 +
 
 +
=== [[브라질 세리 C]] ===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세(Campeonato Brasileiro Série C)
 +
 
 +
=== [[브라질 세리 D]] ===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디(Campeonato Brasileiro Série D)
 +
 
    
== 참고 ==
 
== 참고 ==

편집

4,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