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볼 시스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멀티볼 시스템'''(Multiball System)은 [[축구]] 경기에서 여러 개의 예비 [[축구공]]을 준비하여 경기 진행을 신속히 할 수 있게 한 시스템이다. 1995년 여자 월드컵 및 17세 이하 선수권대회에서 시범 실시된 이래 여러 축구 [[리그]]와 대회에서 실시되고 있다.  
+
'''멀티볼 시스템'''(Multiball System)은 [[축구]] 경기에서 여러 개의 예비 [[축구공]]을 준비하여 경기 진행을 신속히 할 수 있게 한 시스템이다. 1995년 여자 월드컵 및 17세 이하 선수권대회에서 시범 실시된 이래, 여러 축구 [[리그]]와 대회에서 도입/적용 중이다.  
  
== 도입과정 ==
 
[[축구 규칙]](Laws Of The Game)에는 경기 중 원칙적으로 하나의 축구공을 사용하게 되어있다. 축구공이 손상되는 등 제한된 경우에만 [[심판]]의 허가가 있어야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약 때문에 [[공]]이 [[관중석]]에 들어가거나 경기장 밖으로 나가 버린 경우에는 [[볼]]을 회수하여 [[필드]]로 돌아오는 동안 경기를 중단하게 된다. 특히 열광적인 [[서포터]]가 관람하는 관중석에 들어간 볼을 경기의 유불리에 따라 반환하지 않는 등 의 문제도 자주 일어날 수 있다. 또, 텔레비전 중계가 확산됨에 따라 공 회수를 위한 경기 중단이 경기의 속도감을 해치는 등의 문제도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국제축구연맹]]은 1995년 [[여자월드컵]] 및 [[FIFA U-17 월드컵|U-17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멀티볼 시스템을 시험적으로 도입했으며, 멀티볼 도입에 따른 경기 시간 단축 효과가 인정되어 그 후 리그와 각종 대회에 사용되게 되었다.
 
  
== 실시 ==  
+
 
 +
== 도입 과정 ==
 +
[[축구 규칙]](Laws Of The Game)에는 경기 중 원칙적으로 하나의 축구공을 사용하게 되어있으며, 축구공이 손상되는등 제한적인 경우에만 [[심판]]의 허가를 전제로 축구공을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약 때문에 [[공]]이 [[관중석]]에 들어가거나 경기장 밖으로 나가 버린 경우, [[볼]]을 회수하여 [[필드]]로 돌아오는동안 경기는 자연히 중단된다. 특히 열광적인 [[서포터]]가 관람하는 관중석에 들어간 볼을 경기의 유/불리에 따라 반환하지 않는 등의 문제도 자주 일어날 수 있다. 여기에 텔레비전 중계가 확산됨에 따라, 공 회수를 위한 경기 중단 시간이 경기의 속도감을 해친다는 문제도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국제축구연맹]]은 1995년 [[여자월드컵]] 및 [[FIFA U-17 월드컵|U-17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멀티볼 시스템을 시험적으로 도입했으며, 멀티볼 도입에 따른 경기 시간 단축 효과가 인정되어 그 후 리그와 각종 대회에 사용되게 되었다.
 +
 
  
 
== 문제점 ==  
 
== 문제점 ==  
* 공 담당자는 대체로 지역 축구팀 선수나 수행평가 학생들이 하게 되는데 보통 이러한 담당자는 홈팀에서 선발하게 됨으로 홈팀의 유불리에 따라 공이 공급에 영향을 받게 된다. 대체로 홈팀이 이기고있을 때에는 시간 벌기 위해 공이 늦게 공급되고 홈팀이 지고 있을 때는 빨리 재개시키기 위해 공이 빠르게 공급되는 등 홈팀에 유리한 경기진행이 될 수 있다.
+
* 공 담당자는 대체로 아마추어 선수나 학생들이 하게 되는데 보통 이러한 담당자는 홈팀에서 선발되므로 홈팀의 유/불리에 따라 공의 공급에 영향력을 줄 수 있다. 대체로 홈팀이 이기고있을 때는 시간을 벌기 위해 공이 늦게 공급되고, 홈팀이 지고있을 때는 공이 빠르게 공급되는등 홈팀에 유리한 경기 진행을 유도하는셈.
* 멀티볼 시스템은 심판의 허가를 기다리지 않고 공이 공급되기 때문에, 공 담당자의 판단 미스 등으로 여러 예비 볼이 [[필드]]에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멀티볼이 오히려 신속한 경기 진행을 방해한다고 할 수 있다.
+
 
* 멀티볼 시스템을 도입하여 경기 중단 시간이 줄어든 것이 선수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선수의 급수 시간을 확보할 수 없게 우려가 FIFA 기술 보고서<ref>http://www.fifa.com/mm/document/afdeveloping/techdevp/wyc_97_tr_part4_180.pdf</ref>에서 제기되고 있다.
+
* 멀티볼 시스템은 심판의 허가를 기다리지 않고 공이 공급되기 때문에, 공 담당자의 판단 미스 등으로 여러 예비 볼이 [[필드]]에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멀티볼이 오히려 신속한 경기 진행을 방해할 수도 있다.
 +
 
 +
* 멀티볼 시스템을 도입하여 경기 중단 시간이 줄어든 것이 선수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선수의 급수 시간을 확보할 수 없게 됨으로써, 피로도 누적에 악영향을 준다는 우려가 FIFA 기술 보고서<ref>http://www.fifa.com/mm/document/afdeveloping/techdevp/wyc_97_tr_part4_180.pdf</ref>를 통해 제기되기도 하였다.
 +
 
  
 
== 참고==
 
== 참고==
 
<references/>
 
<references/>
 +
  
 
{{위키백과}}
 
{{위키백과}}
 
[[분류:축구 용어]]
 
[[분류:축구 용어]]

2017년 1월 21일 (토) 09:21 기준 최신판

멀티볼 시스템(Multiball System)은 축구 경기에서 여러 개의 예비 축구공을 준비하여 경기 진행을 신속히 할 수 있게 한 시스템이다. 1995년 여자 월드컵 및 17세 이하 선수권대회에서 시범 실시된 이래, 여러 축구 리그와 대회에서 도입/적용 중이다.


도입 과정[편집]

축구 규칙(Laws Of The Game)에는 경기 중 원칙적으로 하나의 축구공을 사용하게 되어있으며, 축구공이 손상되는등 제한적인 경우에만 심판의 허가를 전제로 축구공을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약 때문에 관중석에 들어가거나 경기장 밖으로 나가 버린 경우, 을 회수하여 필드로 돌아오는동안 경기는 자연히 중단된다. 특히 열광적인 서포터가 관람하는 관중석에 들어간 볼을 경기의 유/불리에 따라 반환하지 않는 등의 문제도 자주 일어날 수 있다. 여기에 텔레비전 중계가 확산됨에 따라, 공 회수를 위한 경기 중단 시간이 경기의 속도감을 해친다는 문제도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국제축구연맹은 1995년 여자월드컵U-17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멀티볼 시스템을 시험적으로 도입했으며, 멀티볼 도입에 따른 경기 시간 단축 효과가 인정되어 그 후 리그와 각종 대회에 사용되게 되었다.


문제점[편집]

  • 공 담당자는 대체로 아마추어 선수나 학생들이 하게 되는데 보통 이러한 담당자는 홈팀에서 선발되므로 홈팀의 유/불리에 따라 공의 공급에 영향력을 줄 수 있다. 대체로 홈팀이 이기고있을 때는 시간을 벌기 위해 공이 늦게 공급되고, 홈팀이 지고있을 때는 공이 빠르게 공급되는등 홈팀에 유리한 경기 진행을 유도하는셈.
  • 멀티볼 시스템은 심판의 허가를 기다리지 않고 공이 공급되기 때문에, 공 담당자의 판단 미스 등으로 여러 예비 볼이 필드에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멀티볼이 오히려 신속한 경기 진행을 방해할 수도 있다.
  • 멀티볼 시스템을 도입하여 경기 중단 시간이 줄어든 것이 선수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선수의 급수 시간을 확보할 수 없게 됨으로써, 피로도 누적에 악영향을 준다는 우려가 FIFA 기술 보고서[1]를 통해 제기되기도 하였다.


참고[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