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편집 요약 없음
* 유소년 클럽 : [[동래고등학교]] → [[고려대학교]]
* 유소년 클럽 : [[동래고등학교]] → [[고려대학교]]
* 국가대표 기록
* 국가대표 경력
: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아시아예선 대표
: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아시아예선 대표
: [[1978년 FIFA 아르헨티나 월드컵]] 아시아예선 대표
: [[1978년 FIFA 아르헨티나 월드컵]] 아시아예선 대표
: 1975년 ~ 1984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1975년 ~ 1984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통산 A매치 103경기 출장 26골)'''
: '''(통산 A매치 103경기 출장 26골)'''
* 수상 경력
: 1983년 [[K리그 시즌 MVP]] 수상ㆍ시즌 베스트 11 선정
: 1984년 [[K리그 시즌 베스트 11]] 선정
: 1986년 [[K리그 모범상]] 수상
* 현 소속팀 : 선수 생활 은퇴
* 현 소속팀 : 선수 생활 은퇴
{{col-3}}
{{col-3}}
: K리그 기록은 리그컵 포함. 2014년 12월 1일 기준.
: K리그 기록은 리그컵 포함. 2014년 12월 1일 기준.
{{col-end}}
{{col-end}}
== 지도자 프로필 ==
== 지도자 프로필 ==
| 1988 ~ 1989 ||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 감독
| 1988 ~ 1989 ||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 감독
|-
|-
| 1989 ~ 1991 || [[현대 호랑이]] ||rowspan=2| 코치
| 1989 ~ 1991 || [[현대 호랑이]] ||코치
|-
|-
| 1992 ~ 1994|| [[유공 코끼리]]
| 1992 ~ 1994|| [[유공 코끼리]] || 코치 → 감독
|-
|-
| 1996 ~ 2000|| [[포항 스틸러스]] || rowspan=2| 감독
| 1996 ~ 2000|| [[포항 스틸러스]] || rowspan=2| 감독
| 2010 ~ 2011 || [[다롄 스더]]
| 2010 ~ 2011 || [[다롄 스더]]
|-
|-
| 2011 ~ 2013 || [[미얀마 축구 국가대표]]
| 2012 ~ 2013 || [[미얀마 축구 국가대표]]
|-
|-
| 2015 || [[경남 FC]]
| 2015 || [[경남 FC]]
== 성인 무대 ==
== 프로 생활 ==
1978년 당시 실업축구단이었던 [[포항제철 축구단]]에서 성인 축구 선수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1980년에는 [[육군]]에 입대하여 군복무를 마쳤다. K리그 창설 원년인 1983년 [[할렐루야 독수리]] 소속으로 리그 원년 우승에 크게 공헌한 뒤 1987년까지 활약하였다.
1978년 당시 실업축구단이었던 [[포항제철 축구단]]에서 성인 축구 선수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1980년에는 [[육군]]에 입대하여 군복무를 마쳤다. K리그 창설 원년인 1983년 [[할렐루야 독수리]] 소속으로 활동하였으며, 소속팀의 리그 원년 우승에 크게 공헌하며 대회 MVP 까지 수상하였다. 이후 1986년 [[포항제철 아톰스]]로 이적하여 1987년까지 활약한 뒤 은퇴하였다.
== 국가대표 생활 ==
== 플레이 스타일 ==
== 플레이 스타일 ==
힘이 좋은데다 제공권 장악에 능했기 때문에, 수비는 물론 공격 면에서도 많은 활약을 보여주었던 선수이다. 이로 인해 때때로 최전방 공격수로 투입되기도 하였을 정도.<ref>최전방 공격수 플레이는 오늘날로 치면 타겟 스트라이커와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동료 선수들에게 볼을 떨궈주는 능력이 좋았다고..</ref> 더군다나 잔부상이 없는 체질과 기복없는 플레이로 오랜 시간 활약하였다. 선수 시절만 놓고보면 197,80년대 한국축구를 대표하는 선수 중 한명이었다고 평가해도 좋을 정도. 그런데..
힘이 좋은데다 제공권 장악에 능했기 때문에, 수비는 물론 공격 면에서도 많은 활약을 보여주었던 선수이다. 이로 인해 때때로 최전방 공격수로 투입되기도 하였을 정도.<ref>최전방 공격수 플레이는 오늘날로 치면 타겟 스트라이커와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동료 선수들에게 볼을 떨궈주는 능력이 좋았다고..</ref> 더군다나 잔부상이 없는 체질과 기복없는 플레이까지 겸비해 대표팀에서 오랜 시간 활약하였다. 선수 시절만 놓고보면 197,80년대 한국 축구를 대표하는 선수 중 한명이었다고 평가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 부산 아이파크 시절 ==
== 부산 아이파크 시절 ==
2007년 7월 18일, 부산 아이파크의 <del>다른 의미로</del> 전설적인 [[앤디 에글리]] 감독이 성적 부진의 이유로 사퇴한 뒤 공석으로 놓였된 부산 아이파크의 새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하지만 보름도 채 되지 않아 2007년 8월 3일 부산 아이파크의 감독직을 사임하고 대한민국 올림픽대표팀 감독으로 취임하는 말도 안되는 일이 일어나버렸다! 이에 부산 서포터즈들은 항의 성명을 내었고, 축구팬들도 K리그를 무시하는 처사라며 비판에 동조하였지만 이 사태는 유야무야 잊혀져버렸다. 박성화 씨가 부산 감독으로 선임된 기간은 약 17일이었으며, 실상 활동한 기간은 2주도 채우지 못했다.<ref>하지만 그 짧은 재임 기간동안 [[FA컵]]에서 [[대전 시티즌]]을 2:0으로 잡아내는데 성공해, 부산에서의 감독 전적은 통산 1경기 1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승률 100% 감독'''이라는 조롱섞인 별명이 생기기도..[[대전 시티즌]]의 [[김호]]감독도 이 경기가 부임후 첫 경기였다.</ref>
2007년 7월 18일, [[앤디 에글리]] 감독이 성적 부진의 이유로 사퇴한 뒤 공석으로 놓였던 부산 아이파크의 새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하지만 감독 부임 후 보름도 채 되지 않은 2007년 8월 3일, 부산 아이파크의 감독직을 사임하고 대한민국 올림픽대표팀 감독으로 취임하는 말도 안되는 일을 저질렀다. 이에 부산 서포터즈들은 항의 성명을 내었고, 축구팬들도 K리그를 무시하는 처사라며 비판에 동조하였지만 이 사태는 유야무야 잊혀져버렸다. 박성화 씨가 부산 감독으로 선임된 기간은 약 17일이었으며, 실상 활동한 기간은 2주도 채우지 못했다.<ref>하지만 그 짧은 재임 기간동안 [[FA컵]]에서 [[대전 시티즌]]을 2:0으로 잡아내는데 성공해, 부산에서의 감독 전적은 통산 1경기 1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승률 100% 감독'''이라는 조롱섞인 별명이 생기기도 하였다.</ref>
== 올림픽대표팀 감독과 그 이후 ==
== 올림픽대표팀 감독과 그 이후 ==
이처럼 비판을 짊어지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대표팀]] 감독직을 맡았지만, 본선 무대에서 1승 1무 1패를 기록하며 올림픽대표팀의 조별 예선 탈락을 막지 못하였다. 결국 베이징 올림픽 종료 후 올대 감독직에서 물러난 박성화는, 2010년부터 2011년까지는 중국 슈퍼리그 팀인 다렌 스더 감독을 맡았으며, 2012년부터 2013년까지 2년간은 [[미얀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는 등 해외에서 활동을 이어간바 있다.<ref>다렌 스더 감독 시절에는 첫 시즌 6위를 기록하며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2년차에 하위권 추락을 막지 못하며 경질되었던바 있다. 이후 미얀마 감독 시절에는 5승 4무 4패를 기록하였다.</ref>
== 경남 FC ==
== 경남 FC ==
미얀마 국가대표 감독직 이후 한동안 소식이 없던 차, 2015시즌을 앞두고 경남 FC의 6대 감독으로 취임하였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007년 부산을 떠난 이후 약 7년 만에 국내 프로 축구계에 복귀를 하게된 셈. 경남 팬들은 박성화 감독이 내정되었다는 소식에 멘붕에 빠지기도.. 하지만 박성화 감독도 자신의 명예를 회복할 마지막 기회라는 점에서 경남에서 대충 감독 생활을 할 것으로 보이진 않았고, 실제로 베테랑 선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 지금까지 경남 FC의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부분의 수정을 천명하며 경남 팬들의 기대를 잠시나마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 지도 스타일 ==
== 지도 스타일 ==
= 에피소드 =
= 에피소드 =
* 선수 시절, 동계 전지훈련지 훈련 숙소 근처 쌀집 아저씨와 차림새가 비슷하다는 이유로(...) '쌀장수'라는 별명을 가지게 되었다. 물론 쌀집 아저씨랑 비슷하다는 이유 뿐만 아니라, 워낙 힘이 좋은 선수였기 때문에 이런 별명이 붙은 거였다고..
* 선수 시절, 동계 전훈장 근처 쌀집 아저씨와 차림새가 비슷하다는 이유로(...) '쌀장수'라는 별명을 가지게 되었다. 물론 쌀집 아저씨랑 비슷하다는 이유 뿐만 아니라, 워낙 힘이 좋은 선수였기 때문에 이런 별명이 붙은 거였다고 한다.
* 경남 FC 사령탑에 부임하면서 '''경남은 제 2의 고향''' 이라며, 경남을 위해 열심히 하겠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1997년 이전까지 울산광역시는 경남 울산시였던걸 생각해보면 박성화 씨의 말이 틀린건 아닌듯. 그동안 경남 FC의 지도자들이 경남 출신이었던 전통을 의식한 발언이었던듯 싶다.
= 각주 =
= 각주 =
<references />
<references />
[[분류:1955년생]][[분류:동래고등학교의 선수]][[분류:고려대학교의 선수]][[분류:실업축구 선수]][[분류:할렐루야 독수리의 선수]][[분류:포항제철 축구단의 선수]][[분류:전설적인 선수]][[분류:포항 스틸러스의 지도자]][[분류:현대 호랑이의 지도자]][[분류:유공 코끼리의 지도자]][[분류: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의 지도자]][[분류:부산 아이파크의 지도자]][[분류:해외진출 지도자]]
[[분류:1955년생]][[분류:동래고등학교의 선수]][[분류:고려대학교의 선수]][[분류:실업축구 선수]][[분류:할렐루야 독수리의 선수]][[분류:포항제철 축구단의 선수]][[분류:전설적인 선수]][[분류:포항 스틸러스의 지도자]][[분류:현대 호랑이의 지도자]][[분류:유공 코끼리의 지도자]][[분류:대한민국 국가대표팀의 지도자]][[분류:부산 아이파크의 지도자]][[분류:해외진출 지도자]][[분류:경남 FC의 지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