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판
심판(審判)이란 운동 경기등 에서, 규칙등을 판정하고 경기를 진행하는 일이나 사람을 통칭하는 말이다.
축구위키인 풋케위키에서 심판이라 함은, 으레 축구 심판을 가리킨다. 한국, 아니 전세계적으로 늘상 까이는 직업중 하나.
심판의 종류
주심
부심
대기심
자격 취득 방법과 요구 능력
심판의 역사
축구경기에 심판이 처음 등장한 것은 이견이 다소 존재하나 1845년 영국 이튼에서였다. 이 당시 심판은 경기장 안에 들어가지 않고 라인밖에서 관전하고 있다가, 경기도중 선수간 규칙해석에 이견이 있거나 경기가 과열되어 제3자의 판단이 필요한 경우에만 심판으로서 개입을 했다.[1] 선수들의 자율적 해결 요구와 신사도 정신(?), 그리고 객관적인 규칙 부재가 만들어낸 묘한 심판의 역할이었던 것.
이후 1863년 FA가 창설되고 축구 표준규칙이 제정된뒤 한참이 지나고서야, 1891년 FA는 기존의 심판 역할을 폐지하고, 경기장 안으로 들어가 주어진 권한을 행사하는 오늘날인 주심 (Referee)와 주심을 도와줄 2명의 선심 (Lines man)을 두도록 함으로써 오늘날의 심판룰과 동일한 틀을 갖추게 되었다.
한국에서의 심판의 역사
축구가 제대로 돌아가려면 규칙의 존재와 규칙을 이해하고 관장하는 심판의 존재가 필수적이기에, 한국 축구는 심판의 탄생과 함께 본격적으로 태동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례로 한국 축구의 모태인 조선축구협회 (1933년) 보다도 먼저 탄생한 것이 조선축구심판협회 (1928년) 였을 정도. 한국 축구 1호 심판으로 알려진 서병희씨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약 1천여명에 달하는 심판들이 한국 축구를 수놓았다.
프로축구 개막 후, K리그 전임 심판 20명과 예비 심판 15명으로 이원화하여 운영하던 것을 2000년부터 예비심판제를 폐지하고 K리그에서 활동하는 심판은 전원 전임 심판제로 변경하였다.
심판 목록
한국을 비롯한 축구계의 심판들의 목록을 보려면 분류:심판을 클릭.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