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흥은행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166.104.63.73 (토론)님의 2016년 1월 27일 (수) 15:14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CHB조흥은행의 마지막 CI

조흥은행(朝興銀行, Chohung Bank)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기업이자 은행이었다. 1897년 2월 한성은행으로 설립되어, 2006년 3월까지 존재하다 2006년 4월 1일 신한은행과 합병되어 사라졌다.[1] 조흥은행 축구단1969년 3월 19일 금융단 4번째 축구단으로 창단되어 금융단축구리그실업축구에서 활동하였다가 1983년 12월, 금융단 축구단 중 4번째로 해체되었다.



조흥은행

연혁

조흥은행 심벌마크 변천사
  • 1897년 2월 1일 : 한성은행 설립. 본점은 현재의 종로 영풍빌딩 자리로 추정.
  • 1903년 : 공립은행으로 전환, 본점을 종로구 안국동으로 이전
  • 1905년 : 주식회사로 전환. 본점을 중구 다동으로 이전
  • 1912년 : 본점을 중구 남대문로 1가(현, 신한은행 광교영업부)로 이전
  • 1938년 : 해동은행 인수
  • 1941년 : 경상합동은행[2]을 합병
  • 1943년 10월 : 동일은행[3]이 합병하여 조흥은행으로 개칭(조선을 흥하게 한다는 뜻)
  • 1956년 3월 : 증권거래소 상장
  • 1966년 12월 : 본점 신축. 18층, 최초의 엘리베이터 설치
  • 1969년 : 조흥은행 축구단 창단
  • 1983년 : 조흥은행 축구단 해체
  • 1985년 7월 : 조흥은행 CIP(Corporate Identity Program)도입 (떠오르는 3개의 태양)
  • 1997년 : 창립100주년을 기념하여 광화문지점에 조흥금융박물관 개관(현 신한은행 한국금융사박물관.
  • 1999년 5월 3일 : 충북은행과 합병 및 조흥은행 새 CI 선포. CHB조흥은행
  • 1999년 9월 : 강원은행과 합병.
  • 2003년 9월 : 신한금융그룹 계열 편입
  • 2004년 7월 2일 : 상장폐지
  • 2006년 4월 1일 : 구 조흥은행과 신한은행과 합병하여 신한은행으로 개칭


조흥은행 축구단

조흥은행 축구단은 1969년 3월[4] 창단되어 1983년 12월 해체된 실업 축구단이다. 창단 시점부터 1981년까지 함흥철 전 국가대표 감독이 13년간 지휘봉을 잡아 좋은 성적을 거두어 왔으나, 함흥철 감독이 자진 사임한 뒤로는 명맥만 유지하다 1983년을 끝으로 해체되었다.


주요 성적

  • 금융단 축구대회
    • 우승 : 1969년 (대통령배)
    • 준우승 : 1971년 (대통령배), 1972년 (국무총리배)


에피소드

  • 창단 당시 중동고 졸업생 6명, 중앙대 졸업생 5명, 경희대 졸업생 2명으로 시작하였는데, 이후 선수들이 군입대를 하게 되자 선수층이 극도로 얇아져 부진에 빠지게 됐고, 이후 한동안 군 제대자 위주로 선수를 선발했었다고 한다.
  • 위에서 언급한대로 군입대 사례가 이어지다 보니, 특히 골키퍼가 부족했다. 1977년의 경우는 골키퍼가 1명밖에 남질 않아, 국가대표 수문장 출신인 함흥철 당시 조흥은행 감독이 여차하면 뛸 준비를 해야했을 정도였다고 한다. 실제로 대회 도중 골키퍼가 퇴장하는 사태가 발생하자, 함흥철 씨가 직접 교체투입되어 경기를 치루기도..[6]


같이 보기


참고

  1. 합병 상호는 신한은행이나 존속 법인은 조흥은행으로 한다고 하였으나 법인의 역사만 승계하고 상호 법인명 모두 신한은행이 되었다. 결국 통합 신한은행이 조상제한서의 상석을 차지하는 것 외에는 조흥은행은 완전히 버림받았다.
  2. 1928년 7월 대구은행과 경남은행이 합병하여 설립되어 대구에 본사를 둔 민족계 지방은행, 조선총독부의 민족계 은행 통합에 따라 한성은행에 통합되었다.
  3. 1931년 한일은행과 호서은행을 합병한 후 설립된 민족계 은행이다. 1942년 호남은행도 흡수하였다.
  4. 창단식이 1969년 3월이고 1968년 9월에 창단에 들어갔다.
  5. 해군과 공동우승.
  6. 당시 함흥철 씨의 나이는 '47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