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뀜

401 바이트 추가됨 ,  2012년 2월 19일 (일) 02:34
잔글
54번째 줄: 54번째 줄:  
=== [[임중용]]과의 시비 ===
 
=== [[임중용]]과의 시비 ===
 
----
 
----
*한가위 황금연휴가 시작됐던 2007년 9월 22일 [[문학월드컵경기장]], [[신영록1|신영록]]의 선제골로 1:0으로 앞서가던 전반 26분, 경기가 요상하게 흘러가기 시작했다. 갑자기 임중용은 퇴장, 에두가 경고 판정을 받은 것이었다.  
+
한가위 황금연휴가 시작됐던 2007년 9월 22일 [[문학월드컵경기장]], [[신영록1|신영록]]의 선제골로 1:0으로 앞서가던 전반 26분, 경기가 요상하게 흘러가기 시작했다. 갑자기 임중용이 유선호 주심으로부터 퇴장, 에두가 경고 판정을 받은 것이었다.  
   −
개요는 이랬다. 임중용과 에두가 서로 거친 말을 주고받은 뒤 임중용이 먼저 침을 내뱉었고, 이어 에두가 심판에게 강하게 어필을 한 뒤 받아들여지지 않자 앞서 가던 임중용을 뒤따라가 침을 뱉었다. [[유선호]] 주심은 결국 에두와 임중용을 불러 놓고 에두에게 경고, 임중용에게는 퇴장 조치를 내렸다. 근데 인천벤치쪽에서 난리가 나기 시작했다. 에두에게 퇴장을 주지 않았다는 이유에서였다. <ref> 현재 축구협회의 '반칙과 불법행위' 규칙에 따르면 상대 또는 다른 사람에게 침을 뱉은 경우에는 퇴장성 반칙으로 간주한다. </ref> 여기까지는 그라운드 내에서 넘어 갈 수 있는 문제였다. 하지만, 후반전이 지나면서 문학관중들은 동요하기 시작하였다.
+
개요는 이랬다. 임중용과 에두가 서로 거친 말을 주고받은 뒤 임중용이 먼저 침을 내뱉었고, 이어 에두가 심판에게 강하게 어필을 한 뒤 받아들여지지 않자 앞서 가던 임중용을 뒤따라가 침을 뱉었다. [[유선호]] 주심은 결국 에두와 임중용을 불러 놓고 에두에게 경고, 임중용에게는 퇴장 조치를 내렸다. <ref> 이 개요는 아직까지 의견이 분분하다. 인천측에서는 임중용은 당하기만 하였다는 주장이고, 수원측에서는 임중용이 먼저 침을 뱉고, 머리를 때렸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방송 카메라가 미처 잡지 못한 곳에서 일어난 일이라 이 싸움의 공방은 당사자만이 알고 있을 듯하다.</ref> 근데 인천벤치쪽에서 난리가 나기 시작했다. 에두에게 퇴장을 주지 않았다는 이유에서였다. <ref> 현재 축구협회의 '반칙과 불법행위' 규칙에 따르면 상대 또는 다른 사람에게 침을 뱉은 경우에는 퇴장성 반칙으로 간주한다. </ref> 여기까지는 그라운드 내에서 넘어 갈 수 있는 문제였다. 하지만, 후반전이 지나면서 문학관중들은 동요하기 시작하였다.
    
문학경기장 전광판에 에두가 임중용에게 침을 뱉는 장면이 편집되어 전광판에 수차례 리플레이 되고 있었던 것이었다. [[FIFA]]는 [[1998 프랑스월드컵]] 이후 반칙 장면을 다시 보여주는 것을 철저히 금지하고 있지만 에두의 반칙 상황이 전광판을 통해 반복적으로 방영된 것이다.
 
문학경기장 전광판에 에두가 임중용에게 침을 뱉는 장면이 편집되어 전광판에 수차례 리플레이 되고 있었던 것이었다. [[FIFA]]는 [[1998 프랑스월드컵]] 이후 반칙 장면을 다시 보여주는 것을 철저히 금지하고 있지만 에두의 반칙 상황이 전광판을 통해 반복적으로 방영된 것이다.

편집

1,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