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Belong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5월 4일 (수) 17:13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는 2013년부터 치루어지고 있는 K리그 클래식K리그 챌린지 간의 승격과 강등을 가르는 플레이오프 경기를 말한다. K리그 챔피언십과 대척점 관계에 있는 플레이오프라고 할 수 있다.

제도

2013년

2013년 K리그 클래식K리그 챌린지 간의 승강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도 시작되었다. 다만, 2013시즌까지 K리그 클래식K리그 챌린지 간의 팀 수 불균형으로 인하여 K리그 챌린지에서의 K리그 클래식으로의 직행 승격은 없고 승강 플레이오프만이 시행되었다. 2013년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는 K리그 클래식K리그 챌린지 정규리그 일정이 모두 종료된 후 K리그 클래식 12위 팀 vs. K리그 챌린지 우승팀홈&어웨이 방식으로 치루어졌다.


2014년 이후

2014년 K리그 클래식에 12개 팀, K리그 챌린지에 10개 팀이 배치되어 팀 수가 어느 정도 안정 궤도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에 따라 K리그 클래식 12위 팀이 K리그 챌린지로 직행 강등, K리그 챌린지 우승 팀이 K리그 클래식으로의 직행 승격하게 되고, K리그 챌린지 2위부터 4위 팀들이 단판으로 챌린지 플레이오프를 거친 후 K리그 클래식 11위 팀과 승격과 강등을 놓고 홈&어웨이 방식으로 치루는 승강 플레이오프가 시행되었다. 클럽 수의 큰 변동이 있지 않는 한 이와 같은 방식이 계속된다.


  • 챌린지 플레이오프K리그 챌린지 3위 팀과 4위 팀이 3위 팀의 홈에서 단판으로 펼치는 챌린지 준플레이오프와 챌린지 준플레이오프의 승자와 K리그 챌린지 2위 팀이 2위 팀의 홈에서 단판으로 펼치는 챌린지 플레이오프로 구성된다. 챌린지 플레이오프(광의)에서는 경기가 무승부로 끝날 경우 홈 팀이 자동으로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는 이점을 갖는다.


  • 승강 플레이오프는 먼저 K리그 챌린지 클럽의 홈에서 경기를 갖으며, 이후 K리그 클래식 클럽의 홈에서 최종전을 갖는다. 승무패, 골득실, 원정 다득점 원칙 순으로 적용되며, 셋이 모두 같을 경우 연장전이 진행된다.


결과[1]

챌린지 플레이오프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팀 챌린지 플레이오프 진출팀 챌린지 준플레이오프 진출팀


시즌 챌린지 플레이오프
챌린지 2위 챌린지 3위 챌린지 4위
2013 없음
2014 안산 경찰청 강원 FC 광주 FC
2015 대구 FC 수원 FC 서울 이랜드 FC
2016 TBD TBD TBD


승강 플레이오프

승격 or 잔류 성공팀 승격 or 잔류 실패팀


시즌 클래식 챌린지 승강 플레이오프
1차전
(챌린지 홈)
2차전
(클래식 홈)
연장전 승부차기
2013 강원 FC 상주 상무 4 - 1 1 - 0 없음
2014 경남 FC 광주 FC 3 - 1 1 - 1 없음
2015 부산 아이파크 수원 FC 1 - 0 0 - 2 없음
2016 TBD TBD



같이 보기



참고

  1. 세부 결과는 각 시즌별 승강 플레이오프 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