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C 아시안컵 2015"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Infobox 국제 축구 대회 | 대회명 = AFC 아시안컵 | image = | size = 200px | 개최국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 개최년도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 골 수 = 85
 
| 골 수 = 85
 
| 관중 수 = 649705
 
| 관중 수 = 649705
| 득점왕 = {{국기그림|아랍에미리트}} [[알리 맙쿠트]]<br />(5골)
+
| 득점왕 = {{국기그림|아랍에미리트}} 알리 맙쿠트(5골)
| 최고 선수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마시모 루옹고]]
+
| 최고 선수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마시모 루옹고
 
| 갱신일 =  
 
| 갱신일 =  
 
| 이전 시즌 = [[AFC 아시안컵 2011|2011]]
 
| 이전 시즌 = [[AFC 아시안컵 2011|2011]]
 
| 다음 시즌 = [[AFC 아시안컵 2019|2019]]
 
| 다음 시즌 = [[AFC 아시안컵 2019|2019]]
 
}}
 
}}
 +
'''AFC 아시안컵 2015'''은 [[AFC 아시안컵]]의 16번째 대회이다. 이번 대회를 끝으로 자동 진출권은 개최국에게만 부여된다. 이에 따라 본 대회 우승국인 오스트레일리아와 준우승국인 대한민국, 3위를 기록한 아랍에미리트는 다음 대회 예선에 참가하게 되었다.
 +
  
'''AFC 아시안컵 2015'''은 [[AFC 아시안컵]]의 16번째 대회이다. 이번 대회를 끝으로 자동 진출권은 개최국에게만 부여된다. 이에 따라 본 대회 우승국인 오스트레일리아와 준우승국인 대한민국, 3위를 기록한 아랍에미리트는 다음 대회 예선에 참가하게 되었다.
 
  
 
= 대회 제반 사항 =
 
= 대회 제반 사항 =
29번째 줄: 30번째 줄:
 
! 국가 !! 자격 !! 참가 횟수  
 
! 국가 !! 자격 !! 참가 횟수  
 
|-
 
|-
| align=left|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 개최국, [[AFC 아시안컵 2011]] 준우승 ||align=left|  2회(2007, 2011)
+
| align=left|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 개최국<br/>[[AFC 아시안컵 2011|전대회]] 준우승 ||align=left|  2회(2007, 2011)
 
|-
 
|-
| align=left|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AFC 아시안컵 2011]] 3위 ||align=left|  12회 ('''1956''', '''1960''', 1964, 1972, 1980, 1984, 1988, 1996, 2000, 2004, 2007, 2011)
+
| align=left|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AFC 아시안컵 2011|전대회]] 3위 ||align=left|  12회 ('''1956''', '''1960''', 1964, 1972, 1980, 1984, 1988, 1996, 2000, 2004, 2007, 2011)
 
|-
 
|-
| align=left| {{국기그림|일본}} [[일본]] || [[AFC 아시안컵 2011]] 우승 ||align=left|  7회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
| align=left| {{국기그림|일본}} [[일본]] || [[AFC 아시안컵 2011|전대회]] 우승 ||align=left|  7회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
 
|-
| align=left| {{국기그림|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AFC 챌린지컵 2012]] 우승 ||align=left|  3회 (1980, 1992, 2011)
+
| align=left| {{국기그림|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 [[AFC 챌린지컵 2012|12년 챌린지컵]] 우승 ||align=left|  3회 (1980, 1992, 2011)
 
|-
 
|-
| align=left| {{국기그림|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 [[AFC 챌린지컵 2014]] 우승 ||align=left|  첫 출전
+
| align=left| {{국기그림|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 [[AFC 챌린지컵 2014|14년 챌린지컵]] 우승<ref>[[AFC 챌린지컵]]이 2014년을 끝으로 폐지되었기 때문에, 챌린지컵 우승팀들에게 아시안컵 본선 진출권이 부여되는 것은 해당 대회가 마지막이 되었다.</ref> ||align=left|  첫 출전
 
|-
 
|-
 
| align=left| {{국기그림|오만}} [[오만]] || A조 1위 ||align=left|  2회 (2004, 2007)
 
| align=left| {{국기그림|오만}} [[오만]] || A조 1위 ||align=left|  2회 (2004, 2007)
68번째 줄: 69번째 줄:
 
본 대회 개최국인 오스트레일리아와 2014년 3월자 FIFA 랭킹 순으로 이란, 일본, 우즈베키스탄이 최상위 시드에 배정되었다. 대한민국의 경우, [[AFC 아시안컵 2011]] 에서 3위를 차지하였음에도 톱시드에 들지 못했다.
 
본 대회 개최국인 오스트레일리아와 2014년 3월자 FIFA 랭킹 순으로 이란, 일본, 우즈베키스탄이 최상위 시드에 배정되었다. 대한민국의 경우, [[AFC 아시안컵 2011]] 에서 3위를 차지하였음에도 톱시드에 들지 못했다.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8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 style="background:#C0C0C0"
 
! 시드 1 !! 시드 2 !! 시드 3 !! 시드 4
 
! 시드 1 !! 시드 2 !! 시드 3 !! 시드 4
81번째 줄: 82번째 줄:
 
|-
 
|-
 
|}
 
|}
 +
  
 
=== 조편성 결과 ===
 
=== 조편성 결과 ===
86번째 줄: 88번째 줄:
 
{{col-3}}
 
{{col-3}}
 
* A조
 
* A조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br>
+
:{{국기그림|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br>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br>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br>
{{국기그림|오만}} [[오만]] <br>
+
:{{국기그림|오만}} [[오만]] <br>
{{국기그림|바레인}} [[바레인]] <br>
+
:{{국기그림|바레인}} [[바레인]] <br>
 
{{col-3}}
 
{{col-3}}
 
* B조
 
* B조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br>
+
:{{국기그림|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br>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br>
+
:{{국기그림|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br>
{{국기그림|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br>
+
:{{국기그림|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br>
{{국기그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br>
+
:{{국기그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br>
 
{{col-end}}
 
{{col-end}}
 
{{col-begin}}
 
{{col-begin}}
 
{{col-3}}
 
{{col-3}}
 
* C조
 
* C조
{{국기그림|이란}} [[이란]] <br>
+
:{{국기그림|이란}} [[이란]] <br>
{{국기그림|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br>
+
:{{국기그림|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br>
{{국기그림|바레인}} [[바레인]] <br>
+
:{{국기그림|바레인}} [[바레인]] <br>
{{국기그림|카타르}} [[카타르]] <br>
+
:{{국기그림|카타르}} [[카타르]] <br>
 
{{col-3}}
 
{{col-3}}
 
* D조
 
* D조
{{국기그림|일본}} [[일본]] <br>
+
:{{국기그림|일본}} [[일본]] <br>
{{국기그림|이라크}} [[이라크]] <br>
+
:{{국기그림|이라크}} [[이라크]] <br>
{{국기그림|요르단}} [[요르단]] <br>
+
:{{국기그림|요르단}} [[요르단]] <br>
{{국기그림|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br>
+
:{{국기그림|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br>
 
{{col-end}}
 
{{col-end}}
 +
 +
 +
== 대한민국 선수단 ==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style="background:#C0C0C0"
 +
! 등번호 !! 포지션 !! 성명 !! 소속 !! A매치 출장 수
 +
|-
 +
| 1 || GK || [[정성룡]]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64경기
 +
|-
 +
| 2 || DF || [[김창수]] || [[가시와 레이솔]] || 13경기
 +
|-
 +
| 3 || DF || [[김진수]] || [[TSG 1899 호펜하임]] || 9경기
 +
|-
 +
| 4 || DF || [[김주영]] || [[상하이 둥야]] || 4경기
 +
|-
 +
| 5 || DF || [[곽태휘]] || [[알 힐랄]] || 37경기
 +
|-
 +
| 6 || MF || [[박주호]] || [[1. FSV 마인츠 05|마인츠 05]] || 17경기
 +
|-
 +
| 7 || MF || [[손흥민]] || [[바이어 04 레버쿠젠|레버쿠젠]] || 34경기
 +
|-
 +
| 8 || MF || [[이명주]] || [[알 아인]] || 12경기
 +
|-
 +
| 9 || MF || [[지동원]]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도르트문트]] || 30경기
 +
|-
 +
| 10 || MF || [[남태희]] || [[레크위야]] || 16경기
 +
|-
 +
| 11 || FW || [[이근호]] || [[알 자이시]] || 70경기
 +
|-
 +
| 12 || MF || [[김보경]] || [[카디프 시티]] || 30경기
 +
|-
 +
| 13 || MF || [[구자철]] || [[1. FSV 마인츠 05|마인츠 05]] || 42경기
 +
|-
 +
| 14 || MF || [[한국영]] || [[카타르 SC]] || 18경기
 +
|-
 +
| 15 || DF || [[김영권]] || [[광저우 헝다]] || 29경기
 +
|-
 +
| 16 || MF || [[기성용]] || [[스완지 시티]] || 66경기
 +
|-
 +
| 17 || MF || [[이청용]] || [[볼턴 원더러스]] || 64경기 5골
 +
|-
 +
| 18 || FW || [[이정협]] || [[상주 상무]] || 0경기
 +
|-
 +
| 19 || FW || [[김신욱]] || [[울산 현대 축구단]] || 29경기
 +
|-
 +
| 20 || DF || [[장현수]] || [[광저우 푸리]] || 29경기
 +
|-
 +
| 21 || GK || [[김승규]] || [[울산 현대 축구단]] || 7경기
 +
|-
 +
| 22 || DF || [[차두리]] || [[FC GS]] || 70경기
 +
|-
 +
| 23 || GK || [[김진현 (1987년)|김진현]] || [[세레소 오사카]] || 4경기
 +
|-
 +
|}
 +
소속 클럽 및 [[A매치]] 기록은 명단 발표일<ref>2014년 12월 24일</ref> 기준.
 +
 +
 +
== 같이 보기 ==
 +
* [[AFC 아시안컵]]
 +
 +
 +
== 참고 ==
 +
<references/>
 +
 +
[[분류:2015년]]

2017년 2월 17일 (금) 19:10 기준 최신판

AFC 아시안컵 2015AFC 아시안컵의 16번째 대회이다. 이번 대회를 끝으로 자동 진출권은 개최국에게만 부여된다. 이에 따라 본 대회 우승국인 오스트레일리아와 준우승국인 대한민국, 3위를 기록한 아랍에미리트는 다음 대회 예선에 참가하게 되었다.

AFC 아시안컵 2015
대회 상세 내용
개최국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개최기간 1월 9일 ~ 1월 31일
참가 팀 16개국
최종 순위
우승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첫번째 우승)
준우승 대한민국 대한민국
3위 아랍 에미레이츠 연합 아랍에미리트
4위 이라크 이라크
대회 통계
경기 수 32
골 수 85 (평균2.66)
관중 수 649,705 (평균 20,303)
득점왕 아랍 에미레이츠 연합 알리 맙쿠트(5골)
최고 선수 오스트레일리아 마시모 루옹고
2011
2019


대회 제반 사항편집

본선 진출국편집

국가 자격 참가 횟수
  오스트레일리아 개최국
전대회 준우승
2회(2007, 2011)
  대한민국 전대회 3위 12회 (1956, 1960, 1964, 1972, 1980, 1984, 1988, 1996, 2000, 2004, 2007, 2011)
  일본 전대회 우승 7회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북한 12년 챌린지컵 우승 3회 (1980, 1992, 2011)
  팔레스타인 14년 챌린지컵 우승[1] 첫 출전
  오만 A조 1위 2회 (2004, 2007)
  요르단 A조 2위 2회 (2004, 2011)
  이란 B조 1위 12회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쿠웨이트 B조 2위 9회 (1972, 1976, 1980, 1984, 1988, 1996, 2000, 2004, 2011)
틀:나라자료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C조 1위 8회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이라크 C조 2위 7회 (1972, 1976, 1996, 2000, 2004, 2007, 2011)
  중화인민공화국 C조 3위 10회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바레인 D조 1위 4회 (1988, 2004, 2007, 2011)
  카타르 D조 2위 8회 (1980, 1984, 1988, 1992, 2000, 2004, 2007, 2011)
  아랍에미리트 E조 1위 8회 (1980, 1984, 1988, 1992, 1996, 2004, 2007, 2011)
  우즈베키스탄 E조 2위 5회 (1996, 2000, 2004, 2007, 2011)


조편성편집

시드 배정편집

본 대회 개최국인 오스트레일리아와 2014년 3월자 FIFA 랭킹 순으로 이란, 일본, 우즈베키스탄이 최상위 시드에 배정되었다. 대한민국의 경우, AFC 아시안컵 2011 에서 3위를 차지하였음에도 톱시드에 들지 못했다.

시드 1 시드 2 시드 3 시드 4
  오스트레일리아 (개최국, 63위)   대한민국 (60위)   오만 (81위)   바레인 (106위)
  이란 (42위)   아랍에미리트 (61위)   중화인민공화국 (98위)   쿠웨이트(110위)
  일본 (48위)   요르단 (66위)   카타르 (101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33위)
  우즈베키스탄 (55위) 틀:나라자료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75위)   이라크 (103위)   팔레스타인(165위)


조편성 결과편집

  • A조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오만
  바레인
  • B조
  중화인민공화국
  우즈베키스탄
틀:나라자료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C조
  이란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카타르
  • D조
  일본
  이라크
  요르단
  팔레스타인


대한민국 선수단편집

등번호 포지션 성명 소속 A매치 출장 수
1 GK 정성룡 수원 삼성 블루윙즈 64경기
2 DF 김창수 가시와 레이솔 13경기
3 DF 김진수 TSG 1899 호펜하임 9경기
4 DF 김주영 상하이 둥야 4경기
5 DF 곽태휘 알 힐랄 37경기
6 MF 박주호 마인츠 05 17경기
7 MF 손흥민 레버쿠젠 34경기
8 MF 이명주 알 아인 12경기
9 MF 지동원 도르트문트 30경기
10 MF 남태희 레크위야 16경기
11 FW 이근호 알 자이시 70경기
12 MF 김보경 카디프 시티 30경기
13 MF 구자철 마인츠 05 42경기
14 MF 한국영 카타르 SC 18경기
15 DF 김영권 광저우 헝다 29경기
16 MF 기성용 스완지 시티 66경기
17 MF 이청용 볼턴 원더러스 64경기 5골
18 FW 이정협 상주 상무 0경기
19 FW 김신욱 울산 현대 축구단 29경기
20 DF 장현수 광저우 푸리 29경기
21 GK 김승규 울산 현대 축구단 7경기
22 DF 차두리 FC GS 70경기
23 GK 김진현 세레소 오사카 4경기

소속 클럽 및 A매치 기록은 명단 발표일[2] 기준.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1. AFC 챌린지컵이 2014년을 끝으로 폐지되었기 때문에, 챌린지컵 우승팀들에게 아시안컵 본선 진출권이 부여되는 것은 해당 대회가 마지막이 되었다.
  2. 2014년 12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