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대통령배 금융단축구대회
112.219.103.20 (토론)님의 2016년 12월 11일 (일) 16:21 판 (새 문서: {{축구 리그 시즌 정보 | 대회명 = 제3회 대통령배 금융단축구대회 | 로고 = | 로고크기 = | 시즌 = 1971 | 우승...)
제3회 대통령배 금융단축구대회는 1971년 7월 20일부터 8월 1일까지 효창운동장에서 열린 금융단 축구대회이다.
제3회 대통령배 금융단축구대회 | |
---|---|
개요 | |
시즌 | 1971 |
우승 | 외환은행 |
각종 기록 | |
총 골 수 | 43 |
평균 골 수 | 1.48 |
인접 시즌 | |
이전 시즌 ← 2회 다음 시즌
4회 → |
개요
1971년 대통령배 쟁탈 금융단축구대회는 동년 7월 20일부터 8월 1일까지 효창운동장에서 진행되었다. 결승전은 외환은행과 조흥은행이 격돌, 외환은행이 후반 44분 박대호 선수의 결승골로 1:0으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하였다.
참가팀
대회 결과
A조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1 | 조흥은행 | 5 | 4 | 1 | 0 | 4 | 0 | +4 | 9 |
2 | 주택은행 | 5 | 2 | 3 | 0 | 4 | 2 | +2 | 7 |
3 | 한일은행 | 5 | 3 | 0 | 2 | 5 | 4 | +1 | 6 |
4 | 제일은행 | 5 | 2 | 1 | 2 | 3 | 3 | 0 | 5 |
5 | 산업은행 | 5 | 1 | 1 | 3 | 2 | 4 | -2 | 3 |
6 | 상업은행 | 5 | 0 | 0 | 5 | 2 | 7 | -5 | 0 |
1971년 7월 29일 |
주택은행 | 2–1 | 상업은행 | |
---|---|---|---|---|
1971년 7월 29일 |
제일은행 | 1–0 | 산업은행 | |
---|---|---|---|---|
1971년 7월 29일 |
조흥은행 | 1–0 | 한일은행 | |
---|---|---|---|---|
B조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1 | 외환은행 | 4 | 3 | 1 | 0 | 8 | 1 | +7 | 7 |
2 | 서울은행 | 4 | 2 | 1 | 1 | 4 | 2 | +2 | 5 |
3 | 기업은행 | 4 | 1 | 2 | 1 | 2 | 2 | 0 | 4 |
4 | 신탁은행 | 4 | 1 | 0 | 3 | 3 | 7 | -4 | 2 |
5 | 국민은행 | 4 | 1 | 0 | 3 | 2 | 7 | -5 | 2 |
1971년 7월 27일 |
외환은행 | 4–1 | 국민은행 | |
---|---|---|---|---|
1971년 7월 27일 |
서울은행 | 2–1 | 신탁은행 | |
---|---|---|---|---|
1971년 7월 28일 |
서울은행 | 2–0 | 국민은행 | |
---|---|---|---|---|
1971년 7월 28일 |
외환은행 | 0–0 | 기업은행 | |
---|---|---|---|---|
결승 토너먼트
4강전
1971년 7월 31일 |
외환은행 | 1–0 | 주택은행 | |
---|---|---|---|---|
1971년 7월 31일 |
조흥은행 | 1–0 | 서울은행 | |
---|---|---|---|---|
3ㆍ4위전
1971년 8월 1일 |
주택은행 | 1–0 | 서울은행 | |
---|---|---|---|---|
결승전
1971년 8월 1일 |
외환은행 | 1–0 | 조흥은행 | |
---|---|---|---|---|
에피소드
- 한 여름에 대회를 치렀기 때문에, 장마와 폭염의 영향으로 그라운드 사정이 매우 좋지 않았으며 선수들도 컨디션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다. 특히 결승전이 치러진 8월 1일은 섭씨 32~3도를 오르내리는 폭염이 이어졌을 정도. 결국 이러한 원인들이 겹치면서, 경기들도 반칙이 난무하고 득점도 많이 터지지 않았다는 평. 당연히 관중 동원에도 실패하였다고 한다.
- 당시 1972년 뮌헨 올림픽 준비에 한창이던 터라 청룡 대표팀 멤버들이 제외되고, 제15회 메르데카컵에 백호 대표팀 멤버들도 차출됨에 따라 제3회 대회는 각 축구단이 대표급 선수들이 모조리 제외된채 경기가 진행되었다. 결국 국가대표 선수가 가장 많았던 기업은행 (5명), 신탁은행 (4명)[1] 서울은행 (3명) 등이 예선 탈락의 수모를 겪었다.
- 한편 대표팀 선수들이 차출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어린 선수들이 대회 기간 내내 활약이 두드러졌다. 대표적인 예가 주택은행의 주태용, 외환은행의 박대호, 한일은행의 이종술 등이었으며, 특히 박대호 선수는 대회 우승을 확정짓는 결승골을 기록하였으며, 대회 총 2골을 기록하며 대회 득점 1위에 랭크되기도 하였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