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성고등학교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계성고등학교(啓聖高等學校)는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이다. 1906년 미국 장로교 선교사 제임스 아담스(James E. Adams, 한국명 안의화)가 세운 장로교 계열의 사립 학교로 영남지방 최초의 근대 중등교육기관으로 대구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고등학교이다. 계성고 혹은 계고라고 부르기도 한다.


학교 소개[편집]

1906년 미국 북장로회 소속의 선교사 제임스 아담스가 대구 남성로 남문안교회내 사택에 학교 설립한 후 1908년 대신동에 아담스관을 건축하고 교사를 이전하였다. 1912년 현재의 명칭인 사립계성학교로 인가를 받았으며 1919년 아담스관 지하에서 기미 독립선언서가 복사되어 3월 8일 영남지역 3.1운동이 시작되었다. 1945년에는 일제의 강압에 의해 대구공산중학교가 되었으나 해방후 계성중학교로 환원(1949)시키고 1950년에는 계성중학교와 분리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1999년까지는 남학교였으나 2000년부터 여학생도 입학하여 남녀공학이 되었다.[1] 한 때 경북고, 경북대 사대부고와 더불어 대구 최고수준의 명문고였으나 80년대 후반 수성학군의 대두로 몰락하여 성적이 바닥을 헤매다 2010년부터 자율형 사립고로 전환하였다. 학교의 역사만큼 오래된 건물도 많은데 아담스관(1908년,45호), 맥퍼슨관(1913년,46호), 핸더슨관(1931년,47호) 등 3채의 건물이 대구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학교 근처에 같은 재단 소속의 계성중학고, 계성초등학교, 계성유치원이 있으며 건너편에는 계명대 의대 부속 동산의료원이 있다. 계자돌림의 향연.[2]. 주변에는 전국 3대 시장인 서문시장이 있어 계성고를 서문상고라고 비하하기도 하는데 맹모삼천지교에 따르면 시장주변에서 공부가 잘될리가 없지만 서문시장 옆의 학교부지를 허물고 계성빌딩을 세워 그 건물에서 나오는 임대수익으로 자율형 사립고 전환을 위한 재단전입금을 마련했다고 하니 요즘은 맹모삼천지교가 정답이 아닐지도...

자율형 사립고 전환에 따라 2011년 상리동으로 이전예정이니 핸더슨관 아래의 50계단과 독수리상 등과 관련된 학교의 추억도 이제 추억이 될듯.. 교가에 '계성 계성 만세라 우리 계성 만만세'라는 구절은 학교에서 부를 때는 촌스럽다고 하면서도 결국 졸업하고 나면 그부분만 기억난다는 후문. 유도, 농구 등의 운동부가 있는데 84년 LA올림픽에서 안병근이 금메달을 차지했으며 특히 88년 서울올림픽에서는 유도금메달 리스트 2명(이경근, 김재엽)을 동시에 배출하기도 했다. 농구는 오랜 역사에 비해 유명선수가 별로 없다.(농구판 자체가 서울팀 위주로 굴러가니 사실 지방팀들은 연습상대도 구하기 힘들정도.) 축구부는 81년 해체.


출신 인물[편집]

  • 김동리 - 소설가 《무녀도》,《등신불》
  • 박목월 - 청록파 시인
  • 현제명 - 작곡가, 《고향생각》, 《그집앞》, 《희망의 나라로》
  • 정영삼 - 농구선수, 전자랜드 소속.


계성고 축구부[편집]

계성고축구부(1937년 5월 부산 원정기념 대구역)

'계성고 축구부의 전성기는 1930년대였다. 영남일대에서는 어느 학교나 단체도 감히 도전하지 못하였다. 전국대회에 A,B팀이 출전하여 동교끼리 결승전을 할만큼 상대가 없었다'[3]라고 전한다. 42년 학교체육에서 구기종목을 폐기하라는 총독부 지시에 따라 구기종목이 없어진 후 해방후에도 농구부만 부활하고 축구부는 없는 상태가 유지되었다.

그러다 1973년부터 체육특기자에 대한 배정[4]이 시작되면서 73년말 다시 축구부 창단을 선언하며 부활했다. 장운수감독을 초대감독으로 선임하고 팀이 창단되고 난 후 오세권을 중심으로 전성기를 맞아 지역 청구고와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며 대결했다.[5] 문교부장관기 전국 고교축구대회에서는 서울 중동고와 2년 연속 결승에서 만나 승부를 가리지 못해 공동우승을 차지하기도 하였다. 이후 이렇다 할 성적을 올리지 못하다가 1981년을 끝으로 해체되고 말았다. 당시 체육특기자는 학생수의 3%를 선발할 수 있었는데 계성고 학년 정원이 700명이었고 3%는 21명. 21명의 쿼터로는 유도부, 농구부, 축구부에 유력선수를 모두를 스카우트 할 수 없다는 한계와 재정적 부담이 해체 원인이었다. 계성중을 거쳐 계성고에 입학했던 황보관은 1학년때 축구부가 해체되어버리는 상황을 맞이해서 눈물을 머금고 서울체고로 전학갈 수 밖에 없었다.


출신 선수[편집]


주요 성적[편집]

  • 1974년 대구문화방송사장기 쟁탈 경북 고교축구대회 우승
  • 1975년 대구문화방송사장기 쟁탈 경북 고교축구대회 준우승
  • 1975년 청룡기 전국 중고 축구대회 준우승
  • 1975/76년 문교부장관기 쟁탈 전국 고교축구대회 2년 연속 공동우승(2회 모두 중동고)
  • 1976년 제20회 청룡기 전국 중고 축구대회 우승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1. 남고 시절에는 같은 재단의 신명여고와 조인트 동문회를 하기도 하였으나 2000년 남녀공학이 되며 바이바이. 신명여고도 2004년 남녀공학이 되었다
  2. 계성학교계열과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과 주변 동산동의 신명여고는 모두 북장로교, 대한예수교장로회 경북노회 계열의 재단이다. 현재는 신태식-신일희 부자가 사유화하여 경북노회랑 신씨일가가 계속 소송을 벌이는 중
  3. 계성고등학교 홈페이지 학교역사 내용 발췌. 당시의 기록이 남아 있는 건 전조선축구대회의 우승, 준우승팀 뿐이라 확인할 길이 없지만 당시 전조선축구대회도 일부팀(숭실학원,평양,함흥축구단)을 제외하곤 서울까지 원정가기가 만만치 않았을 터이므로 전조선축구대회에 우승명단이 없다는 이유로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4. 1963년부터 시작된 체육특기자 제도가 73년도에 대대적으로 개편되었는데 체육특기자들을 반강제적(?)으로 각 학교에 입학시키라는 조치였다. 강제성은 띄지 않았다 하지만 당시 군사정권에서의 권유는 강제성을 띄지 않을 수 없다. 이에 거의 대부분의 학교에서 운동부가 생겼는데 가장 선호된 것이 추가 시설이 필요없는 육상부였으며 그 다음이 인기 있는 구기종목이었다. 강제로 시작되었지만 권역별 배정으로 인해 서울의 유명 학교 운동부의 지방 우수 선수 스카우트가 없어지면서 지방의 학교 운동부가 활성화 되는 계기가 되었다. 대구의 경우 이 조치로 인해 청구고, 협성고, 대륜고, 계성고에 축구부가 생기기 되었다. 구기종목 가운데 가장 창단비용이 들지 않는 종목이 축구. 공만 있으면 골대야 학교마다 설치되어 있으니.
  5. 1975년 경북 고교축구대회 당시청구고와의 결승전에서 1대0으로 앞선 후반 종료 3분전 패널티킥을 허용해 한골먹고 1분후 다시 한골을 먹어 역전패후 준우승에 그쳤는데 계성고 졸업생 및 재학생 응원단 2000여명중 100여명이 단상을 점거하고 기물을 부수면서 경기무효를 주장하였으며, 다시 800명이 중구 공평동 경북체육회까지 1.5km 가두 시위, 다시 범어동 대구MBC로 진출하려다 경찰에 의해 해산..ㅎㄷㄷ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