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차이 없음)

2012년 7월 9일 (월) 04:14 판

파일:유상철.jpg
울산 시절의 유상철

유상철(1971년 10월 18일~)은 대한민국 서울 출생으로 1994년부터 2006년까지 울산 현대에서 뛴 올라운드 플레이어이다.

2011년 7월부터 대전 시티즌 제 6대 감독으로 선임되어 대전을 지휘하고 있다.


선수 프로필

  • 이름 : 유상철
  • 등록명 : 유상철
  • 출생일 : 1971년 10월 18일
  • 유스클럽 : 건국대학교 졸업
  • 신체 : 184cm / 78kg
  • 포지션 : 골키퍼를 제외하고 전부 다 가능
  • 국가대표 경력
1996년 AFC 아시안컵 대표
1998년 FIFA 프랑스 월드컵 대표
2000년 AFC 아시안컵 대표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대표
2002년 FIFA 한일 월드컵 대표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대표
(통산 A매치 122경기 출장 18골)
  • 수상 경력
1994년 K리그 시즌 베스트 11 선정 (DF 부문)
1998년 K리그 득점왕 수상
1998년 K리그 시즌 베스트 11 선정 (MF 부문)
2002년 K리그 시즌 베스트 11 선정 (FW 부문)
  • 특이 기록
DF, MF, FW 각 부문에서 K리그 시즌 베스트 11을 수상
역대 한국 국가대표 A매치 최다 출장 3위 (1위는 홍명보, 2위는 이영표)
  • 현 소속팀 : 선수 생활 은퇴
  • 등번호 : -


  • K리그 기록
소속팀 연도 출장 교체 득점 도움 경고 퇴장
현대 호랑이 1994 26 9 5 1 2 0
현대 호랑이 1995 33 1 2 2 5 0
울산 현대 호랑이 1996 6 2 1 0 2 0
울산 현대 호랑이 1997 17 1 1 0 1 0
울산 현대 호랑이 1998 23 2 15 3 2 1
울산 현대 호랑이 2002 8 1 9 0 0 0
울산 현대 호랑이 2003 10 2 3 2 1 1
울산 현대 호랑이 2005 18 8 1 1 1 0
울산 현대 2006 1 1 0 0 0 0
통산 (K리그) - 142 27 37 9 14 2
K리그 통산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1년 3월 1일 기준


지도자 프로필

  • 2006 ~ 현재 : 유상철 축구교실 총감독
  • K리그 감독 기록
소속팀 연도 리그 순위 컵대회 FA컵 ACL
대전 시티즌 2011[1] 3 3 6 15위 - - 미참가
대전 시티즌 2012 미참가
통산 (K리그) - 3 3 6


유소년 생활

K리그

지도자 생활

선수 생활 은퇴 후, 중국 광저우 등지에서 유상철 국제축구교실을 운영하다 2009년부터 춘천기계공고 초대 축구부 감독으로 부임하여 지도자로 활약중이다. 2011년 7월 해임된 대전 시티즌왕선재 감독의 후임으로 대전 사령탑 물망에 올라있다는 보도가 있었고, 드디어 2011년 7월 17일, 대전 시티즌 제 6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과거 김대수 선수와의 충돌로 대전과 악연이 있었던 유상철 감독이 대전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벌써부터 기대를 모으고있다. 참고로 대전 시티즌 최고참 선수인 최은성과 동갑내기라 선수단 장악 여부도 관심이 집중되었다. 하지만 2012시즌을 앞두고, 최은성이 구단 사장과의 마찰로 팀을 나가자, 대전은 구심점을 잃은 듯 표류했다. 하지만 케빈김형범 등 경험 많은 공격진을 중심으로 팀의 무게가 잡혀가면서 분위기를 반등시키는 데 성공한듯.


플레이 스타일

에피소드

  • 유상철 선수는 K리그 시절, 1998년 단 1시즌만을 풀타임으로 스트라이커로 뛰었다. 그리고 그 시즌에 K리그 득점왕을 차지했다..[2]


경력

  • 2002 ~ 2003 : 울산 현대 / K리그
  • 2003 ~ 2004 : 요코하마 F.마리노스 / J리그
  • 2005 ~ 2006 : 울산 현대 / K리그


같이 보기

외부링크

참고

  1. 2012년 7월 감독에 선임되었기 때문에, FA컵과 컵대회는 본선 탈락한 상태로 시즌을 시작하였다.
  2. 단 2002년과 2003년 유상철의 포지션은 올라운드 플레이어에 가까웠기 때문에, 1998년만 스트라이커로 뛰었다고 평가하기엔 무리가 있다. 정확히는 1998년만 시즌 풀타임으로 스트라이커로 뛰었다고 표현함이 옳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