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시즌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잔글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 종합순위에서 1위를 한 팀이 챔피언 결정전에 나갈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 * 종합순위에서 1위를 한 팀이 챔피언 결정전에 나갈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 ||
− | == | + | |
− | === | + | == 축구 == |
− | + | === [[K리그]] === | |
− | + | K리그 출범 이전 [[실업축구]]시절 이전부터 춘계,추계 양식으로 대회가 열렸다. | |
− | + | K리그에서는 2004년부터 2006 년까지 실시되고 있었다. 전기 후기 우승 팀, 그렇지 팀에서 연간 통산 성적 상위 2 팀 ( 와일드 카드 )를 더한 4 팀이 플레이 오프를 진행했다. | |
− | + | ||
+ | === [[J리그]] === | ||
+ | J리그 는 1993 년 부터 2004 년 까지 ( 1996 년 제외) 2 시즌 제를 실시했다. | ||
1995 년까지 1 단계와 2 단계 우승팀이 동일한 경우에도 각각의 스테이지의 2 위팀끼리 의한 플레이 오프 승리 팀 (2 위 같은면 그 팀)과 J 리그 챔피언십 을 싸우기 규칙 있었다 (실제로이 기간 동안, 2 단계 모두 우승한 예는 없었다 때문에, 스테이지 우승하지 않는 팀이 챔피언십에 출전한 적이 없다). | 1995 년까지 1 단계와 2 단계 우승팀이 동일한 경우에도 각각의 스테이지의 2 위팀끼리 의한 플레이 오프 승리 팀 (2 위 같은면 그 팀)과 J 리그 챔피언십 을 싸우기 규칙 있었다 (실제로이 기간 동안, 2 단계 모두 우승한 예는 없었다 때문에, 스테이지 우승하지 않는 팀이 챔피언십에 출전한 적이 없다). | ||
1997 년부터는 1 단계와 2 단계 우승팀이 동일한 경우 자동으로 팀이 년간 챔피언이되도록 바뀌었다. | 1997 년부터는 1 단계와 2 단계 우승팀이 동일한 경우 자동으로 팀이 년간 챔피언이되도록 바뀌었다. | ||
JFL 에서 시즌을 전후기로 나누어 개최되고 있지만, 천황배 시드 권한 획득 팀 결정을 위해이고, 연간 순위는 시즌 통해서 성적으로 결정된다. | JFL 에서 시즌을 전후기로 나누어 개최되고 있지만, 천황배 시드 권한 획득 팀 결정을 위해이고, 연간 순위는 시즌 통해서 성적으로 결정된다. | ||
− | + | ===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 | |
아르헨티나 1 부 리그 " 뿌리메라디비죤 "에서는 1991 년 / 1992 년 시즌부터 연간 2 회 무차별를 "아뻬루투라"(전기)과 "쿠라우스라"(후기) 2 시즌 각각 1 회씩 무차별 리그 우승 을 다투고있다. 그러나 우승팀이 다른 경우에도 연간 결승전은하지 않고, 각각의 스테이지의 우승팀 + 그렇지 팀 연간 종합 승점 상위 3 위까지 코파 리베르 타도 레스 의 다음 시즌 출전권이 주어진다. | 아르헨티나 1 부 리그 " 뿌리메라디비죤 "에서는 1991 년 / 1992 년 시즌부터 연간 2 회 무차별를 "아뻬루투라"(전기)과 "쿠라우스라"(후기) 2 시즌 각각 1 회씩 무차별 리그 우승 을 다투고있다. 그러나 우승팀이 다른 경우에도 연간 결승전은하지 않고, 각각의 스테이지의 우승팀 + 그렇지 팀 연간 종합 승점 상위 3 위까지 코파 리베르 타도 레스 의 다음 시즌 출전권이 주어진다. | ||
+ | |||
+ | |||
+ | == 기타종목 == | ||
=== 야구 === | === 야구 === | ||
* 메이저 리그 | * 메이저 리그 |
2011년 4월 28일 (목) 18:09 판
2시즌제(2Season制)는 스포츠에서 1년동안 시즌을 2개로 분리하여, 분기별로 우승자를 따로 정하거나 분기별 우승자간의 결정전을 통해 우승자를 결정하는 제도이다.
개요
스포츠 경기는 일반적으로 1년[1]을 기준으로 하나의 시즌을 치루는데[2], 2시즌제는 단일한 시즌이 아니라 전,후기 또는 춘,추계 등으로 2개의 시즌으로 나눠 싸우는 방식이다. 2시즌제는 크게 2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2개의 시즌을 별도로 두는 경우와 두개의 시즌의 승자가 플레이오프를 통해 한해의 우승자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종류
2시즌제는 각 시즌의 승자가 그대로 별도의 챔피언이 되는 경우와 우승 결정전(플레이 오프 또는 챔피언십)을 통해 시즌 우승팀을 결정하는 경우가 있다. 또 후자의 경우, 동일한 팀이 전기 후기 모두 제패하면 우승 결정전은 하지 않고 해당 팀이 우승팀이 되는 경우와 2위팀간의 플레이오프 또는 종합순위2위팀과 우승 결정전을 실시하는 경우로 나뉠 수 있다.
별도 시즌 방식
별도 시즌 방식은 초창기 역량의 한계로 연중 풀리그를 치루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회가 나뉘어 치뤄지다가 이가 정착된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 춘계와 추계 : 보통 춘,추계로 구분되는 대회는 별도의 대회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과거의 실업축구나 연중리그가 치뤄지기 전의 대학축구나 고교축구에서 이런 방식으로 치뤄졌다. 보통 리그전보다는 조별 리그 후 결선토너먼트로 진행된다.
- 한해 2개의 시즌(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을 운영하는 중남미 국가중 과테말라, 멕시코,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칠레, 콜롬비아, 파나마 등의 나라는 2개의 시즌별로 각기 다른 챔피언이 있으며, 두 시즌은 별도로 취급된다.
통합 결정전 방식
각 시즌의 승자가 챔피언 결정전 또는 플레이 오프를 통해 시즌 우승팀을 결정한다.
- 전기와 후기 : 보통 전, 후기로 구분하는 개의 시즌은 챔피언 결정전을 통해 우승팀을 결정한다. 1988년 이전의 한국프로야구와 2004년~2007년 사이의 K리그, 2007년 이후의 내셔널리그가 이에 해당한다.
- 한해 2개의 시즌(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을 운영하는 중남미 국가중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에콰도르, 우루과이, 코스타리카, 파라과이, 페루 등의 국가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가 전체시즌의 일부로 존재하여, 2개의 시즌 후 별도의 챔피언 결정전을 실시한다.
장단점
2시즌제는 방식에 여러 장단 점이 존재한다.
장점
- 전기리그에서 뒤쳐져도 후기리그에서 리빌딩을 통해 우승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 우승 경쟁의 기회가 늘어나 팬들의 관심이 늘어난다. (대체로 기존 리그가 흥행이 떨어지면 2시즌제를 실시한다. 일본 퍼시픽리그[3], 1981년의 미국 메이져리그 야구[4])
- 타이틀 수가 늘어난다. (성적 압박을 받는 감독에게는 목숨줄이 늘어난다.)
단점
- 챔피언 결정전을 치를 경우 연간 시합이 증가한다[5].
- 전기리그 우승팀이 후기리그에서 성적이 나빠질 수 있다. 전기 우승후 후기리그는 포기하고 챔결만 준비하는 막장 운영을 볼 수 있다. 2004년도의 부산 아이파크
- 종합순위에서 1위를 한 팀이 챔피언 결정전에 나갈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축구
K리그
K리그 출범 이전 실업축구시절 이전부터 춘계,추계 양식으로 대회가 열렸다. K리그에서는 2004년부터 2006 년까지 실시되고 있었다. 전기 후기 우승 팀, 그렇지 팀에서 연간 통산 성적 상위 2 팀 ( 와일드 카드 )를 더한 4 팀이 플레이 오프를 진행했다.
J리그
J리그 는 1993 년 부터 2004 년 까지 ( 1996 년 제외) 2 시즌 제를 실시했다. 1995 년까지 1 단계와 2 단계 우승팀이 동일한 경우에도 각각의 스테이지의 2 위팀끼리 의한 플레이 오프 승리 팀 (2 위 같은면 그 팀)과 J 리그 챔피언십 을 싸우기 규칙 있었다 (실제로이 기간 동안, 2 단계 모두 우승한 예는 없었다 때문에, 스테이지 우승하지 않는 팀이 챔피언십에 출전한 적이 없다). 1997 년부터는 1 단계와 2 단계 우승팀이 동일한 경우 자동으로 팀이 년간 챔피언이되도록 바뀌었다. JFL 에서 시즌을 전후기로 나누어 개최되고 있지만, 천황배 시드 권한 획득 팀 결정을 위해이고, 연간 순위는 시즌 통해서 성적으로 결정된다.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아르헨티나 1 부 리그 " 뿌리메라디비죤 "에서는 1991 년 / 1992 년 시즌부터 연간 2 회 무차별를 "아뻬루투라"(전기)과 "쿠라우스라"(후기) 2 시즌 각각 1 회씩 무차별 리그 우승 을 다투고있다. 그러나 우승팀이 다른 경우에도 연간 결승전은하지 않고, 각각의 스테이지의 우승팀 + 그렇지 팀 연간 종합 승점 상위 3 위까지 코파 리베르 타도 레스 의 다음 시즌 출전권이 주어진다.
기타종목
야구
- 메이저 리그
- 메이저리그에서는 1981 년 실시되었다. 이 년은 시즌 도중에 선수 회 가 파업 을 결행, 시즌이 같은 해 6 월 12 일 부터 8 월 8 일 까지 57 일간 중단되었다. 따라서 개막전부터 6 월 11 일 까지 전기, 8 월 10 일 부터 폐막까지 후기로 지구 우승 결정전 ( 디비전 시리즈 )를 실시했다.
- 일본 프로야구
- 일본 프로 야구 에서는 1937 년 및 1938 년 및 1973 년 부터 1982 년 2 번, 2 시즌 제가 실시되고 있었다.
1 리그이었다 1937 년 1938 년 시즌을 봄과 가을로 나누어 춘계 우승팀과 가을 우승팀의 우승 결정전이 7 차전 제로 실시되었다. 그러나 통산 우승 횟수로 계산되는 것은 춘계 우승 추계 우승뿐, 시즌 우승은 계산되지 않는다. 1973 년부터 1982 년 퍼시픽 리그 에서만 실시되었다. 당시 130 경기 제로 실시되고 있었다 시즌 65 경기 씩의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전기 우승팀과 후기 우승팀이 5 라운드 제의 플레이 오프를 실시했다. 덧붙여 전 후기 모두 동일한 팀이 우승한 경우는 실시되지 않았다. 이 다른 두 군에서도 웨스턴 리그 가 2003 년 및 2004 년 2 년간 실시하고 있었다. 독립 리그 에서는 시코쿠 아일랜드 plus 가 2006 년 부터,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 가 2008 년 부터 각각 2 시즌 제로 리그전을 실시하고있다.2009 년 발족 간사이 독립 리그 는 첫해부터 2 시즌 제를 채택했다. 또한 일본 여자 프로 야구기구 도 2 팀만이다, 2 시즌제 (연간 40 경기를 20 경기 씩으로 구분)으로 싸우는 방식을 취하고있다
- 한국 프로 야구
- 한국 프로 야구 에서는 1982 년 부터 1988 년 까지 실시되고 있었다.
1984 년 까지 일본 퍼시픽 리그에서 실시하던 방식 (위)와 동일했다. 1985 은 전기 후기 우승 팀 모두 통산 1 위 않으면 전기 우승팀과 후기 우승팀이 플레이 오프를하고 승리 팀과 통산 1 위 팀이 한국 시리즈를 싸우는 방식으로 개정되었다. 이 년까지는 전후기 모두 동일한 팀이 우승한 경우 (1985 년 전후기 승률이 모두 1 위를 차지했다 경우) 한국 시리즈는 실시되지 않고 해당 팀이 리그 종합 우승되었다. 1986 년 부터는 전기 후기 모두에서 2 위 이상이면 한국 시리즈 직행, 전기 후기 하나만으로 2 위 이상의 팀은 플레이 오프 (1 위 2 위 어깨띠 인용)으로 출전권을 다투는 방식 다시 개정되었다.
- 중화 직업 봉구 대 연맹
- 대만 프로 야구 중화 직업 봉구 대 연맹 에서는 2000 년 부터 실시되고있다.
2004 년 까지 전기 후기 우승 팀이 7 차전 제의 결승전을 실시했다. 전기 후기 같은 팀이 우승했을 경우, 그 팀은 1 승 어드밴티지를 얻고 연간 승률 2 위 팀과 대전 하였다. 2005 년 부터는 전기 후기 우승 팀 중 통산 1 위가 아닌 팀과 다른 최고 승률 팀의 플레이 오프를 실시하여 그 우승자가 통산 1 위 팀과 대만 시리즈에서 맞붙는다. 전기 후기 같은 팀이 우승하면 다른 승률 2 위팀이 앞당겨 출전한다.
농구 편 [ 편집 ] 필리핀 프로 농구 [ 편집 ] 필리핀 프로 농구 는 2004-05 시즌부터 실시되고있다. 전기는 필리핀 컵라고, 필리핀 선수만이 출전 선수 등록할 수있다. 후반은 피에스타 컨퍼런스라고, 외국인 선수 등록이 인정된다. 다른 프로 리그에서 2 시즌 제와 달리 년간 타이틀전은 일어나지 않는다.
참고사항
- ↑ 단년제일수도 있고 연년제일수도 있기 때문에 달력에 따른 1년이 아니라 1년(365일)이라는 기간을 의미
- ↑ 프레시즌, 레귤러시즌(정규시즌), 포스트시즌으로 구분하나 프레시즌은 비시즌을 의미하고, 포스트시즌은 플레이오프 같은 시즌의 마지막 결선토너먼트를 뜻하며 시즌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 ↑ 양대리그로 진행되는 일본 프로야구에서 요미우리를 중심으로 한 센트럴리그의 흥행으로 퍼시픽리그가 위기에 처하자 전,후기리그를 실시했다. (1973년~1984년)
- ↑ 1981년 MLB 선수노조의 파업으로 인해 팬층의 반발이 커지자 전,후기리그를 실시했다.
- ↑ 단일 시즌임에도 플레이오프을 치르는 K리그는 해당사항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