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회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제1회]]<ref>1971년 5월 2일부터 15일까지 개최되었으며 출전국은 한국, 태국, 크메르, 말레이시아, 버마, 대만, 인도네시아, 월남이었다. 대회 내내 비바람이 몰아치는 쌀쌀한 날씨가 계속되어 동남아 팀들이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했으며, 결국 결승전은 한국 vs 버마의 경기로 이루어졌다. 5월 13일과 15일 2차례나 결승전을 가졌지만, 전후반 연장에도 승부가 나질않아 결국 0:0 무승부로 한국과 버마가 공동우승을 차지하였다.</ref>||1971||rowspan=5|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대한민국 축구국가대표팀|대한민국]]''', '''[[버마]]''' 공동 우승|| 0:0 || || 첫번째 대회 | | ||[[제1회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제1회]]<ref>1971년 5월 2일부터 15일까지 개최되었으며 출전국은 한국, 태국, 크메르, 말레이시아, 버마, 대만, 인도네시아, 월남이었다. 대회 내내 비바람이 몰아치는 쌀쌀한 날씨가 계속되어 동남아 팀들이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했으며, 결국 결승전은 한국 vs 버마의 경기로 이루어졌다. 5월 13일과 15일 2차례나 결승전을 가졌지만, 전후반 연장에도 승부가 나질않아 결국 0:0 무승부로 한국과 버마가 공동우승을 차지하였다.</ref>||1971||rowspan=5|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대한민국 축구국가대표팀|대한민국]]''', '''[[버마]]''' 공동 우승|| 0:0 || || 첫번째 대회 |
− | ||[[제2회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제2회]]<ref>1972년 9월 20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 대회에 출전국은 한국, 태국, 크메르, 말레이시아, 버마, 인도네시아, 싱가폴, 필리핀이었다. 한국은 준결승까지는 무난하게 진출하였으나, 준결승 상대로 전대회 공동우승팀인 버마를 만났고, 버마는 전반 23분 터진 결승골을 잘지켜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한국은 후반 PK를 얻었으나, 키커인 [[김진국]] 선수가 이를 놓친 것이 두고두고 아쉬웠다. 이후 한국은 3,4위전에서 말레이시아를 [[박수덕]]의 결승골로 누르고 3위를 차지하였다.</ref> ||1972||'''버마''' || || 인도네시아 || 대한민국 3위 | + | ||[[제2회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제2회]]<ref>1972년 9월 20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 대회에 출전국은 한국, 태국, 크메르, 말레이시아, 버마, 인도네시아, 싱가폴, 필리핀이었다. 한국은 준결승까지는 무난하게 진출하였으나, 준결승 상대로 전대회 공동우승팀인 버마를 만났고, 버마는 전반 23분 터진 결승골을 잘지켜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한국은 후반 PK를 얻었으나, 키커인 [[김진국]] 선수가 이를 놓친 것이 두고두고 아쉬웠다. 이후 한국은 3,4위전에서 말레이시아를 [[박수덕]]의 결승골로 누르고 3위를 차지하였다.</ref> ||1972||'''버마''' || 3:1 || 인도네시아 || 대한민국 3위 |
| ||[[제3회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제3회]]||1973||'''버마''', '''[[크메르]]''' 공동 우승|| 0:0 || || 대한민국 3위 | | ||[[제3회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제3회]]||1973||'''버마''', '''[[크메르]]''' 공동 우승|| 0:0 || || 대한민국 3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