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대통령배 전국 축구대회에서 넘어옴)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는 아마추어 성인 축구의 최강 클럽을 가리는 대회로 매년 상반기에 개최되었으며 1952년 시작되어 똑같은 이름으로 유지되고 있는 몇 안 되는 전통의 축구대회였으나 2010년 폐지되었다.
역사[편집]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는 전국축구선수권대회와 더불어, 몇 안되는 아마추어 축구팀ㆍ실업축구팀ㆍ대학축구팀 전용 대회였으며 매해 3 ~ 4월 달에 (이전에는 대회 개최 시기도 들쭉날쭉했으나, 2000년대 들어서면서 3~4월 개최로 정착하였다.) 토너먼트 형식으로 개최되었다. 1952년부터 시작되어 지금까지 똑같은 이름으로 유지되고 있는 전통을 자랑하는 국내축구대회였으나, 2010년 3월 개최 예정이었던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가 경기 과열로 인한 부상 선수의 빈발과 우승해봐야 크게 메리트가 없는 대회라는 점 등의 불만이 실업 팀들을 중심으로 나와 대회 존치 문제가 논의되었고, 결국 2010년 대회가 개최되지 않음에 따라 자연스럽게 동대회가 폐지된 것으로 간주되기에 이른다. 씁쓸하게도 이러한 대회 무산과 폐지와 관련하여 기사 한 줄 나오지 않았다.
참가팀[편집]
한국실업축구연맹 산하팀과 아마축구 및 대학축구연맹 산하팀이 참가해 왔으며, 한때는 K리그 2군팀도 참가 한적이 있었다.
연도별 우승 클럽[편집]
연도 | 우승 | 준우승 |
---|---|---|
1952 | 특무대 (CIC) | 조선방직 |
1953 | 특무대 | 조선방직 |
1954 | 첩보대 (HID) | 조선방직 |
1955 | 해병대 | 병참단 |
1956 | 특무대 | 병참단 |
1957 | 특무대 | 헌병감실 |
1958 | 첩보대 | 해병대 |
1959 | 특무대 | 해병대 |
1960 | 연세대학교 | 치안국 |
1961 | 방첩부대와 연세대학교의 결승전은 시국 불안정 등을 이유로 취소되었다. | |
1962 | 한국전력 | 대한중석 |
1963 | 제일모직 | 서울시경 |
1964 | 대한석탄공사 | 한국전력 |
1965 | 대한중석 | 병참단 |
1966 | 대한중석 | 서울시경 |
1967 | 제일모직 | 한국전력 |
1968 | 양지 축구단 | 제일모직 |
1969 | 해병대 | 연세대학교 |
1970[1] | 상업은행 | 해병대 |
1971[2] | 육군 | 해병대 |
1972[3] | 주택은행 | 산업은행 |
1973 | 국민은행 | 상업은행 |
1974 | 포항제철 | 성균관대학교 |
1975 | 육군 | 한양대학교 |
1976 | 자동차보험 | 고려대학교 |
1977 | 한양대학교 | 기업은행 |
1978 | 경희대학교 | 해군 |
1979 | 해군 | 고려대학교 |
1980 | 연세대학교 | 육군 충의 |
1981 | 기업은행 | 새한자동차 |
1982 | 고려대학교 | 국민은행 |
1983 | 국민은행 | 명지대학교 |
1984 | 명지대학교 | 상무 |
1985 | 서울신탁은행 | 성균관대학교 |
1986 | 국민은행 | 상업은행 |
1987 | 명지대학교 | 국민은행 |
1988 | 할렐루야 축구단 | 국민은행 |
1989 | 연세대학교 | 포항제철 |
1990 | 국민은행 | 현대 |
1991 | 영남대학교 | 국민은행 |
1992 | 주택은행 | 한일은행 |
1993 | 주택은행 | 한국전력 |
1994 | 이랜드 푸마 | 할렐루야 축구단 |
1995 | 국민은행 | 주택은행 |
1996 | 주택은행 | 영남대학교 |
1997 | 주택은행 | 연세대학교 |
1998 | 주택은행 | 한일생명 |
1999 | 천안 일화 천마 | 전북 현대 다이노스 |
2000 | 고려대학교 | 경희대학교 |
2001 | 경희대학교 | 울산대학교 |
2002 | 홍익대학교 | 할렐루야 축구단 |
2003 | 국민은행 | 경찰청 |
2004 | 수원 시청 | 한국철도 |
2005 | 울산 현대미포조선 | 국민은행 |
2006 | 안산 할렐루야 축구단 | 부산 교통공사 |
2007 | 수원 시청 | 건국대학교 |
2008 | 울산 현대미포조선 | 고양 국민은행 |
2009 | 강릉시청 | 천안시청 |
연도별 대회 소개[편집]
- ↑ 1970년 6월 3일부터 9일까지 인천공설운동장에서 개최되었으며 금융단팀 9개 (상은, 산은, 외환, 서은, 기은, 국민, 한일, 제일, 신탁)ㆍ군 및 실업팀 6개 (해병대, 육군, 제일모직, 대한중석, 한국전력, 한국합판)ㆍ대학팀 2개 (고려대, 성균관대) 등 총 17팀이 참가하여 사상 최대 규모의 대회로 기록되었다. 결승전은 이회택이 버티고있는 해병대 대 김호가 버티고있는 상업은행이 격돌하였으며, 전반 32분 이순명의 득점을 지켜낸 상업은행이 1:0으로 승리해 우승컵을 거머쥐었다.
- ↑ 1971년 10월 20일부터 26일까지 전주공설운동장에서 개최되었으며 금융단팀 10개 (주택, 상은, 산은, 외환, 서은, 기은, 국민, 한일, 제일, 신탁)ㆍ군 및 실업팀 6개 (해병대, 육군, 제일모직, 한국전력, 철도청, 한국합판)ㆍ대학팀 2개 (한양대, 고려대) 등 총 18팀이 참가하였다. 결승전은 해병대와 육군이 격돌하였으며, 연장까지 가는 접전 끝에 연장전 최운항, 임태주의 연속골에 힘입어 육군이 2:0으로 승리, 우승컵을 거머쥐었다.
- ↑ 1972년 4월 17일부터 23일까지 총 18개팀이 참가하여 진행되었다. 토너먼트 끝에 4강전에 자동차보험, 상업은행, 주택은행, 육군이 진출하였고 결승전은 상업은행 vs 주택은행이 격돌하였다. 결승전에서는 후반 39분 김재한의 결승골로 주택은행이 1:0 승리를 거두며 우승을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