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 챌린지 2015"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잔글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로고크기 = 300픽셀 | | 로고크기 = 300픽셀 | ||
| 시즌 = 2015 | | 시즌 = 2015 | ||
− | | 우승 | + | | 우승 = TBC |
+ | | 정규리그 1위 = | ||
+ | | 준우승 = TBC | ||
| 승격팀 = TBC | | 승격팀 = TBC | ||
+ | | 강등팀 = | ||
| 대륙컵1 이름 = | | 대륙컵1 이름 = | ||
| 대륙컵1 진출 = | | 대륙컵1 진출 = | ||
| 득점왕 = TBC | | 득점왕 = TBC | ||
+ | | 최우수 선수 = TBC | ||
| 최다 점수차 홈 승 = TBC | | 최다 점수차 홈 승 = TBC | ||
| 최다 점수차 원정 승 = TBC | | 최다 점수차 원정 승 = TBC | ||
23번째 줄: | 27번째 줄: | ||
| 다음시즌 = ''[[K리그 챌린지 2016|2016]]'' | | 다음시즌 = ''[[K리그 챌린지 2016|2016]]'' | ||
}} | }} | ||
− | '''K리그 챌린지 2015'''는 [[대한민국]] 프로축구 2부 리그의 | + | '''K리그 챌린지 2015'''는 [[대한민국]] 프로축구 2부 리그의 세번째 시즌이다. |
= 규칙 = | = 규칙 = | ||
− | [[서울 이랜드 FC]]의 참가로 [[K리그 챌린지|지난 해]]에 비해 1개 클럽이 늘어난 11개 클럽이 4라운드 풀리그 형식으로 정규 리그를 치른다. | + | [[서울 이랜드 FC]]의 참가로 [[현대오일뱅크 K리그 챌린지 2014|지난 해]]에 비해 1개 클럽이 늘어난 11개 클럽이 4라운드 풀리그 형식으로 정규 리그를 치른다. 홀수 팀으로 인해 매 라운드 별로 한 팀씩 휴식 라운드를 갖게 된다. 정규 리그 성적에 따라 우승 클럽은 [[K리그 클래식]]으로 직행 승격하고, 2위부터 4위까지는 챌린지 플레이오프를 거쳐 [[K리그 클래식 2015|K리그 클래식]] 11위 팀과 [[홈&어웨이]] 방식으로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를 펼친다. |
본격적인 '''[[23세 이하 선수 의무 등록 및 출전 규정]]'''의 시행으로 각 클럽은 소속팀 유스 출신 선수와 만 22세 이하 선수를 제외하고 25명까지 선수 등록이 가능하며, 경기 명단에 만 23세 이하 선수 2명을 의무적으로 포함시키고, 그 중 한 명을 선발로 나서게 해야한다. 그러나 2015년 1차 연맹 이사회 및 정기총회<ref>http://kleague.com/kr/sub.asp?avan=1005010000&bs_code=news0&NEWSMode=view&intseq=11415&</ref>의 결정에 따라 이 제도를 '''시행하지 않기로''' 하였다.<br>2015년 1차 연맹 이사회 및 정기총회에서는 이번 시즌부터 군경팀의 임대 선수에 대한 원소속 팀 출전 금지 조항이 폐지되었으며, 2016 시즌부터 참여를 희망하는 구단에 한해 [[R리그]]를 시행하기로 하였다. 또한 전임심판제를 폐지하고 전담심판제를 도입하여 가용 심판 인원이 2014년 기준 46명에서 약 70명까지 늘어나 심판간의 무한경쟁이 가능해진다. | 본격적인 '''[[23세 이하 선수 의무 등록 및 출전 규정]]'''의 시행으로 각 클럽은 소속팀 유스 출신 선수와 만 22세 이하 선수를 제외하고 25명까지 선수 등록이 가능하며, 경기 명단에 만 23세 이하 선수 2명을 의무적으로 포함시키고, 그 중 한 명을 선발로 나서게 해야한다. 그러나 2015년 1차 연맹 이사회 및 정기총회<ref>http://kleague.com/kr/sub.asp?avan=1005010000&bs_code=news0&NEWSMode=view&intseq=11415&</ref>의 결정에 따라 이 제도를 '''시행하지 않기로''' 하였다.<br>2015년 1차 연맹 이사회 및 정기총회에서는 이번 시즌부터 군경팀의 임대 선수에 대한 원소속 팀 출전 금지 조항이 폐지되었으며, 2016 시즌부터 참여를 희망하는 구단에 한해 [[R리그]]를 시행하기로 하였다. 또한 전임심판제를 폐지하고 전담심판제를 도입하여 가용 심판 인원이 2014년 기준 46명에서 약 70명까지 늘어나 심판간의 무한경쟁이 가능해진다. | ||
41번째 줄: | 45번째 줄: | ||
| [[FC 안양]] || 5위 || 안양 || {{국기그림|대한민국}} [[이우형]] || {{국기그림|대한민국}} [[]] || [[안양종합운동장]] || 17,143명 | | [[FC 안양]] || 5위 || 안양 || {{국기그림|대한민국}} [[이우형]] || {{국기그림|대한민국}} [[]] || [[안양종합운동장]] || 17,143명 | ||
|- | |- | ||
− | | [[강원 FC]] || 3위 || | + | | [[강원 FC]] || 3위 || 강원도<ref>주로 춘천과 원주에서 경기를 열었으나, 경기장들이 공사에 들어가 속초에서 경기를 개최한다.</ref> || {{국기그림|대한민국}} [[최윤겸]] || {{국기그림|대한민국}} [[황교충]]<ref>[[백종환]]이 공동 주장으로 선임되었다. 경기 도중 필드 플레이어들을 리드하는 역할을 백종환이 맡고 팀의 주장은 황교충이 담당하는 모양새다.</ref> || [[속초종합경기장]] || 25,000명 |
|- | |- | ||
| [[경남 FC]] || [[K리그 클래식]] 11위 || 경남<ref>사실상 창원</ref> || {{국기그림|대한민국}} [[박성화]] || {{국기그림|대한민국}} [[진경선]] || [[창원축구센터]] || 15,116명 | | [[경남 FC]] || [[K리그 클래식]] 11위 || 경남<ref>사실상 창원</ref> || {{국기그림|대한민국}} [[박성화]] || {{국기그림|대한민국}} [[진경선]] || [[창원축구센터]] || 15,116명 | ||
|- | |- | ||
− | | [[고양 Hi FC]] || 8위 || 고양 || {{국기그림|대한민국}} [[ | + | | [[고양 Hi FC]] || 8위 || 고양 || {{국기그림|대한민국}} [[이영무]] || {{국기그림|대한민국}} [[오기제]] || [[고양종합운동장]] || 41,311명 |
|- | |- | ||
| [[대구 FC]] || 7위 || 대구 || {{국기그림|대한민국}} [[이영진]] || {{국기그림|대한민국}} [[]] || [[대구월드컵경기장]] || 66,442명 | | [[대구 FC]] || 7위 || 대구 || {{국기그림|대한민국}} [[이영진]] || {{국기그림|대한민국}} [[]] || [[대구월드컵경기장]] || 66,442명 | ||
104번째 줄: | 108번째 줄: | ||
| 2 || [[상주 상무]] || '''-''' || || || || || || ||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K리그 승강 PO]] 챌린지 플레이오프 | | 2 || [[상주 상무]] || '''-''' || || || || || || ||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K리그 승강 PO]] 챌린지 플레이오프 | ||
|-style="background: #ccfffc;" | |-style="background: #ccfffc;" | ||
− | | 3 || [[안산 경찰청]] || '''-''' || || || || || || ||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K리그 승강 PO]] 챌린지 준플레이오프 | + | | 3 || [[안산 경찰청]] || '''-''' || || || || || || || || rowspan=2|[[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K리그 승강 PO]] 챌린지 준플레이오프 |
|-style="background: #ccfffc;" | |-style="background: #ccfffc;" | ||
− | | 4 || [[강원 FC]] || '''-''' || || || || || || || | + | | 4 || [[강원 FC]] || '''-''' || || || || || || || |
|- | |- | ||
| 5 || [[FC 안양]] || '''-''' || || || || || || || || | | 5 || [[FC 안양]] || '''-''' || || || || || || || || | ||
348번째 줄: | 352번째 줄: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
+ | * [[K리그 클래식 2015]] | ||
+ | |||
+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2015]] | ||
2015년 2월 16일 (월) 17:48 판
K리그 챌린지 2015 | |
---|---|
개요 | |
시즌 | 2015 |
우승 | TBC |
준우승 | TBC |
승격한 팀 | TBC |
각종 기록 | |
득점 선두 | TBC |
최다 점수차 홈 승리 |
TBC |
최다 점수차 원정 승리 |
TBC |
최다 점수 경기 | TBC |
총 골 수 | TBC |
평균 골 수 | TBC |
최다 연승 기록 | TBC |
최다 무패 기록 | TBC |
최다 연패 기록 | TBC |
최다 관중 | TBC |
최소 관중 | TBC |
평균 관중 | TBC |
인접 시즌 | |
이전 시즌 ← 2014 다음 시즌
2016 → |
K리그 챌린지 2015는 대한민국 프로축구 2부 리그의 세번째 시즌이다.
규칙
서울 이랜드 FC의 참가로 지난 해에 비해 1개 클럽이 늘어난 11개 클럽이 4라운드 풀리그 형식으로 정규 리그를 치른다. 홀수 팀으로 인해 매 라운드 별로 한 팀씩 휴식 라운드를 갖게 된다. 정규 리그 성적에 따라 우승 클럽은 K리그 클래식으로 직행 승격하고, 2위부터 4위까지는 챌린지 플레이오프를 거쳐 K리그 클래식 11위 팀과 홈&어웨이 방식으로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를 펼친다.
본격적인 23세 이하 선수 의무 등록 및 출전 규정의 시행으로 각 클럽은 소속팀 유스 출신 선수와 만 22세 이하 선수를 제외하고 25명까지 선수 등록이 가능하며, 경기 명단에 만 23세 이하 선수 2명을 의무적으로 포함시키고, 그 중 한 명을 선발로 나서게 해야한다. 그러나 2015년 1차 연맹 이사회 및 정기총회[1]의 결정에 따라 이 제도를 시행하지 않기로 하였다.
2015년 1차 연맹 이사회 및 정기총회에서는 이번 시즌부터 군경팀의 임대 선수에 대한 원소속 팀 출전 금지 조항이 폐지되었으며, 2016 시즌부터 참여를 희망하는 구단에 한해 R리그를 시행하기로 하였다. 또한 전임심판제를 폐지하고 전담심판제를 도입하여 가용 심판 인원이 2014년 기준 46명에서 약 70명까지 늘어나 심판간의 무한경쟁이 가능해진다.
제반 사항
참가 클럽
클럽 | 지난 시즌 순위 | 연고지 | 감독 | 주장 | 홈 구장 | 수용인원 |
---|---|---|---|---|---|---|
FC 안양 | 5위 | 안양 | ![]() |
![]() |
안양종합운동장 | 17,143명 |
강원 FC | 3위 | 강원도[2] | ![]() |
![]() |
속초종합경기장 | 25,000명 |
경남 FC | K리그 클래식 11위 | 경남[4] | ![]() |
![]() |
창원축구센터 | 15,116명 |
고양 Hi FC | 8위 | 고양 | ![]() |
![]() |
고양종합운동장 | 41,311명 |
대구 FC | 7위 | 대구 | ![]() |
![]() |
대구월드컵경기장 | 66,442명 |
부천 FC 1995 | 10위 | 부천 | ![]() |
![]() |
부천종합운동장 | 35,545명 |
상주 상무 | K리그 클래식 12위 | 상주 | ![]() |
![]() |
상주시민운동장 | 15,042명 |
서울 이랜드 FC | - | 서울 | ![]() |
![]() |
잠실종합운동장 | 5,000명[5] |
수원 FC | 6위 | 수원 | ![]() |
![]() |
수원종합운동장 | 11,808명 |
안산 경찰청 | 2위 | 안산 | ![]() |
![]() |
안산와~스타디움 | 35,000명 |
충주 험멜 | 9위 | 충주 | ![]() |
![]() |
충주종합운동장 | 15,000명 |
외국인 쿼터
클럽 | 선수1 | 선수2 | 선수3 | 아시아 선수 |
---|---|---|---|---|
FC 안양 | ||||
강원 FC | ![]() |
|||
경남 FC | ![]() |
|||
고양 Hi FC | ![]() |
![]() |
||
대구 FC | ![]() |
![]() |
![]() |
![]() |
부천 FC 1995 | ![]() |
![]() |
||
서울 이랜드 FC | ![]() |
![]() |
![]() | |
수원 FC | ![]() |
![]() |
||
충주 험멜 |
리그 결과 및 수상내역
리그 결과
정규 라운드 순위
순위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 | 비고 |
---|---|---|---|---|---|---|---|---|---|---|
1 | 경남 FC | - | K리그 클래식 승격 | |||||||
2 | 상주 상무 | - | K리그 승강 PO 챌린지 플레이오프 | |||||||
3 | 안산 경찰청 | - | K리그 승강 PO 챌린지 준플레이오프 | |||||||
4 | 강원 FC | - | ||||||||
5 | FC 안양 | - | ||||||||
6 | 수원 FC | - | ||||||||
7 | 대구 FC | - | ||||||||
8 | 고양 Hi FC | - | ||||||||
9 | 충주 험멜 | - | ||||||||
10 | 부천 FC 1995 | - | ||||||||
11 | 서울 이랜드 FC | - |
상대 전적
세로축이 홈, 가로축이 원정이며, 승-무-패 순서로 홈을 기준으로 기재.
경남 | 상주 | 안산 | 강원 | 안양 | 수원 | 대구 | 고양 | 충주 | 부천 | 서울 | |
---|---|---|---|---|---|---|---|---|---|---|---|
경남 | -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상주 | 0-0-0 | -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안산 | 0-0-0 | 0-0-0 | -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강원 | 0-0-0 | 0-0-0 | 0-0-0 | -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안양 | 0-0-0 | 0-0-0 | 0-0-0 | 0-0-0 | -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수원 | 0-0-0 | 0-0-0 | 0-0-0 | 0-0-0 | 0-0-0 | - | 0-0-0 | 0-0-0 | 0-0-0 | 0-0-0 | 0-0-0 |
대구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 | 0-0-0 | 0-0-0 | 0-0-0 | 0-0-0 |
고양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 | 0-0-0 | 0-0-0 | 0-0-0 |
충주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 | 0-0-0 | 0-0-0 |
부천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 | 0-0-0 |
서울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 |
승강 플레이오프
자세한 사항은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2015 문서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수상 및 기록
수상
|
|
|
기록
팀 기록
개인 기록
득점 순위
순위 | 선수 | 소속 | 득점 (PK) | 경기 | 출장(분) |
---|---|---|---|---|---|
1위 | - | ||||
2위 | - | ||||
3위 | - | ||||
4위 | - | ||||
5위 | - | ||||
6위 | - | ||||
7위 | - | ||||
8위 | - | ||||
9위 | - | ||||
10위 | - |
도움 순위
순위 | 선수 | 소속 | 도움 | 경기 | 출장(분) |
---|---|---|---|---|---|
1위 | - | ||||
2위 | - | ||||
3위 | - | ||||
4위 | - | ||||
5위 | - | ||||
6위 | - | ||||
7위 | - | ||||
8위 | - | ||||
9위 | - | ||||
10위 | - |
공격포인트 순위
순위 | 선수 | 소속 | 공격P | 경기 | 출장(분) |
---|---|---|---|---|---|
1위 | - | ||||
2위 | - | ||||
3위 | - | ||||
4위 | - | ||||
5위 | - | ||||
6위 | - | ||||
7위 | - | ||||
8위 | - | ||||
9위 | - | ||||
10위 |
기타 기록
외부 링크
같이 보기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