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무궁화 FC 2016
![]() | |
개요 | |
시즌 | K리그 챌린지 2016 |
구단주 | ![]() |
감독 | ![]() |
정규리그 | 1위 (우승) |
FA 컵 | 16강 |
각종 기록 | |
득점 선두 | ![]() |
인접 시즌 | |
이전 시즌 ← 2015 다음 시즌
2017 → |
2016년 K리그 챌린지에 참가하는 안산 무궁화 FC의 시즌 기록 문서이다.
시즌 결과[편집]
K리그 챌린지[편집]
- 현대오일뱅크 K리그 챌린지 2016 1위 (우승)
순위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 |
---|---|---|---|---|---|---|---|---|---|
1 | ![]() |
70 | 40 | 21 | 7 | 12 | 57 | 55 | +2 |
2 | ![]() |
70 | 40 | 19 | 13 | 8 | 53 | 36 | +17 |
3 | ![]() |
67 | 40 | 19 | 10 | 11 | 49 | 33 | +16 |
4 | ![]() |
66 | 40 | 19 | 9 | 12 | 50 | 33 | +17 |
5 | ![]() |
64 | 40 | 19 | 7 | 14 | 52 | 39 | +13 |
6 | ![]() |
64 | 40 | 17 | 13 | 10 | 47 | 35 | +12 |
7 | ![]() |
55 | 40 | 15 | 10 | 15 | 56 | 52 | +4 |
8 | ![]() |
50 | 40 | 18 | 6 | 16 | 61 | 58 | +3 |
9 | ![]() |
46 | 40 | 11 | 13 | 16 | 40 | 53 | -13 |
10 | ![]() |
29 | 40 | 7 | 8 | 25 | 42 | 62 | -20 |
11 | ![]() |
16 | 40 | 2 | 10 | 28 | 21 | 72 | -51 |
현대오일뱅크 K리그 챌린지 2016 |
---|
![]() 1회 우승 ★ |
FA컵[편집]
- 2016 KEB하나은행 FA컵 16강 탈락
선수단[편집]
스탭진[편집]
안산 무궁화 FC | |
---|---|
감독 | ![]() |
수석코치 | ![]() |
코치 | ![]() |
의무트레이너 | ![]() |
선수단[편집]
- 2016년 개막 기준
|
|
- 2016년 시즌 중 입대 및 전역 인원 반영 명단
|
|
- 경찰청 소속 선수들의 원소속팀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GK
| {{#if:| 김대호
| style="text-align: left;" | 전남 드래곤즈
| style="text-align: center;" | 2016년 11월 25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FW
| {{#if:| 한홍규
| style="text-align: left;" | 충주 험멜
| style="text-align: center;" | 2016년 11월 25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MF
| {{#if:| 강승조
| style="text-align: left;" | FC GS
| style="text-align: center;" | 2016년 12월 25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MF
| {{#if:| 이준호
| style="text-align: left;" | 충주 험멜
| style="text-align: center;" | 2016년 12월 25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MF
| {{#if:| 하정헌
| style="text-align: left;" | 수원 FC
| style="text-align: center;" | 2016년 12월 25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DF
| {{#if:| 안영규
| style="text-align: left;" | 광주 FC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9월 23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DF
| {{#if:| 조성진
| style="text-align: left;"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9월 23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MF
| {{#if:| 김은선
| style="text-align: left;"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9월 23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MF
| {{#if:| 한지호
| style="text-align: left;" | 부산 아이파크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9월 23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MF
| {{#if:| 이현승
| style="text-align: left;" | 대전 시티즌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9월 23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MF
| {{#if:| 최보경
| style="text-align: left;" | 전북 현대 모터스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9월 23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MF
| {{#if:| 황지웅
| style="text-align: left;" | 대전 시티즌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9월 23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FW
| {{#if:| 김동섭
| style="text-align: left;" | 부산 아이파크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9월 23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FW
| {{#if:| 임선영
| style="text-align: left;" | 광주 FC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9월 23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GK
| {{#if:| 손정현
| style="text-align: left;" | 경남 FC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12월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DF
| {{#if:| 정다훤
| style="text-align: left;" | SK 유나이티드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12월
틀:군복무 선수 원소속팀 중간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DF
| {{#if:| 박요한
| style="text-align: left;" | 충주 험멜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12월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MF
| {{#if:| 공민현
| style="text-align: left;" | 부천 FC 1995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12월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MF
| {{#if:| 주현재
| style="text-align: left;" | FC 안양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12월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MF
| {{#if:| 김준엽
| style="text-align: left;" | 경남 FC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12월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MF
| {{#if:| 남준재
| style="text-align: left;" | 성남 FC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12월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MF | {{#if:| 최진수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center;" | 2017년 12월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DF
| {{#if:| 하인호
| style="text-align: left;" | 고양 자이크로
| style="text-align: center;" | 2018년 2월 11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DF
| {{#if:| 김대호
| style="text-align: left;" | 포항 스틸러스
| style="text-align: center;" | 2018년 2월 11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DF
| {{#if:| 황도연
| style="text-align: left;" | SK 유나이티드
| style="text-align: center;" | 2018년 2월 11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MF
| {{#if:| 김재웅
| style="text-align: left;" | 수원 FC
| style="text-align: center;" | 2018년 2월 11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MF
| {{#if:| 정성민
| style="text-align: left;" | 경남 FC
| style="text-align: center;" | 2018년 2월 11일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GK
| {{#if:| 박형순
| style="text-align: left;" | 수원 FC
| style="text-align: center;" | 2018년 7월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DF
| {{#if:| 이으뜸
| style="text-align: left;" | 광주 FC
| style="text-align: center;" | 2018년 7월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MF
| {{#if:| 이창용
| style="text-align: left;" | 울산 현대
| style="text-align: center;" | 2018년 7월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FW
| {{#if:| 한의권
| style="text-align: left;" | 대전 시티즌
| style="text-align: center;" | 2018년 7월
|-
| style="text-align: center; border=0;" | FW
| {{#if:| 이재안
| style="text-align: left;" | 수원 FC
| style="text-align: center;" | 2018년 7월
|}
|}
2016 시즌 이적 상황[편집]
시즌 전 입대 및 전역자[편집]
|
|
시즌 중 입대 및 전역자[편집]
|
|
시즌 리뷰[편집]
군경팀의 특성상 수준급 선수를 수급할 수 있는 여건으로 안산 무궁화는 초반부터 상승세를 타면서 1라운드부터 17라운드까지 1위에서 2위만 오가는 막강한 전력과 경기력을 선보였다. 17라운드 이후 시즌 종료 시점까지 1위에서 내려오지 않았는데, 탄탄한 수비력과 수즌급 중원, 그리고 이현승, 한지호 등의 공격 자원 선수들이 현란한 몸놀림으로 밸런스가 좋았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런 순조로운 상황에도 변수는 생기고 말았다. 이는 안산 무궁화가 안산 그리너스 FC의 창단과 아산시로 연고이전이 불가피하게 되면서 승격 박탈이라는 결과를 맞이한 것이었는데, 이로 인하여 선수단의 사기 저하와 군 전역자들의 대거 이탈로 기세가 꺾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흥실 감독은 팀을 잘 추스려 좋은 조직력을 바탕으로 다시 올라서 쉽게 다른 클래식 팀들이 안산 무궁화를 꺾지 못하게 만들었다. 다만, 점차 한계를 보이며 대전 시티즌과 부산 아이파크에게 대량 실점 경기으로 패배를 내주고 설상가상으로 충주 험멜과 경기에서 각종 문제로 1-8로 망신을 당하기도 했다. 이후 다시 재정비한 안산 무궁화는 강력함을 계속 유지하면서 시즌 첫 우승을 거머쥐게 되었다. 전반적으로 실점은 많은 편이었으며, 무너지면 겉잡을 수 없이 무너지는 경향때문에 패배한 경기도 많은 편이었으나, 이런 상황에도 우승할 수 있었던 것은 막강한 공격력 덕분이었다.
에피소드[편집]
충청남도 아산시로 이전[편집]
2017년부터 경기도 안산시에 시민구단이 창단하는 이유로 안산시와 연고협약을 끝내고 2017년부터 충청남도 아산시로 이전한다. 아산시에서 경찰청 축구단은 재창단해 참가하기 때문에 현대오일뱅크 K리그 챌린지 2016 성적과 무관하다. 한마디로 시즌 1위를 달성하더라도 승격하지 않고 2017년에도 K리그 챌린지에 계속 참가한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현대오일뱅크 K리그 챌린지 2016 안산 무궁화를 제외한 최상위팀이 K리그 클래식으로 다이렉트 승격하는 방안이 확정되었다.
안산 그리너스 FC의 승격 무임승차 논란[편집]
안산 그리너스 FC가 창단함에따라 안산 무궁화의 현대오일뱅크 K리그 챌린지 2016 성적을 승계한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이런 소문이 나돌 당시에 안산 무궁화의 성적은 현대오일뱅크 K리그 챌린지 2016에서 부동의 1위를 달리고 있는 상황이라 안산 시민축구단이 창단과 동시에 K리그 클래식에서 참가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게 되면서 무임승차 논란이 나오게 되었다. 그러나 안산 그리너스 FC는 K리그 챌린지에서 시작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며, 2016년 9월 30일로 안산 무궁화를 제외한 최상위팀이 K리그 클래식 다이렉트 승격하는 방안이 확정됨에 따라 무임승차 논란은 없던 일이 되었다. 그리고 안산 무궁화는 정규리그 1위로 우승을 확정지었는데, 이런 이유로 정규리그에서 2위를 달성한 대구 FC가 K리그 클래식으로 승격하게 되었다.
태업 논란[편집]
현대오일뱅크 K리그 챌린지 2016 41라운드 충주 험멜과 경기에서 1-8로 충격적인 대패를 하게 되면서 태업 논란에 휩싸이게 되었다. 당시 리그에서 하위권에 속하던 충주에게 1위 팀이 말도 안되고 무기력하게 패배했다는 것에 대하여 많은 리그팬들은 안산 무궁화 선수들이 태업했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하면서 논란의 대상이 되고 말았다. 그러나 안산 무궁화는 이전 경기에서 이흥실 감독이 퇴장 및 징계 처분이 확정되고 손정현 골키퍼도 퇴장의 이유로 충주와 경기에서 출전할 수 없었고, 주전급 선수들이 모두 전역한 전력 공백이 컸다. 여기에 주전으로 출전한 김대호 골키퍼의 서브 골키퍼가 없어 미드필더인 최보경 선수를 골키퍼로 등록하기도 하였다. 태업 논란은 경기 종료 후에도 계속 남게 되었지만, 군·경팀의 특수한 사정과 징계, 그리고 위 사정들로 승격이 없는 복합적인 문제가 겹쳐 발생한 것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
수상[편집]
K리그 챌린지 시즌 베스트 11[편집]
이현승 (MF)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