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축구
올림픽 축구는 1896년과 1932년을 제외한 모든 대회에서 올림픽 정식 종목이었으며, 올림픽 여자 축구는 1996년부터 정식 종목이 되었다. 올림픽 초기에는 각국 축구협회가 파견한 국가대표가 아닌 특정 지역의 클럽이 올림픽 대표팀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심지어 '누구나 참여 가능'으로 참여 범위가 극히 넓은 적도 있었으나, 현재는 각 대륙별 예선을 통과한 16개 팀만이 참여 할 수 있다.
역사[편집]
축구는 첫번째 올림픽인 1896년 아테네 올림픽 때만 해도 정식 종목이 아니었다. 다만 아테네 선발 팀과 오스만 제국의 스미르나 지역[1] 선발팀, 덴마크 팀 등이 참여하였다는 기록도 있으나 사실 정확한 출처가 불분명하고 1906년 올림픽 10주년 기념 아테네 중간 올림픽의 기록과 혼돈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2번째 올림픽인 1900년 파리 올림픽부터 축구 경기가 펼쳐지게 되었는데 1904년 세인트루이스 올림픽과 10주년 기념 1906년 아테네 올림픽까지는 국가대표팀 간의 대결이 아니라 다양한 국가의 혼성팀 내지 지역 선발팀이 참가하여 대회가 치러졌다. 그로 인해 이 세 번의 올림픽에서의 축구경기는 IOC에서는 공식적인 대회로 인정하나, FIFA에서는 공식 대회로 인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4회 1908년 런던 올림픽에 이르러서야, 축구 종목에 5개국 6개팀이 참여하여 처음으로 제대로된 국가간 대결이 펼쳐졌다.[2] 1914년부터는 FIFA가 올림픽 축구를 세계아마추어축구선수권대회(world football championship for amateurs)로 승인하고 IOC는 올림픽 축구 종목의 관리를 FIFA에 맡기면서, 1920년 안트워프 올림픽은 최초의 국제축구선수권대회가 되었다. 이후 1924년 파리 올림픽 때 처음 참가국이 16개국을 넘으면서 사전 라운드 후 16강전으로 바뀌었으며,[3] 1952년까지 이러한 구조는 유지되었다. 1932년 로스엔젤레스 올림픽은 미국에서 축구 인기가 저조하다는 점 및 FIFA와 IOC간의 아마추어 선수에 대한 입장 차이로 인해 올림픽 종목에 포함되지 못했으며, 이로 인해 첫번째 월드컵이 개최되었다.[4]
이후 전간기와 2차 대전 시기를 지나 1956년 멜버른 올림픽 부터는 올림픽 축구에 참여하기 위해서 대륙별 예선전을 치른 다음 16개국이 참가하는 본선을 치루는 방식으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5] 덧붙여 20C 중반 진행되었던, 올림픽 축구 대표팀의 아마추어 논쟁은 아마추어리즘과 샤마추어리즘 문서를 참고.
올림픽에서의 축구의 위상[편집]
역대 결과[편집]
남자[편집]
여자[편집]
연도 | 명칭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한국 성적 | 비고 |
---|---|---|---|---|---|---|
1996 |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 | ![]() |
![]() |
![]() |
아시아 예선 탈락 | 여자종목추가 |
2000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 ![]() |
![]() |
![]() |
아시아 예선 탈락 | |
2004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 ![]() |
![]() |
![]() |
아시아 예선 탈락 | |
2008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 ![]() |
![]() |
![]() |
아시아 예선 탈락 | |
2012 | 2012년 런던 올림픽 | ![]() |
![]() |
![]() |
아시아 예선 탈락 | |
2016 |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 ![]() |
![]() |
![]() |
아시아 예선 탈락 |
에피소드[편집]
- 올림픽 축구의 경우 출전 자격제한 연령이 23세로 확정된 이유는 1967년 ~ 1976년까지 존속했던 유럽 23세 이하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정했던 23세 연령 제한을 본따왔기 때문이다.[8]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 ↑ 현재 터키의 이즈미르 지역으로 오스만제국이 참여한 것이라기 보다는, 스미르나 지역의 그리스인 선발팀이 참여한 것이다. 이 지역은 1차 세계대전 이후 벌어진 '그리스-터키 전쟁'에서 그리스가 결국 패배하면서 땅도 빼앗기고 그곳에 살던 그리스인(정확히는 그리스정교도)들도 모두 쫒겨나게 되었다.
- ↑ 여담으로 당시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AㆍB 2팀이 출전하여 프랑스 B팀은 8강전에서 9-0 탈락, 프랑스 A팀은 8강 부전승 끝에 4강에서 17-1 탈락을 기록하였던바 있다. 뭐하러 나눠 출전했는지 의문..
- ↑ 파리 올림픽 이전까지는 참가국이 16개국을 넘지 않아 사전 라운드 후 8강전이 실시되었다.
- ↑ LA 올림픽의 개최는 1923년 결정되었고 종목에 대한 논의는 1928년 결렬되어 이후 따로 월드컵을 개최하기로 결정되었던 것. 따라서 첫번째 월드컵을 흥행시키기 위해 올림픽에서 축구 종목을 제외시켰다는 것은 잘못된 인식이다. FIFA 입장에서 올림픽 축구는 안정적인 선택이었으나 버림받았고 그로 인해 모험적인 독자 월드컵을 개최하기에 이르렀다고 표현함이 적합할듯.
- ↑ 해당 제도가 첫 시행된 멜버른 올림픽에서는 대륙별 예선전은 치러졌으나 거리, 경제 사정 등으로 인해 본선 참가팀이 16개국이 되지 못했다.
- ↑ 당시 서독과 동독은 단일팀으로 올림픽에 출전했고,축구의 경우는 서독과 동독의 선수를 규합하여 만든팀이 아닌 서독과 동독의 대표가 맞붙어 승리한팀이 1964년 도코 올림픽에 출전했다. 공식적으로는 독일 올림픽단일팀이지만 사실상 동독이 출전한 것으로 피파 홈페이지에서는 German Democratic Republic으로 동메달팀을 표기, 동독이 수상한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 ↑ 축구는 예선에 참가했고 탈락했다.어차피 예선을 통과했어도 보이콧으로 인하여 출전권을 내줬겠지만...
- ↑ 유럽 23세 이하 축구 선수권은 1976년부터 UEFA EUROPEAN UNDER 21 CHAMPIONSHIP으로 변경되면서 21세 이하로 연령 제한선이 낮아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