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이규로.jpg|200픽셀|섬네일|전남 시절 이규로]]
 
[[파일:이규로.jpg|200픽셀|섬네일|전남 시절 이규로]]
'''이규로''' (1988년 8월 20일 ~ )는 2007년부터 [[K리그]]에서 뛰고있는 미드필더다.
+
'''이규로''' (1988년 8월 20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2007년부터 [[K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이드 풀백]]이다.
  
  
8번째 줄: 8번째 줄:
 
{{col-begin}}
 
{{col-begin}}
 
{{col-3}}
 
{{col-3}}
* 본명 : '''이규로'''
+
* 이름 : '''이규로'''
  
 
* [[K리그 등록명|등록명]] : 이규로
 
* [[K리그 등록명|등록명]] : 이규로
 +
 +
* 국적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출생일 : 1988년 8월 20일
 
* 출생일 : 1988년 8월 20일
  
* 신체조건 : 180cm / 68kg
+
* 신체 : 180cm / 75kg
 +
 
 +
* 학력 : [[광양제철고]]
  
* 포지션 : [[풀백]], [[중앙 미드필더]]
+
* 포지션 : [[사이드풀백]]ㆍ[[중앙 수비수]]ㆍ[[중앙 미드필더]]
  
* 유스클럽 : [[광양제철고]] 졸업
+
* 국가대표 경력
 +
: 2010년 국가대표팀 친선경기 선발
 +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A매치]] 통산 2경기 출전)'''
  
* 현 소속팀 : [[전북 현대 모터스]]
+
* 현 소속팀 : {{팀|대전|2020}}
  
* 등번호 : 2
+
* [[등번호]] : 16
 
{{col-3}}
 
{{col-3}}
 
* K리그 기록  
 
* K리그 기록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8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 style="background:#C0C0C0"
!소속팀 !! 연도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연도 !! 소속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
| 2007 || {{왼}} rowspan=3| {{팀|전남|2009}} || rowspan=6|K리그 ||8||3||1||0||0||0
 
|-
 
|-
| rowspan=3|[[전남 드래곤즈]] || 2007 ||8||3||1||0||0||0
+
| 2008 ||19||11||1||1||2||0
 
|-
 
|-
| 2008 ||19||11||1||1||2||0
+
| 2009 ||28||6||5||0||7||0
 
|-
 
|-
| 2009 ||28||6||5||0||7||0
+
| 2010 || {{왼}} rowspan=2| {{팀|GS}} || 2||1||0||0||0||0
 
|-
 
|-
| rowspan=2|[[FC GS]] || 2010 ||2||1||0||0||0||0
+
| 2011 ||14||6||0||1||2||0
 
|-
 
|-
|2011 ||14||6||0||1||2||0
+
| 2012 || {{왼}} | {{팀|인천|2012}} ||23||3||1||2||5||0
 
|-
 
|-
| [[인천 유나이티드]] || 2012 ||23||3||1||2||5||0
+
| 2013 || {{왼}} rowspan=3| {{팀|전북|2015}} || rowspan=3|클래식 ||15||5||0||0||1||0
 
|-
 
|-
|rowspan=2| [[전북 현대 모터스]] || 2013 ||15||5||0||0||1||0
+
| 2014 || 14 || 4 || 0 || 1 || 3 || 0
 
|-
 
|-
| 2014 ||-||-||-||-||-||-
+
| 2015 || 2 || 0 || 0 || 0 || 0 || 0
 
|-
 
|-
! 통산 ([[K리그]]) || - ||112||32||8||4||17||0
+
| rowspan=2|2016 || {{왼}} | {{팀|서울E|2016}} || 챌린지 || 11 || 4 || 2 || 0 || 3 || 0
 +
|-
 +
| {{왼}} rowspan=2| {{팀|GS}} || rowspan=2|클래식 || 8 || 6 || 0 || 0 || 2 || 0
 +
|-
 +
| 2017 || 18 || 5 || 0 || 3 || 4 || 0
 +
|-
 +
| 2020 || {{왼}} rowspan=1| {{팀|대전|2020}} || K리그2 || 12 || 6 || 0 || 1 || 2 || 0
 +
|- style="background:#C0C0C0"
 +
! rowspan=2| 통산 ||colspan=2| [[K리그1]] || 151 || 47 || 8 || 8 || 26 || 0
 +
|- style="background:#C0C0C0"
 +
! colspan=2| [[K리그2]] || 23 || 10 || 2 || 1 || 5 || 0
 
|}
 
|}
:[[K리그]] 통산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3년 시즌 종료 기준.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21년 3월 1일 기준
 
:{{연맹선수기록|ID=20070003}}
 
:{{연맹선수기록|ID=20070003}}
 
{{col-end}}
 
{{col-end}}
57번째 줄: 75번째 줄:
  
 
== 전북 입단 이전까지 ==
 
== 전북 입단 이전까지 ==
[[2007년 드래프트]]에서 유스팀 [[우선지명]]으로 광양제철고 졸업 후 [[전남 드래곤즈]]와 계약하며 프로로 직행하였다. 당시 [[전남 드래곤즈]]의 [[허정무]] 감독은 동계훈련 중 이규로의 움직임을 보고 장차 주전급 수비수로 될 재목이라고 생각하였다고.. 드디어 2009년 [[박항서]] 감독의 기용아래 붙박이 라이트백으로 활동하였으며 28경기를 나와 6골 5도움을 기록하였다. 이런 활약에 힘입어 국가대표에도 발탁되는 등 최고의 상승세를 보여주었던바 있다. 덤으로 2009년 6강 플레이오프에서 난지도를 상대로 골을 기록하기도.. 하지만 2010시즌 시작전 [[FC GS]]로 이적한 이후에는, 계속되는 부상과 극심한 부진으로 단 2경기에 출장하는데 그치고 말았다. 2011년 같은 포지션인 [[최효진]]의 군입대로 주전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기대 이하의 플레이를 보여 전문 수비수가 아닌 [[고요한]], [[최현태]] 등에게 까지 밀리게 되었다. 이후 2012시즌을 앞두고 [[인천 유나이티드]]의 [[이재권]] 선수와 1:1 트레이드가 타결되어 인천 유니폼을 입게되었다. 인천팬들은 주전 미드필더를 내주고 2군 수비수를 데려오냐며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고있다.
+
[[2007년 드래프트]]에서 유스팀 [[우선지명]]으로 광양제철고 졸업 후 [[전남 드래곤즈]]와 계약하며 프로로 직행하였다. 당시 [[전남 드래곤즈]]의 [[허정무]] 감독은 동계 훈련 중 이규로의 움직임을 보고 장차 주전급 수비수로 될 재목이라고 생각하였다고.. 드디어 2009년 [[박항서]] 감독의 기용 아래 붙박이 라이트백으로 활동하였으며 28경기를 나와 6골 5도움을 기록하였다. 이런 활약에 힘입어 국가대표에도 발탁되는 등 최고의 상승세를 보여주었던바 있다. 덤으로 2009년 6강 플레이오프에서 난지도를 상대로 골을 기록하기도.. 하지만 2010시즌 시작전 [[FC GS]]로 이적한 이후에는, 계속되는 부상과 극심한 부진으로 단 2경기에 출장하는데 그치고 말았다. 2011년 같은 포지션인 [[최효진]]의 군입대로 주전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기대 이하의 플레이를 보여 전문 수비수가 아닌 [[고요한]], [[최현태]] 등에게 까지 밀리게 되었다. 이후 2012시즌을 앞두고 [[인천 유나이티드]]의 [[이재권]] 선수와 1:1 트레이드가 타결되어 인천 유니폼을 입게되었다. 인천팬들은 주전 미드필더를 내주고 2군 수비수를 데려오냐며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고있다.
 +
 
 +
 
 +
* '''이규로 (FC GS) ↔ [[이재권]] ([[인천 유나이티드]])'''
 +
 
  
 +
2012년 6월 17일, [[광주 FC]]를 상대로 인천에서의 데뷔전을 치렀다. 일단 부상 회복후 [[R리그]]에서 여러차례 득점을 하는 등 활약이 괜찮아 인천의 침체된 분위기를 구해낼 수 있는 카드로 기대하는 중. 그리고 [[상주 상무]]와의 홈경기에서 [[설기현]]의 골을 돕는 어시스트를 만들어 내면서 인천의 승리를 이끌었으며, 단숨에 오른쪽 주전 윙백으로 기용되면서 인천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김봉길]]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2012시즌 초엔 장기 부상으로 전지 훈련조차 제대로 소화하지 못했는데도 후반기 기량이 올라왔다면서, 2013시즌이 더욱 기대된다고 하였는데.. 2012 시즌 종료 후 [[정혁]], [[정인환]]과 함께 22억의 이적료를 기록하며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하며 인천에서의 생활을 1시즌만에 정리하고 말았다.
  
* '''이규로 (FC GS) ↔ [[이재권]] ([[인천 유나이티드]])
 
  
 +
== 전북 현대 모터스 입단 ==
 +
2013년 [[전북 현대 모터스]] 입단했으나 시즌 시작과 함께 부상을 입어 장기간 결장했으며 6월 1일 [[부산 아이파크]]와의 경기에서 3개월짜리 <del>또또또</del> 장기 부상을 당하고 만다. 그래도 시즌 후반기에 성공적으로 부상에서 복귀하면서 FA컵 4강 행에 일등 공신 역할을 해줬고,<ref>이 때 FA컵 8강전 상대가 자신을 부상입혔던 팀인 부산 아이파크였다. 그래서인지 후반 교체 투입되었음에도 무시무시한 활약을 보이며 부산 측면을 초토화시켰던바 있다.</ref> 시즌 끝날 때까지 좋은 활약을 해줬다. 그러나 2014년에 들어서면서 폼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는 평. 일례로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3월 對 [[멜버른 빅토리]]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라인을 맞추지 못하며 상대의 역습을 허용, 승리를 날려먹거나 오버래핑 이후에 빠른 수비 전환에 실패하는등 종종 수비력에 문제를 드러냈고 여기에 크로스 정확도도 아쉬워 공격을 날려먹기 일쑤였다. 결국 [[최철순]]이 제대하면서 로테이션으로 밀렸다. 2014년 7월, [[최철순]]이 넘사벽급의 활약을 보여주는 통에 주전 경쟁은 더더욱 어려워질 전망이 나왔고, 이는 현실이 되어 간혹가다 출전하는 정도에 그치고 말았다. 이듬해 2015년에는 완전히 리저브로 밀려 4월과 10월 딱 두 경기에 출전한 것이 끝이었다.
  
2012년 6월 17일, [[광주 FC]]를 상대로 인천에서의 데뷔전을 치루었다. 일단 부사 회복후 [[R리그]]에서 여러차례 득점을 하는 등 활약이 괜찮아 인천의 침체된 분위기를 구해낼 수 있는 카드로 기대하는 중. 그리고 [[상주]]와의 홈경기에서 설기현의 골을 돕는 어시스트를 만들어 내면서 인천의 승리를 이끌었으며, 단숨에 오른쪽 주전 윙백으로 기용되면서 인천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김봉길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2012시즌 초엔 장기 부상으로 전지훈련조차 제대로 소화하지 못했기 때문에 2013시즌이 더욱 기대된다고. <br><br>
 
  
 +
== 서울 이랜드 시절 ==
 +
이처럼 리저브 수준에 머물던 이선수는 전북이 [[김창수]]를 영입하며 측면 수비를 더욱 보강함에 따라 2016년 2월 [[K리그 챌린지]]의 [[서울 이랜드]]로 전격 이적하여 반전의 기회를 모색하기에 이른다.<ref>[http://www.sportsseoul.com/news/read/355545 서울이랜드, 전 국가대표 풀백 이규로 영입]</ref> 서울에 입단한 이 선수는 [[마틴 레니]] 감독의 전술에 녹아들지 못해 겉도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나, [[박건하]] 감독 부임 이후 연속골을 성공시키며 부활의 불씨를 지피는듯 했다. 하지만.. 2016년 6월 [[심상민]] 선수 6개월 임대의 맞상대로 FC GS에 입단하며 또 소속팀이 바뀌었다.
  
2012 시즌 종료 후 [[정혁]], [[정인환]]과 함께 22억의 이적료를 기록하며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헀다. 인천 구단 입장에서는 2013시즌이 끝나면 이규로 선수의 경우, FA로 풀려 보상금밖에 받지 못하는 상황이라 이적료를 챙기기 위해 계약기간이 1년 남은 상황에서 전북으로 이적시켰다는 얘기가 있다.
 
  
 +
* '''이규로 (서울 이랜드, 완전 이적) ↔ [[심상민]] (FC GS, 6개월 임대)'''
  
== 전북 현대 모터스 입단 ==
 
2013년 [[전북 현대 모터스]] 입단했으나 시즌 시작과 함께 부상을 입으며, 시즌 초 결장하던 이규로는 6월 1일 [[부산 아이파크]]와의 경기에서 3개월짜리 <del>또또또</del> 장기 부상을 당하고 만다. 그래도 시즌 후반기에 성공적으로 부상에서 복귀하면서 FA컵 4강 행에 일등 공신 역할을 해줬고,<ref>이 때 FA컵 8강전 상대가 자신을 부상입혔던 팀인 부산 아이파크였다. 그래서인지 후반 교체 투입되었음에도 무시무시한 활약을 보이며 부산 측면을 초토화시켰던바 있다.</ref> 시즌 끝날 때까지 좋은 활약을 해줬다. 그러나 2014년에 들어서 폼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는 평. 일례로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3월 對 [[멜버른 빅토리]]와의 원정경기에서 라인을 맞추지 못하며 상대의 역습을 허용, 승리를 날려먹거나 오버래핑 이후에 빠른 수비전환에 실패하면서 종종 수비력에 문제를 드러냈고 거기에 크로스의 정확도도 아쉬워 공격을 날려먹기 일쑤였다. 결국 [[최철순]]이 제대하면서 [[K리그 클래식]]에서는 로테이션으로 밀렸다.
 
  
2014년 7월, [[최철순]] 이 넘사벽급의 활약을 보여주는 통에 주전 경쟁은 더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
FC GS에서는 후반기 8경기 출장하며 소속팀의 어부지리(?)<ref>2016시즌 전북 현대 모터스가 매수 시비에 휘말리면서 승점 9점 삭감을 당해, FC GS가 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ref> 우승에 공헌하였고, 17시즌에도 로테이션 멤버로 경기에 출장하고 있다.  
  
  
80번째 줄: 103번째 줄:
  
 
== 에피소드 ==
 
== 에피소드 ==
* 전남팬들의 사랑을 받던 선수였으나, 전남을 버리고 GS로 가버린 이후로는 미운털이 제대로 박혔다. 여기에 GS 팬들은 이규로가 누군지도 잘 모른다. 안습.
+
* 전남팬들의 사랑을 받던 선수였으나, 전남을 버리고 GS로 가버린 이후로는 미운털이 제대로 박혔다. 여기에 GS에서의 활약도도 그다지.. 다만 2차 도전(?)을 감행한 2016시즌부터는 GS에서 그럭저럭 활약하고 있다.
 +
 
 +
* 2012시즌 경기를 보면 유난히 경기 중 상대 선수와 충돌로 인한 부상이 많았다. 이러한 부상 성향과 소속팀이 자주 바뀌는 문제가 겹치면서, 전남 시절 잠깐과 인천 시절을 제외하면 풀타임 주전급으로 활동한 적이 없다. 나름 국가대표급 자원으로 기대받았던걸 생각하면 아쉬운 대목..  
  
* 2012시즌 경기를 보다 보면 유난히 경기 중 상대 선수와 충돌로 부상이 많다. 당장 시즌 초만해도 장기 부상을 당하고 복귀한지 얼마 안된 상태임에서 당하는 부상임에도 매번 별 문제 없이 금방 다시 경기에 출전하고 있다(!).
+
* 전북 시절에는 팀내에서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맡았던듯 하다.<ref>[http://www.youtube.com/watch?v=_HwpS0JEcJs&feature=youtu.be&list=UUKxMSkJHBIpn5b4vUQHYliQ 으아아! 야야! 으! ~]</ref>
  
* [[김신영]] 이적 후에 팀내에서 분위기 메이커를 맡고 있는 듯 하다.<ref>[http://www.youtube.com/watch?v=_HwpS0JEcJs&feature=youtu.be&list=UUKxMSkJHBIpn5b4vUQHYliQ 으아아! 야야! 으! ~]</ref>
+
* [[남궁도]] 선수의 위엄에 가려서 그렇지.. 이규로 선수도 '''옥새'''로 불리기 손색이 없는 선수다. 2007시즌 전남의 FA컵, 2010시즌 FC GS의 리그/리그컵 우승, 2014/2015시즌 전북의 리그 2연패, 2016시즌 FC GS의 리그 우승 등 총 6차례 우승컵을 들었다. 특히 3시즌 연속 리그 우승 경험과 4번에 달하는 리그 우승 경험은 남궁도 선수도 달성(?)하지 못한 대기록.<ref>남궁도 선수는 숱하게 많은 트로피를 들었지만, 리그 우승은 기록한적이 없다. 다만 3년 연속 FA컵 우승(그것도 모두 다른 팀 소속으로..)이라는 진기록을 보유하고 있다.</ref> 하지만 총 10회에 달하는 우승을 기록한 남궁도 선수를 따라잡으려면 아직 살짝 부족하다는 평이다.
  
  
 
== 경력 ==
 
== 경력 ==
* 2007 ~ 2009 : [[전남 드래곤즈]] / K리그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font-size: 9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 style="background:#C0C0C0"
* 2010 ~ 2011 : [[FC GS]]
+
! 시즌 !! 소속팀 !! 리그 !! 비고
 
+
|-
* 2012 : [[인천 유나이티드]] / K리그
+
| 2007.01 ~ 2009.12 || {{팀|전남|2009}} || [[K리그]] ||
 
+
|-
* 2013 ~ : [[전북 현대 모터스]] / K리그 클래식
+
| 2010.01 ~ 2011.12 || {{팀|GS}} || [[K리그]] ||
 +
|-
 +
| 2012.01 ~ 2012.12 || {{팀|인천|2012}} || [[K리그]] ||
 +
|-
 +
| 2013.01 ~ 2015.12 || {{팀|전북|2015}} || [[K리그 클래식]] ||
 +
|-
 +
| 2016.01 ~ 2016.6 || {{팀|서울E|2016}} || [[K리그 챌린지]] ||
 +
|-
 +
| 2016.07 ~ 2020.02 || {{팀|GS}} || [[K리그1]] ||
 +
|-bgcolor=#F6FFCC
 +
| → 2018.02 ~ 2020.02 || {{팀|포천|2020}} || [[K3리그]] || 사회복무
 +
|-
 +
| 2020.02 ~ 현재 || {{팀|대전|2020}} || [[K리그2]] ||
 +
|}
  
  
103번째 줄: 141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분류:1988년생]][[분류:광양제철고의 선수]][[분류:2007년 드래프트 지명자]][[분류:전남 드래곤즈의 선수]][[분류:인천 유나이티드의 선수]][[분류:전북 현대 모터스의 선수]]
+
 
 +
[[분류:1988년생]][[분류:광양제철고의 선수]][[분류:2007년 드래프트 지명자]][[분류:전남 드래곤즈의 선수]][[분류:FC GS의 선수]][[분류:인천 유나이티드의 선수]][[분류:전북 현대 모터스의 선수]][[분류:서울 이랜드의 선수]][[분류:포천 시민축구단의 선수]][[분류:대전 하나 시티즌의 선수]]

2020년 12월 27일 (일) 20:05 기준 최신판

파일:이규로.jpg
전남 시절 이규로

이규로 (1988년 8월 20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2007년부터 K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이드 풀백이다.



프로필[편집]

  • 이름 : 이규로
  • 출생일 : 1988년 8월 20일
  • 신체 : 180cm / 75kg
  • 국가대표 경력
2010년 국가대표팀 친선경기 선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A매치 통산 2경기 출전)
  • K리그 기록
연도 소속 리그 출장 교체 득점 도움 경고 퇴장
2007 전남 드래곤즈 전남 드래곤즈 K리그 8 3 1 0 0 0
2008 19 11 1 1 2 0
2009 28 6 5 0 7 0
2010 FC GS FC GS 2 1 0 0 0 0
2011 14 6 0 1 2 0
2012 인천 유나이티드 인천 유나이티드 23 3 1 2 5 0
2013 전북 현대 모터스 전북 현대 모터스 클래식 15 5 0 0 1 0
2014 14 4 0 1 3 0
2015 2 0 0 0 0 0
2016 서울 이랜드 서울 이랜드 챌린지 11 4 2 0 3 0
FC GS FC GS 클래식 8 6 0 0 2 0
2017 18 5 0 3 4 0
2020 대전 하나 시티즌 대전 하나 시티즌 K리그2 12 6 0 1 2 0
통산 K리그1 151 47 8 8 26 0
K리그2 23 10 2 1 5 0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21년 3월 1일 기준
연맹 공식 DB


유소년 생활[편집]

전라북도 순창군 출생으로 광양제철중광양제철고를 졸업했다.


전북 입단 이전까지[편집]

2007년 드래프트에서 유스팀 우선지명으로 광양제철고 졸업 후 전남 드래곤즈와 계약하며 프로로 직행하였다. 당시 전남 드래곤즈허정무 감독은 동계 훈련 중 이규로의 움직임을 보고 장차 주전급 수비수로 될 재목이라고 생각하였다고.. 드디어 2009년 박항서 감독의 기용 아래 붙박이 라이트백으로 활동하였으며 28경기를 나와 6골 5도움을 기록하였다. 이런 활약에 힘입어 국가대표에도 발탁되는 등 최고의 상승세를 보여주었던바 있다. 덤으로 2009년 6강 플레이오프에서 난지도를 상대로 골을 기록하기도.. 하지만 2010시즌 시작전 FC GS로 이적한 이후에는, 계속되는 부상과 극심한 부진으로 단 2경기에 출장하는데 그치고 말았다. 2011년 같은 포지션인 최효진의 군입대로 주전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기대 이하의 플레이를 보여 전문 수비수가 아닌 고요한, 최현태 등에게 까지 밀리게 되었다. 이후 2012시즌을 앞두고 인천 유나이티드이재권 선수와 1:1 트레이드가 타결되어 인천 유니폼을 입게되었다. 인천팬들은 주전 미드필더를 내주고 2군 수비수를 데려오냐며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고있다.



2012년 6월 17일, 광주 FC를 상대로 인천에서의 데뷔전을 치렀다. 일단 부상 회복후 R리그에서 여러차례 득점을 하는 등 활약이 괜찮아 인천의 침체된 분위기를 구해낼 수 있는 카드로 기대하는 중. 그리고 상주 상무와의 홈경기에서 설기현의 골을 돕는 어시스트를 만들어 내면서 인천의 승리를 이끌었으며, 단숨에 오른쪽 주전 윙백으로 기용되면서 인천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김봉길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2012시즌 초엔 장기 부상으로 전지 훈련조차 제대로 소화하지 못했는데도 후반기 기량이 올라왔다면서, 2013시즌이 더욱 기대된다고 하였는데.. 2012 시즌 종료 후 정혁, 정인환과 함께 22억의 이적료를 기록하며 전북 현대 모터스로 이적하며 인천에서의 생활을 1시즌만에 정리하고 말았다.


전북 현대 모터스 입단[편집]

2013년 전북 현대 모터스 입단했으나 시즌 시작과 함께 부상을 입어 장기간 결장했으며 6월 1일 부산 아이파크와의 경기에서 3개월짜리 또또또 장기 부상을 당하고 만다. 그래도 시즌 후반기에 성공적으로 부상에서 복귀하면서 FA컵 4강 행에 일등 공신 역할을 해줬고,[1] 시즌 끝날 때까지 좋은 활약을 해줬다. 그러나 2014년에 들어서면서 폼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는 평. 일례로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3월 對 멜버른 빅토리와의 원정 경기에서는 라인을 맞추지 못하며 상대의 역습을 허용, 승리를 날려먹거나 오버래핑 이후에 빠른 수비 전환에 실패하는등 종종 수비력에 문제를 드러냈고 여기에 크로스 정확도도 아쉬워 공격을 날려먹기 일쑤였다. 결국 최철순이 제대하면서 로테이션으로 밀렸다. 2014년 7월, 최철순이 넘사벽급의 활약을 보여주는 통에 주전 경쟁은 더더욱 어려워질 전망이 나왔고, 이는 현실이 되어 간혹가다 출전하는 정도에 그치고 말았다. 이듬해 2015년에는 완전히 리저브로 밀려 4월과 10월 딱 두 경기에 출전한 것이 끝이었다.


서울 이랜드 시절[편집]

이처럼 리저브 수준에 머물던 이선수는 전북이 김창수를 영입하며 측면 수비를 더욱 보강함에 따라 2016년 2월 K리그 챌린지서울 이랜드로 전격 이적하여 반전의 기회를 모색하기에 이른다.[2] 서울에 입단한 이 선수는 마틴 레니 감독의 전술에 녹아들지 못해 겉도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나, 박건하 감독 부임 이후 연속골을 성공시키며 부활의 불씨를 지피는듯 했다. 하지만.. 2016년 6월 심상민 선수 6개월 임대의 맞상대로 FC GS에 입단하며 또 소속팀이 바뀌었다.


  • 이규로 (서울 이랜드, 완전 이적) ↔ 심상민 (FC GS, 6개월 임대)


FC GS에서는 후반기 8경기 출장하며 소속팀의 어부지리(?)[3] 우승에 공헌하였고, 17시즌에도 로테이션 멤버로 경기에 출장하고 있다.


플레이스타일[편집]

  • 킥과 발재간이 좋고 의외로 득점력도 갖추고 있는 자원이다.[4] 오버래핑이 좋으며, 원거리에서 올리는 크로스도 상당히 위협적이다. 다만 수비력 부족이 2014년 현재 도마에 올라있다.


에피소드[편집]

  • 전남팬들의 사랑을 받던 선수였으나, 전남을 버리고 GS로 가버린 이후로는 미운털이 제대로 박혔다. 여기에 GS에서의 활약도도 그다지.. 다만 2차 도전(?)을 감행한 2016시즌부터는 GS에서 그럭저럭 활약하고 있다.
  • 2012시즌 경기를 보면 유난히 경기 중 상대 선수와 충돌로 인한 부상이 많았다. 이러한 부상 성향과 소속팀이 자주 바뀌는 문제가 겹치면서, 전남 시절 잠깐과 인천 시절을 제외하면 풀타임 주전급으로 활동한 적이 없다. 나름 국가대표급 자원으로 기대받았던걸 생각하면 아쉬운 대목..
  • 전북 시절에는 팀내에서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맡았던듯 하다.[5]
  • 남궁도 선수의 위엄에 가려서 그렇지.. 이규로 선수도 옥새로 불리기 손색이 없는 선수다. 2007시즌 전남의 FA컵, 2010시즌 FC GS의 리그/리그컵 우승, 2014/2015시즌 전북의 리그 2연패, 2016시즌 FC GS의 리그 우승 등 총 6차례 우승컵을 들었다. 특히 3시즌 연속 리그 우승 경험과 4번에 달하는 리그 우승 경험은 남궁도 선수도 달성(?)하지 못한 대기록.[6] 하지만 총 10회에 달하는 우승을 기록한 남궁도 선수를 따라잡으려면 아직 살짝 부족하다는 평이다.


경력[편집]

시즌 소속팀 리그 비고
2007.01 ~ 2009.12 전남 드래곤즈 전남 드래곤즈 K리그
2010.01 ~ 2011.12 FC GS FC GS K리그
2012.01 ~ 2012.12 인천 유나이티드 인천 유나이티드 K리그
2013.01 ~ 2015.12 전북 현대 모터스 전북 현대 모터스 K리그 클래식
2016.01 ~ 2016.6 서울 이랜드 서울 이랜드 K리그 챌린지
2016.07 ~ 2020.02 FC GS FC GS K리그1
→ 2018.02 ~ 2020.02 포천 시민축구단 포천 시민축구단 K3리그 사회복무
2020.02 ~ 현재 대전 하나 시티즌 대전 하나 시티즌 K리그2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1. 이 때 FA컵 8강전 상대가 자신을 부상입혔던 팀인 부산 아이파크였다. 그래서인지 후반 교체 투입되었음에도 무시무시한 활약을 보이며 부산 측면을 초토화시켰던바 있다.
  2. 서울이랜드, 전 국가대표 풀백 이규로 영입
  3. 2016시즌 전북 현대 모터스가 매수 시비에 휘말리면서 승점 9점 삭감을 당해, FC GS가 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
  4. 대표적인 사례가 2013년 9월 FA컵 4강전 경기였다. 부상 복귀전 맞아? 전북 결승행 ‘일등공신’ 이규로
  5. 으아아! 야야! 으! ~
  6. 남궁도 선수는 숱하게 많은 트로피를 들었지만, 리그 우승은 기록한적이 없다. 다만 3년 연속 FA컵 우승(그것도 모두 다른 팀 소속으로..)이라는 진기록을 보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