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번째 줄: |
130번째 줄: |
| | | |
| ==== 주요 변동 사항 ==== | | ==== 주요 변동 사항 ==== |
− | #* 2012년부터 최저 기본급연액이 2000만원이 됨에 따라, 번외지명 2000만원, 6순위 2400만원, 5순위 2800만원으로 인상되었다. 3순위부터는 동일하다.
| + | * 2012년부터 최저 기본급연액이 2000만원이 됨에 따라, 번외지명 2000만원, 6순위 2400만원, 5순위 2800만원으로 인상되었다. 3순위부터는 동일하다. |
− | #* 더불어 2013년부터는 4~6순위의 계약기간이 1~3순위와 같이 최소 3년으로 늘어났다. 우선지명 선수 역시 1년 계약이 사라지고 최소 3년~5년으로 늘어났다. 번외지명 및 추가지명의 경우 1년으로 변동 없음.
| + | * 더불어 2013년부터는 4~6순위의 계약기간이 1~3순위와 같이 최소 3년으로 늘어났다. 우선지명 선수 역시 1년 계약이 사라지고 최소 3년~5년으로 늘어났다. 번외지명 및 추가지명의 경우 1년으로 변동 없음. |
− | #* 2012년부터 우선지명 4명 제한이 사라졌다. 우선지명권을 행사한 구단이 3순위에서 배제되는 규정이 생겼다가 없어졌다.
| + | * 2012년부터 우선지명 4명 제한이 사라졌다. 우선지명권을 행사한 구단이 3순위에서 배제되는 규정이 생겼다가 없어졌다. |
− | #* 2013년부터 자유계약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선발방식이 "자유선발, 우선지명, 드래프트 방식으로 선발한다."로 변경되었다.
| + | * 2013년부터 자유계약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선발방식이 "자유선발, 우선지명, 드래프트 방식으로 선발한다."로 변경되었다. |
− | #* 2013년부터 K리그 챌린지가 출범함에 따라, 드래프트 1순위는 K리그클래식 팀만, 2순위는 K리그챌린지 팀만 지명하며 3순위부터는 구분 없이 추첨으로 뽑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 + | * 2013년부터 K리그 챌린지가 출범함에 따라, 드래프트 1순위는 K리그클래식 팀만, 2순위는 K리그챌린지 팀만 지명하며 3순위부터는 구분 없이 추첨으로 뽑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
| | | |
| == 기타 == | | == 기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