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한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공한증(恐韓症, 중국어 간체: 恐韩症, 정체: 恐韓症, 병음: kǒnghánzheng)은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오랜 세월 동안 한…)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공한증(恐韓症, 중국어 간체: 恐韩症, 정체: 恐韓症, 병음: kǒnghánzheng)은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오랜 세월 동안 한번도 이기지 못하는 현상, 또는 언론에서 그러한 까닭를 설명할 때 쓰는 말이다.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한국(韓)을 두려워하는(恐) 증상(症)’이라는 뜻이다.  
+
공한증(恐韓症, 중국어 간체: 恐韩症, 정체: 恐韓症, 병음: kǒnghánzheng)은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오랜 세월 동안 한번도 이기지 못하는 현상, 또는 언론에서 그러한 까닭를 설명할 때 쓰는 말이다.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한국(韓)을 두려워하는(恐) 증상(症)’이라는 뜻이다.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대회]]에서 깨졌다. 원래 중국 대중 매체에서 사용하던 용어를 한국 대중 매체에서 가져와서 사용하면서 널리 퍼졌다. 축구 이외에 바둑에서도 중국 기사(碁士)들이 이창호와 같은 한국 기사에게 계속 패하는 것을 가리켜 사용하기도 한다.  
2010년 동아시아 축구대회에서 깨졌다.  
 
  
원래 중국 대중 매체에서 사용하던 용어를 한국 대중 매체에서 가져와서 사용하면서 널리 퍼졌다. 축구 이외에 바둑에서도 중국 기사(碁士)들이 이창호와 같은 한국 기사에게 계속 패하는 것을 가리켜 쓰기도 한다. 중국과 최초 경기는 1978년 12월 17일 방콕에서 열렸던 아시안 게임. 차범근의 결승골로 대한민국이 1:0으로 승리.  
+
== 개요 ==
 +
중국과 최초 경기는 1978년 12월 17일 방콕에서 열렸던 아시안 게임으로 [[차범근]]의 결승골로 대한민국이 1:0으로 승리했다. 이후 대한민국은 1978년부터 2008년까지 [[중국]]을 상대로 16승 11무를 기록하면서 패배는 한번도 기록하지 않았으며, 반면 중화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에게 아무런 승리를 기록하지 못하게 되면서 공한증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한편, 공한증이라는 말에 한국과 실력으로는 차이가 없지만, 시합을 하는 당사자들이 한국과의 경기라서 기가 죽어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해서 진다는 뜻이 담겨 있다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 따라서 한국의 실력을 폄하하려는 중국대중매체의 의도가 숨어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일부에서는 이런 용어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
하지만 이러한 중국 국대가 한국 국대를 이기지 못하는 현상은 [[2010년]] 2월 10일, 도쿄에서 열렸던 [[동아시아 축구선수권대회]]에서 중국 국가 대표팀이 허정무 감독 체제의 대한민국 월드컵 대표팀을 상대로 3:0으로 승리하면서 32년만에 깨졌다.
 +
 
 +
== 비판 ==
 +
공한증이라는 말에는 실제 실력에 있어서는 한국과 중국이 별 차이가 없지만, 시합을 하는 당사자들이 한국과의 경기라서 기가 죽어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해서 진다는 뜻이 담겨 있다고도 해석할 수 있어, 사실 공한증이라는 단어 자체가 한국의 실력을 폄하하려는 중국대중매체의 의도가 숨어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주장하는 측에서는 이런 용어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
 
 +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역대 전적 ==
 +
{|class=wikitable
 +
!횟수
 +
!날짜
 +
!장소
 +
!대회
 +
!결과
 +
!득점자
 +
|-
 +
|1
 +
|[[1978년]] 12월 17일
 +
|방콕
 +
|아시안게임
 +
|bgcolor="#66ff99"|1 : 0승
 +
|[[차범근]]
 +
|-
 +
|2
 +
|[[1978년]] 12월 29일
 +
|마닐라
 +
|아시안컵 예선
 +
|bgcolor="#66ff99"|1 : 0승
 +
|[[허정무]]
 +
|-
 +
|3
 +
|[[1982년]] 3월 1일
 +
|캘커타
 +
|네루 골드컵
 +
|bgcolor="#ffffcc"|1 : 1무
 +
|[[이태호]]
 +
|-
 +
|4
 +
|[[1983년]] 11월 3일
 +
|방콕
 +
|[[1984년 하계 올림픽|LA 올림픽]] 예선 1차전
 +
|bgcolor="#ffffcc"|3 : 3무
 +
|[[김종건]] (2골), [[김종부]]
 +
|-
 +
|5
 +
|[[1983년]] 11월 8일
 +
|방콕
 +
|LA올림픽 예선 2차전
 +
|bgcolor="#ffffcc"|0 : 0무
 +
|
 +
|-
 +
|6
 +
|[[1986년]] 9월 28일
 +
|[[서울]]
 +
|아시안게임
 +
|bgcolor="#66ff99"|4 : 2승
 +
|[[박창선]], [[김주성]], [[이태호]], [[조민국]]
 +
|-
 +
|7
 +
|[[1988년]] 12월 14일
 +
|카타르
 +
|아시안컵
 +
|bgcolor="#66ff99"|2 : 1승
 +
|[[이태호]] (2골)
 +
|-
 +
|8
 +
|[[1989년]] 10월 20일
 +
|[[싱가포르]]
 +
|[[1990년 축구 월드컵|이탈리아 월드컵]] 예선
 +
|bgcolor="#66ff99"|1 : 0승
 +
|[[김주성]]
 +
|-
 +
|9
 +
|[[1990년]] 7월 31일
 +
|베이징
 +
|[[다이너스티컵]] 예선
 +
|bgcolor="#66ff99"|1 : 0승
 +
|[[이상윤]]
 +
|-
 +
|10
 +
|[[1990년]] 8월 3일
 +
|북경
 +
|다이너스티컵 결승
 +
|bgcolor="#ccffcc"|1<5pk4>1무
 +
|[[황보관]]
 +
|-
 +
|11
 +
|[[1990년]] 9월 27일
 +
|북경
 +
|[[아시안게임]]
 +
|bgcolor="#66ff99"|2 : 0승
 +
|[[서정원]] (2골)
 +
|-
 +
|12
 +
|[[1992년]] 8월 26일
 +
|북경
 +
|다이너스티컵
 +
|bgcolor="#66ff99"|2 : 0승
 +
|[[박현용]], [[정재권]]
 +
|-
 +
|13
 +
|[[1995년]] 2월 19일
 +
|[[홍콩]]
 +
|다이너스티컵
 +
|bgcolor="#ffffcc"|0 : 0무
 +
|
 +
|-
 +
|14
 +
|[[1996년]] 9월 25일
 +
|서울
 +
|한중 정기전
 +
|bgcolor="#66ff99"|3 : 1승
 +
|[[서정원]], [[이기형]], [[하석주]]
 +
|-
 +
|15
 +
|[[1996년]] 11월 26일
 +
|광저우
 +
|한중 정기전
 +
|bgcolor="#66ff99"|3 : 2승
 +
|[[노상래]], [[신홍기]], [[이영진]]
 +
|-
 +
|16
 +
|[[1997년]] 4월 23일
 +
|북경
 +
|한중 정기전
 +
|bgcolor="#66ff99"|2 : 0승
 +
|[[박건하]] (2골)
 +
|-
 +
|17
 +
|[[1997년]] 8월 30일
 +
|서울
 +
|한중 정기전
 +
|bgcolor="#ffffcc"|0 : 0무
 +
|
 +
|-
 +
|18
 +
|[[1998년]] 3월 4일
 +
|요코하마
 +
|다이너스티컵
 +
|bgcolor="#66ff99"|2 : 1승
 +
|[[최성용]], [[이상윤]]
 +
|-
 +
|19
 +
|[[1998년]] 6월 4일
 +
|서울
 +
|한중 정기전
 +
|bgcolor="#ffffcc"|1 : 1무
 +
|[[이상윤]]
 +
|-
 +
|20
 +
|[[1998년]] 11월 22일
 +
|상해
 +
|한중 정기전
 +
|bgcolor="#ffffcc"|0 : 0무
 +
|
 +
|-
 +
|21
 +
|[[2000년]] 7월 28일
 +
|베이징
 +
|한중 정기전
 +
|bgcolor="#66ff99"|1 : 0승
 +
|[[이영표]]
 +
|-
 +
|22
 +
|[[2000년]] 10월 13일
 +
|{{주석|트리폴리|리비아 수도가 아니라 레바논의 도시}}
 +
|[[아시안컵]] 본선 조별리그
 +
|bgcolor="#ffffcc"|2 : 2무
 +
|[[이영표]], [[노정윤]]
 +
|-
 +
|23
 +
|[[2000년]] 10월 29일
 +
|베이루트
 +
|아시안컵 본선 3/4위전
 +
|bgcolor="#66ff99"|1 : 0승
 +
|[[이동국]]
 +
|-
 +
|24
 +
|[[2002년]] 4월 27일
 +
|[[인천]]
 +
|친선 경기
 +
|bgcolor="#ffffcc"|0 : 0무
 +
|
 +
|-
 +
|25
 +
|[[2003년]] 12월 7일
 +
|요코하마
 +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대회|동아시아 대회]]
 +
|bgcolor="#66ff99"|1 : 0승
 +
|[[유상철]]
 +
|-
 +
|26
 +
|[[2005년]] 7월 31일
 +
|[[대전]]
 +
|동아시아 대회
 +
|bgcolor="#ffffcc"|1 : 1무
 +
|[[김진규]]
 +
|-
 +
|27
 +
|[[2008년]] 2월 17일
 +
|충칭
 +
|동아시아 대회
 +
|bgcolor="#66ff99"|3 : 2승
 +
|[[박주영]] (2골), [[곽태휘]]
 +
|-
 +
|28
 +
|[[2010년]] 2월 10일
 +
|도쿄
 +
|동아시아 대회
 +
|bgcolor="#ff9999"|0 : 3패
 +
|위하이, 가오린, 덩주오샹
 +
|}
 +
 
 +
=== 중국 올림픽대표팀 및 U-23대표팀간 역대전적 ===
 +
 
 +
{|class=wikitable
 +
! 횟수||날짜||장소||대회||결과||득점자
 +
|-
 +
|1
 +
|[[1992년]] 1월 30일
 +
|쿠알라룸푸르
 +
|[[1992년 하계 올림픽|바르셀로나 올림픽]] 예선
 +
|bgcolor="#66ff99"|3 : 1승
 +
|[[곽경근]], [[서정원]], [[김귀화]]
 +
|-
 +
| 2
 +
|[[1996년]] 3월 31일
 +
|쿠알라룸푸르
 +
|[[1996년 하계 올림픽|애틀랜타 올림픽]] 예선
 +
|bgcolor="#66ff99"|3 : 0승
 +
|[[이기형]], [[이우영]] (2골)
 +
|-
 +
|3
 +
|[[1999년]] 1월 30일
 +
|호찌민
 +
|던힐컵 조 예선
 +
|bgcolor="#66ff99"|2 : 1승
 +
|[[이동국]] (2골)
 +
|-
 +
|4
 +
|[[1999년]] 2월 7일
 +
|호찌민
 +
|던힐컵 결승
 +
|bgcolor="#66ff99"|1 : 0승
 +
|[[최철우]]
 +
|-
 +
|5
 +
|[[1999년]] 10월 3일
 +
|서울 잠실
 +
|[[2000년 하계 올림픽|시드니 올림픽]] 예선
 +
|bgcolor="#66ff99"|1 : 0승
 +
|[[신병호]]
 +
|-
 +
|6
 +
|[[1999년]] 10월 29일
 +
|상하이
 +
|시드니 올림픽 예선
 +
|bgcolor="#ffffcc"|1 : 1무
 +
|[[이동국]]
 +
|-
 +
|7
 +
|[[2004년]] 3월 3일
 +
|서울
 +
|[[2004년 하계 올림픽|아테네 올림픽]] 예선
 +
|bgcolor="#66ff99"|1 : 0승
 +
|[[조재진]]
 +
|-
 +
|8
 +
|[[2004년]] 5월 1일
 +
|창사
 +
|아테네 올림픽 예선
 +
|bgcolor="#66ff99"|2 : 0승
 +
|조재진, [[김동진]]
 +
|-
 +
|9
 +
|[[2010년]] 11월 15일
 +
|광저우
 +
|아시안 게임
 +
|bgcolor="#66ff99"|3 : 0승
 +
|[[김정우]], [[박주영]], [[조영철]]
 +
|}
 +
 
 +
{{위키백과}}

2011년 7월 27일 (수) 09:02 판

공한증(恐韓症, 중국어 간체: 恐韩症, 정체: 恐韓症, 병음: kǒnghánzheng)은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오랜 세월 동안 한번도 이기지 못하는 현상, 또는 언론에서 그러한 까닭를 설명할 때 쓰는 말이다.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한국(韓)을 두려워하는(恐) 증상(症)’이라는 뜻이다.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대회에서 깨졌다. 원래 중국 대중 매체에서 사용하던 용어를 한국 대중 매체에서 가져와서 사용하면서 널리 퍼졌다. 축구 이외에 바둑에서도 중국 기사(碁士)들이 이창호와 같은 한국 기사에게 계속 패하는 것을 가리켜 사용하기도 한다.

개요

중국과 최초 경기는 1978년 12월 17일 방콕에서 열렸던 아시안 게임으로 차범근의 결승골로 대한민국이 1:0으로 승리했다. 이후 대한민국은 1978년부터 2008년까지 중국을 상대로 16승 11무를 기록하면서 패배는 한번도 기록하지 않았으며, 반면 중화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에게 아무런 승리를 기록하지 못하게 되면서 공한증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중국 국대가 한국 국대를 이기지 못하는 현상은 2010년 2월 10일, 도쿄에서 열렸던 동아시아 축구선수권대회에서 중국 국가 대표팀이 허정무 감독 체제의 대한민국 월드컵 대표팀을 상대로 3:0으로 승리하면서 32년만에 깨졌다.

비판

공한증이라는 말에는 실제 실력에 있어서는 한국과 중국이 별 차이가 없지만, 시합을 하는 당사자들이 한국과의 경기라서 기가 죽어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해서 진다는 뜻이 담겨 있다고도 해석할 수 있어, 사실 공한증이라는 단어 자체가 한국의 실력을 폄하하려는 중국대중매체의 의도가 숨어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주장하는 측에서는 이런 용어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역대 전적

횟수 날짜 장소 대회 결과 득점자
1 1978년 12월 17일 방콕 아시안게임 1 : 0승 차범근
2 1978년 12월 29일 마닐라 아시안컵 예선 1 : 0승 허정무
3 1982년 3월 1일 캘커타 네루 골드컵 1 : 1무 이태호
4 1983년 11월 3일 방콕 LA 올림픽 예선 1차전 3 : 3무 김종건 (2골), 김종부
5 1983년 11월 8일 방콕 LA올림픽 예선 2차전 0 : 0무
6 1986년 9월 28일 서울 아시안게임 4 : 2승 박창선, 김주성, 이태호, 조민국
7 1988년 12월 14일 카타르 아시안컵 2 : 1승 이태호 (2골)
8 1989년 10월 20일 싱가포르 이탈리아 월드컵 예선 1 : 0승 김주성
9 1990년 7월 31일 베이징 다이너스티컵 예선 1 : 0승 이상윤
10 1990년 8월 3일 북경 다이너스티컵 결승 1<5pk4>1무 황보관
11 1990년 9월 27일 북경 아시안게임 2 : 0승 서정원 (2골)
12 1992년 8월 26일 북경 다이너스티컵 2 : 0승 박현용, 정재권
13 1995년 2월 19일 홍콩 다이너스티컵 0 : 0무
14 1996년 9월 25일 서울 한중 정기전 3 : 1승 서정원, 이기형, 하석주
15 1996년 11월 26일 광저우 한중 정기전 3 : 2승 노상래, 신홍기, 이영진
16 1997년 4월 23일 북경 한중 정기전 2 : 0승 박건하 (2골)
17 1997년 8월 30일 서울 한중 정기전 0 : 0무
18 1998년 3월 4일 요코하마 다이너스티컵 2 : 1승 최성용, 이상윤
19 1998년 6월 4일 서울 한중 정기전 1 : 1무 이상윤
20 1998년 11월 22일 상해 한중 정기전 0 : 0무
21 2000년 7월 28일 베이징 한중 정기전 1 : 0승 이영표
22 2000년 10월 13일 트리폴리? 아시안컵 본선 조별리그 2 : 2무 이영표, 노정윤
23 2000년 10월 29일 베이루트 아시안컵 본선 3/4위전 1 : 0승 이동국
24 2002년 4월 27일 인천 친선 경기 0 : 0무
25 2003년 12월 7일 요코하마 동아시아 대회 1 : 0승 유상철
26 2005년 7월 31일 대전 동아시아 대회 1 : 1무 김진규
27 2008년 2월 17일 충칭 동아시아 대회 3 : 2승 박주영 (2골), 곽태휘
28 2010년 2월 10일 도쿄 동아시아 대회 0 : 3패 위하이, 가오린, 덩주오샹

중국 올림픽대표팀 및 U-23대표팀간 역대전적

횟수 날짜 장소 대회 결과 득점자
1 1992년 1월 30일 쿠알라룸푸르 바르셀로나 올림픽 예선 3 : 1승 곽경근, 서정원, 김귀화
2 1996년 3월 31일 쿠알라룸푸르 애틀랜타 올림픽 예선 3 : 0승 이기형, 이우영 (2골)
3 1999년 1월 30일 호찌민 던힐컵 조 예선 2 : 1승 이동국 (2골)
4 1999년 2월 7일 호찌민 던힐컵 결승 1 : 0승 최철우
5 1999년 10월 3일 서울 잠실 시드니 올림픽 예선 1 : 0승 신병호
6 1999년 10월 29일 상하이 시드니 올림픽 예선 1 : 1무 이동국
7 2004년 3월 3일 서울 아테네 올림픽 예선 1 : 0승 조재진
8 2004년 5월 1일 창사 아테네 올림픽 예선 2 : 0승 조재진, 김동진
9 2010년 11월 15일 광저우 아시안 게임 3 : 0승 김정우, 박주영, 조영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