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 드래프트 2015
(2015년 드래프트에서 넘어옴)
K리그 드래프트 2015는 23번째 K리그 드래프트로 K리그 클래식 2015와 K리그 챌린지 2015 시즌에 등록되어 활동하게 될 신인 선수 선발이다. 2015년을 끝으로 드래프트제 폐지가 예정되어 있어 추후 변화가 없다면 마지막 K리그 드래프트가 될 예정이다.
진행[편집]
K리그 드래프트 2014와 동일하게 1부, 2부리그가 동시 참가하는 마지막 드래프트이며, 자유계약과 클럽우선지명, 창단팀 우선지명이 모두 이루어지는 복잡한 드래프트가 될 전망이다. 이후에는 드래프트 없이 전 구단이 자유계약으로 선수를 선발하게 된다.
구분 | 일자 | 비고 |
---|---|---|
드래프트 참가희망 접수 | ~2014년 11월 7일 | |
클럽유스 우선지명 통보 | 2014년 11월 12일 까지 | 유스 우선지명 숫자 무제한 |
클럽유스 우선지명 공시 | 2014년 11월 13일 | |
드래프트 참가명단 공시 | 2014년 11월 17일 | |
자유선발선수 1차 공시 | 2014년 11월 12일 | 이후 자유선발은 2014년 12월 10일부터 2015년 3월 2일까지 가능. |
신생창단구단 우선지명 공시 | 2014년 11월 21일 | 창단 구단이 단수이므로 11월 20일까지 서면제출. |
2015년 드래프트 실시 | 2014년 12월 9일 | |
미지명 선수 계약 | 2014년 12월 10일 ~ 2015년 3월 2일 | 이때 계약선수는 번외지명 계약조건과 같다. |
지명방법 구분[편집]
크게 자유선발, 우선지명, 드래프트 세 종류의 지명으로 나뉘고, 아래 표는 지명방법에 따른 계약기간 및 기본급여를 구분한 표이다.
명칭 | 계약금 | 연봉 | 계약기간 |
---|---|---|---|
자유계약 (1,2부 모두 3명)[1] |
최고 1.5억 | 3600만원 | 5년 |
클럽유스지명 (무제한) |
계약금 최고 1.5억 | 3600만원 | 5년 |
미지급 | 2000~3600만 | 3~5년 | |
창단팀 우선지명[2] | 미지급 | 5000만원 | 3~5년 |
드래프트 1순위 (1부리그팀만 1명 지명가능) |
미지급 | 5000만원 | 3~5년 |
드래프트 2순위 (2부리그팀만 1명 지명가능) |
4400만원 | ||
드래프트 3순위 (1,2부리그팀 모두 1명 지명가능) |
3800만원 | ||
드래프트 4순위 ( ”) |
3200만원 | ||
드래프트 5순위 ( ”) |
2800만원 | ||
드래프트 6순위 ( ”) |
2400만원 | ||
번외지명 (1,2부리그팀 모두 무제한 지명가능) |
2000만원 | 1년 |
일정 및 소계[편집]
드래프트 실시 일시 : 2014년 12월 9일 | |
---|---|
총 드래프트 신청자 : 540명 (우선지명 25명 및 철회 14명 포함) | |
지명 형식 | 숫자 |
자유계약 | 35명 |
클럽 유스팀 지명 | 25명[3] |
신규 창단구단 우선지명 | 11명 |
드래프트 지명 | 52명 |
합계 : 123명[4] |
지명결과[편집]
자유계약[편집]
자유계약은 1부리그와 2부리그 참가팀이 3명씩 계약하여 공시할 수 있다. 자유계약은 2015년 3월 2일까지 가능하다.
|
|
클럽유스 우선지명[편집]
신생 창단팀 우선지명[편집]
신생창단팀 우선지명은 신생창단하여 2부리그에 참가하는 팀 숫자가 1개일 경우, 그 팀이 15명을 우선지명 가능하고, 창단팀이 2개면 10명, 3개 이상이면 8명씩을 각각 우선지명 가능하다. 2015년 2부리그에 참가하는 신생팀은 서울 이랜드 FC 1팀이기 때문에 신생창단팀 우선지명은 15명 가능하다. 우선지명으로 11명이 지명되었다.
구단 | 우선지명 선수(11명) |
---|---|
서울 이랜드 FC | 전민광(중원대), 구대엽(광주대), 조향기(광운대), 전현재(광운대), 최오백(조선대), 이정필(울산대), 조우진(한남대), 오창현(일본), 김민제(일본), 김영근(일본), 윤성열(일본) |
드래프트 지명[편집]
구단 | 1순위 | 2순위 | 3순위 | 4순위 | 5순위 | 6순위 | 번외지명 | 추가지명 |
---|---|---|---|---|---|---|---|---|
K리그 클래식 | ||||||||
전북 현대 모터스 | 지명권 없음 |
옹동균 (건국대) |
고민국(명지대) 이원우(제주중앙고) |
황병근(국제사이버대)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함석민 (한수원) |
|||||||
FC GS | 유로몬(류츠케이자이대) | |||||||
포항 스틸러스 | ||||||||
SK 유나이티드 | 김태호(중앙대) | |||||||
울산 현대 | 유창균 (울산대) |
임성국(숭실대) 장지훈(동국대) 손세범(용인대) 전인환(예원예술대) |
||||||
전남 드래곤즈 | 이광열 (연세대) |
서민환(동신대) | ||||||
부산 아이파크 | 서홍민 (한양대) |
이주용(홍익대) | ||||||
성남 FC | 문창현 (명지대) |
이원규 (인천대) |
이승민(풍생고) | |||||
인천 유나이티드 | 윤주열 (인천대) |
이진욱 (가톨릭관동대) | ||||||
대전 시티즌 | 김창현(배재대) 허영철(한남대) 이형진(성균관대) 공용석(건국대) 정서운(서남대) 이정근(FC Kagoshima) 정재성(용인시청) | |||||||
광주 FC | 허재녕 (아주대) |
주현우 (동신대) |
김성현 (중랑) |
김의신 (호원대) |
박성용 (호남대) |
|||
K리그 챌린지 | ||||||||
경남 FC | 지명권 없음 |
고대서(NK Maksimir) | ||||||
강원 FC | 전병수 (동국대) |
이동재(강릉문성고) 김이삭(한라대) |
이한음(용인시청) | |||||
FC 안양 | 남지훈 (수원대) |
최동혁(우석대) | 이하늘(원광대) 김기태(홍익대) | |||||
수원 FC | 김부관 (김해시청) |
정기운(광운대) 김현태(용인대) 김민철(경기대) |
엄태연(제주국제대) | |||||
대구 FC | 김현수 (연세대) |
신희재 (선문대) |
김래훈 (명지대) |
|||||
고양 Hi FC | 박태형(단국대) | 김성식(연세대) 서형승(동아대) 김성훈(경희대) 오주호(동아대) 강태훈(Aravaca C.F.)[8] | ||||||
충주 험멜 | 이영창 (홍익대) |
황수남(관동대) 정해승(동국대) 노재승(미포조선) 심진의(선문대) 엄진태(경희대) |
김규남 (전주대) 강민성 (홍익대) 한동욱 (전주대) 이명준 (청주대) 정해성 (고려대) | |||||
부천 FC 1995 | 주광선 (용인시청) |
이기현(동국대) 신현준(세종대) 김영남(정명정보고) |
||||||
서울 이랜드 FC | 오규빈 (관동대) |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 ↑ 단, 신생구단(챌린저스리그 포함)은 최대 5명까지, 내셔널리그 승격 구단은 3명까지 자유계약이 가능하다.
- ↑ 1팀 창단 15명, 2팀 창단 10명, 3팀 이상 창단 8명 / 내셔널리그 승격 구단은 3명
- ↑ 2015년 2월 고교졸업 후 프로 직행선수 11명과 이전 드래프트 지명자중 프로입성 유스선수 14명을 합쳐서 25명이다. 고교졸업 후, 대학에 진학한 유스 선수는 제외
- ↑ 2015년 1월 2일 기준. 2015년 3월 2일까지 자유계약 및 추가지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늘어날 수 있다.
- ↑ K리그 선수명단에 등록되지 않음
- ↑ 입단 직후 AFC 투비즈로 임대되어 벨기에에서 활동하였으나, 2016년에 한국으로 돌아와 사이버한국외대에서 뛰는중이다.
- ↑ 신호진에서 개명
- ↑ K리그 선수명단에 등록되지 않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