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토스3"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번째 줄: 1번째 줄:
[[File:산토스3.jpg|섬네일|200px|수원의 산토스]]
+
[[File:산토스3.jpg|섬네일|300px|<center>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산토스</center>]]
'''산투스'''(Natanael De Souza Santos Junior, 1985년 12월 25일 ~ )는 브라질 국적의 축구선수로 2010년부터 활약하고 있는 [[공격형 미드필더]].
+
'''산투스'''(Santos, 1985년 12월 25일 ~ )는 브라질 국적의 축구선수로, 2010년부터 [[K리그]]에서 활약 중인 [[공격형 미드필더]]이다.
 
+
{{다른 사람|산토스}}
K리그에 동일 등록명 [[산토스]]가 다수 존재하는 관계로, 풋케위키 문서명은 '산토스3'으로 한다.
 
  
  
9번째 줄: 8번째 줄:
 
{{col-begin}}
 
{{col-begin}}
 
{{col-3}}
 
{{col-3}}
* 이름 : '''나타나에우 지 소자 산투스 주니오르'''(Natanael De Souza Santos Junior)
+
* 이름 : '''나타나에우 지 소자 산투스 주니오르''' (Natanael De Souza Santos Junior)
  
* [[등록명]] : 산토스
+
* [[K리그 등록명|등록명]] : 산토스
  
 
* 국적 : {{국기그림|브라질}} 브라질
 
* 국적 : {{국기그림|브라질}} 브라질
 
* 출생지 : {{국기그림|브라질}} 바이아 주 모르투가바(Mortugaba, Bahia)
 
  
 
* 출생일 : 1985년 12월 25일
 
* 출생일 : 1985년 12월 25일
21번째 줄: 18번째 줄:
 
* 신체 : 165cm / 64kg  
 
* 신체 : 165cm / 64kg  
  
* 포지션 : '''[[공격형 미드필더]]''', [[스트라이커]]
+
* 포지션 : [[쉐도우 스트라이커]], [[공격형 미드필더]]
  
 
* 수상 경력
 
* 수상 경력
: 2014년 K리그 [[K리그 시즌 베스트 11|시즌 베스트 11]] 공격수 부문 선정 및 [[K리그 득점왕|득점왕]] 수상
+
: 2014년 [[K리그 득점상]] 수상
 +
: 2014년 [[K리그 시즌 베스트 11]] FW 부문 선정
  
* 현 소속팀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현 소속팀 : {{팀/수원}}
  
 
* [[등번호]] : 10
 
* [[등번호]] : 10
 
{{col-3}}
 
{{col-3}}
* K리그 기록  
+
* K리그 기록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8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border=1 cellpadding=4 cellspacing=2 style="background:#FFFFFF; text-align:center; font-size: 85%; border: 1px #aaaaaa solid; border-collapse: collapse; clear:center"
 
|- style="background:#C0C0C0"
 
|- style="background:#C0C0C0"
!소속팀 !!리그!! 연도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연도 !! 소속팀 !! 리그 !! 출장 !! 교체 !! 득점 !! 도움 !! 경고 !! 퇴장  
 
|-
 
|-
|rowspan=3| {{틀:팀/SK}} ||rowspan=3| || 2010 ||28||18||14||5||0||0
+
|  2010 || rowspan=3 {{팀/SK|1}} ||rowspan=3|K리그 || 28||18||14||5||0||0
 
|-
 
|-
| 2011 ||29||6||14||4||2||0
+
| 2011 ||29||6||14||4||2||0
 
|-
 
|-
| 2012 ||35||12||14||11||0||0
+
| 2012 ||35||12||14||11||0||0
 
|-
 
|-
|rowspan=4| {{틀:팀/수원}} ||rowspan=4| 클래식|| 2013 ||19||7||8||1||1||0
+
|  2013  ||rowspan=4 {{팀/수원|1}} || rowspan=4| 클래식|| 19||7||8||1||1||0
 
|-
 
|-
 
|  2014 || 35 || 27 ||14||7||2|| 0
 
|  2014 || 35 || 27 ||14||7||2|| 0
48번째 줄: 46번째 줄:
 
|-
 
|-
 
|  2016 || 0 || 0 || 0 || 0 || 0 || 0   
 
|  2016 || 0 || 0 || 0 || 0 || 0 || 0   
|-
+
|- style="background:#C0C0C0"
! 통산 (K리그) ||클래식|| - || 175 || 93 || 76 || 29 || 5 || 0
+
! 통산 ||colspan=2| [[K리그 클래식]] || 175 || 93 || 76 || 29 || 5 || 0
 
|-
 
|-
 
|}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기록 포함. 2016년 1월 1일 기준
+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6년 3월 1일 기준
 
:{{연맹선수기록|ID=20100172}}
 
:{{연맹선수기록|ID=20100172}}
 
{{col-end}}
 
{{col-end}}
  
  
== K리그 입단 이전 ==
+
== 선수 생활 ==
브라질의 론드리나(Londrina), 카스카베우(Cascavel), 산타 히타(Santa Rita), 카스카베우(Cascavel) 등 주리그 군소팀에서만 활동하였으며 브라질 전국 리그 출장 기록도 없는 등 K리그 입단 이전까지는 무명에 가까운 선수였다.  
+
=== K리그 입단 이전 ===
 +
브라질 클루비 지 헤가타스 브라지우에서 데뷔 후, 파라나 주리그 소속의 론드리나, 카스카베우를 거쳐 알라고아누 주리그 소속의 산타 히타에서 한 시즌 활약하고 카스카베우로 복귀하였다. 산토스는 주로 주리그 군소 팀에서만 활동하였으며 브라질 전국 리그 출장 기록도 없는 등 K리그 입단 이전까지는 무명에 가까운 선수였다.  
  
  
== SK 시절 ==
+
=== SK 시절 ===
2010년, 산토스는 SK 유나이티드로 저렴한 이적료에 입단하였다. 별다른 기대 없이 입단한 산토스는 2010년 4월 4일에 [[성남 일화]]와 경기에서 리그 데뷔를 하였다. 데뷔 이후 간간히 출전한 산토스는 이후 2010년 5월 8일 [[포항 스틸러스]]와 경기에서 1골 1어시를 하며 데뷔골을 성공 시키며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주었고 이후 리그 경기에서 주전 선수로 꾸준히 출전하게 되었다. 주전급으로 올라선 산토스는 시즌이 거듭할수록 위협적인 모습을 보였고, 2010년에 14골과 5개의 도움을 기록하였다. 이듬해 2011년에는 핵심 선수로 활약하여 지난 시즌과 비슷한 14골과 4도움을 기록, 2012년에는 출전 기회를 더 늘려 35경기에 출전하여 14골을 득점함과 동시에 플레이 메이커로 역할까지 겸비하여 11개의 도움 기록하는 놀라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산토스는 SK 소속으로 [[자일]]이나 [[페드로]] 같은 브라질 동료 공격수와도 호흡이 잘 맞추며 두 선수의 공격을 돕거나 때에 따라서 혼자서 해결하는 모습으로 팀의 에이스로 활약하였다.
+
2010년, 산토스는 [[SK 유나이티드]]에 저렴한 이적료로 입단하였다. 큰 기대를 받지 못하며 초반 주전 명단에서 제외되기도 했으나 2010년 4월 4일 [[성남 일화]]와 경기에서 리그 데뷔전을 치렀고, 이후 가끔 출전하는 것에 그치다가 2010년 5월 8일 [[포항 스틸러스]]와 경기에서 1골 1도움을 올리며 주전으로 도약했다. 주전급으로 올라선 산토스는 점차 위협적인 모습을 보이며 이적 첫 시즌에 14골과 5개의 도움을 기록하며 SK의 리그 준우승이라는 이변 속의 주인공으로 이름을 알렸다. 이듬해 2011년 [[박경훈]] 감독은 2010년 맹활약한 산토스를 위한 전술을 펼쳤고, 산토스는 이에 부응하며 핵심으로 활약하며 14골과 4도움을 올렸다. 농익은 플레이를 보인 2012년에는 35경기에 출전해 14골을 득점함과 동시에 플레이 메이커로 역할까지 소화하며 11개의 도움을 기록하는 놀라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산토스는 [[SK 유나이티드]] 소속으로 [[자일]], [[페드로]] 등 시즌마다 거쳐온 공격수와 모두 좋은 호흡을 보여주며 팀 에이스로 활약, 무명 선수에서 수준급 선수로 성장하였다.
  
  
== 중국행과 K리그 무대 복귀 ==
+
=== 중국행과 K리그 무대 복귀 ===
K리그 내에서 수준급 외국인 선수로 성장한 산토스는 2013년 [[중국 슈퍼리그]]로 승격한 우한 줘얼로 이적하였다. 우한 줘얼로 이적한 산토스는 팀 내에서 핵심 선수로 활약할 것으로 보였으나, 감독이 165cm의 단신인 산토스를 원톱으로 출전시키는 기용으로 전술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고, 14경기 출전하여 무득점하는 최악의 모습으로 7월에 상호해지로 중국 생활을 마무리하였다.  
+
[[K리그]]에서 성공적인 세 시즌을 보낸 뒤, 2013년 [[중국 슈퍼리그]]로 승격한 우한 줘얼로 이적하였다. 우한 줘얼로 이적 후 아시아 무대에서 적응력을 맹활약을 바탕으로 핵심 선수로 활약할 것으로 전망되기도 했으나, 감독과의 전술 부조화로 리그 적응에 애를 먹게 되었고, 165cm의 신장으로 원톱 역할까지 하게 되면서 14경기 출전해 득점을 올리지 못하는 최악의 모습으로 입단 반년만인 7월에 상호 해지로 중국 생활을 마무리하였다.  
  
  
== 수원에서의 활약 ==
+
=== 수원에서의 활약 ===
짧은 중국 생활을 마무리한 산토스는 다시 K리그 복귀를 타진하였고, [[성남 일화]]와 [[수원 삼성 블루윙즈]] 등의 팀들과 연결되었다. 결국, 기존 외국인 공격수인 [[스테보]]와 [[핑팡]], [[라돈치치]]를 모두 정리한 수원 삼성으로 2013년 7월 25일 이적이 결정되었다. 수원팬들은 과거 SK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여준 산토스지만 중국 무대에서 실패한 이유를 들어 반신반의하는 의견으로 나뉘게 되었다. 그러나 산토스는 8월 11일 [[경남 FC]]와 경기에서 데뷔골을 시작으로 팀이 공격이 안풀릴 때마다 득점을 성공시켰고 반 시즌만 활약했음에도 8골 1도움을 기록하는 활약을 보여주었다. 확실하게 자신의 존재감을 다시 K리그에서 알린 산토스는 2014년에는 10번을 배정 받으며 에이스로 인정 받았고 시즌 초반에는 혼자서 공격을 모두 이끄는 모습을 보이고 후반기에는 [[로저]]의 리그 적응으로 서로 시너지를 이르키며 수원 삼성의 공격을 이끌었다. 산토스는 14골을 기록하며 2014 시즌 [[K리그 득점왕]]에 이름을 올렸으며 또한 [[K리그 시즌 베스트 11|시즌 베스트 11]]에 선정되며 팀의 준우승을 이끌었다.
+
짧은 중국 생활을 마무리한 산토스는 K리그 복귀를 타진하였고, [[성남 일화]]와 [[수원 삼성 블루윙즈]] 등의 팀들과 연결되며 복귀를 기정사실로 했다. 산토스는 기존 외국인 공격수인 [[스테보]]와 [[핑팡]], [[라돈치치]]를 모두 정리한 수원의 적극적인 구애를 받게되었고, 2013년 7월 25일 수원에 정식 입단하였다. 과거 SK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준 것에 비해 중국에서 슬럼프를 겪은 선수로 우려의 시선이 있었으나 빠르게 팀에 녹아들어 8월 11일 [[경남 FC]]와 경기에서 데뷔골을 시작으로 팀이 공격이 안 풀릴 때마다 득점을 성공시켰고 반 시즌만 활약했음에도 8골 1도움을 기록하는 활약을 보여주며 건재함을 과시, 새로운 수원의 희망으로 존재감을 알렸다. 이듬해인 2014년 산토스는 등번호 10번을 배정받으며 수원의 에이스로 인정받았고, 시즌 초반 [[정대세]]의 부진으로 답답하던 수원 공격진영을 혼자서 이끄는 능력과 여름부터 [[로저]]의 적응을 도와 서로 시너지를 일으키며 시즌 내내 꾸준한 활약을 통해 수원의 K리그 클래식 준우승에 공헌하였다. 2014년 맹활약한 산토스는 14골을 기록하며 2014년 [[K리그 득점왕]]에 이름을 올렸고, 동시에 [[K리그 시즌 베스트 11]]에 선정되는 영광을 누리기도 했다.
  
2015년에도 산토스는 핵심 자원으로 활약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산토스는 초반 부상과 컨디션 난조로 기복있는 플레이를 보이며 지난 시즌 보다는 못하다는 평을 듣게 되었다. 그러나 여름 이후에 컨디션을 회복한 산토스는 2015년 6월 17일 [[SK 유나이티드]], 6월 21일 [[전북 현대 모터스]]와 경기에서 2연속 멀티골을 기록하는 놀라운 모습을 보였으며 이후에는 초반보다는 더 안정적인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마찬가지로 팀 공격이 풀리지 않을 때, 공격을 풀어주는 역할과 직접 해결하는 모습으로 7월 이후 무주공산이 된 공격 진영을 이끌고 더불어 [[카이오]][[일리안]]의 부진 속에서도 제 몫을 한다는 평을 받았다. 또한 산토스는 과거와 달리 수비가담도 적극적으로 하는 모습으로 미드필더 전 지역을 활동하는 인상적인 활약을 펼치며 [[광주 FC]]와 후반기 마지막 경기에서는 헤트트릭까지 기록하였다. 이후 스플릿 라운드까지 꾸준히 출전한 산토스는 2년 연속 팀내 최다 득점자에 이름을 올리며 수원 삼성의 준우승에 기여하였고 활약을 인정받아 재계약을 채결하였다.  
+
2015년 산토스는 [[염기훈]]과 함께 수원 공격의 핵심으로 활약할 것으로 전망되기도 했으나 [[정대세]], [[카이오]]와 호흡이 좋지 못했고, 부상과 컨디션 난조가 겹쳐 기복 있는 플레이를 보이며 지난 시즌보다는 못하다는 평을 듣기도 했다. 그러나 여름부터 컨디션을 회복하며 2015년 6월 17일 [[SK 유나이티드]], 6월 21일 [[전북 현대 모터스]]와 경기에서 두 경기 연속 멀티 골을 폭발시켰고, 경기력을 되찾아 7월 이후 [[카이오]]의 연이은 부진과 [[일리안]]의 부적응으로 무주공산이 된 수원 공격을 [[염기훈]], [[권창훈]]과 함께 이끌며 자신의 몫 이상을 하는 활약을 이어갔다. 리그 마지막 경기 [[광주 FC]]와 경기에서는 [[해트트릭]]을 성공하기도 했고, 스플릿 라운드까지 꾸준히 출전하여 2년 연속 팀 내 최다 득점자에 이름을 올려 수원의 리그 준우승에 이바지하며 활약을 인정받아 재계약 체결하며 수원에 잔류하게 되었다. 이듬해 2016년 산토스는 부쩍 개인플레이가 늘어나고 팀플레이에 겉도는 모습을 보이며 득점을 올렸음에도 비판받는 상황에 놓이면서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나 2016년 4월 19일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예선 [[감바 오사카]]와 경기에서 경기력을 회복해 팀 공격을 이끌었고, 멀티 골까지 성공시키며 부진하던 수원을 구하였다.
  
  
 
== 플레이 스타일 ==
 
== 플레이 스타일 ==
영리한 플레이가 인상적이며 뛰어난 슈팅 감각으로 슈팅 대비 득점력도 좋은 편이다. 또한 단신임에도 헤딩 위치선정과 타이밍이 좋아서 헤딩골도 자주 보여준다. 그러나 체격의 한계가 큰 편으로 상대의 강력한 압박에 고립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동료 공격수가 이를 풀어주지 않으면 경기장에서 지워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개인 능력이 월등하게 좋고 이러한 플레이를 대처해 줄 선수도 드물어서 핵심 자원으로 기용되지만, 산토스를 기용하기 위한 전술적 제약도 있다.
+
공격형 미드필더와 쉐도우 스트라이커에 특화된 선수로, 영리한 플레이를 선보이며 단신임에도 위치선정과 타이밍을 잘 맞춰 헤딩슛에도 능한 면을 보이며 슈팅 감각과 골 결정력도 상당한 편이다. 그러나 체격적인 불리함으로 강한 압박에 취약점을 보이며 자주 고립되기도 하고, 동료 원톱 공격수의 역할에 의존하는 경향과 산토스 중심으로 맞춰진 전술에서만 활약이 좋은 편이라 유연한 전술 운용을 어렵게 만드는 단점이 있다.
  
  
 
== 에피소드 ==
 
== 에피소드 ==
* 무릎 양쪽 전방 십자인대가 모두 없다고 한다. 본인은 K리그 진출 후 처음 알았다고.. 산토스가 이렇게 활약할 있는데에는 그만큼 운동으로 발달한 주변 무릎 근육이라고 한다.
+
* 무릎 양쪽 전방 십자인대가 모두 없다고 한다. 산토스 본인은 K리그 진출 후 이러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하며 신체적 불리함에도 맹활약을 펼칠 수 있었던 이유는 성실하게 훈련을 하며 무릎 주변 근육이 십자인대를 보완할 만큼 더 발달시켰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
 
 +
* 넉살 좋고 친화력이 좋아 국내 선수단과 잘 어울리는 모습을 보여주며, 팀에 입단한 브라질 국적 선수들과도 잘 지내며 한국 생활을 도와주는 역할을 맡고 있다.<ref>이러한 모습은 [[로저]]의 적응을 도운 것에서 잘 나타난다. 로저는 2014년 수원 입단 후, 많은 슈팅을 날렸음에도 전반기 동안 무득점에 그치며 슬럼프에 빠졌고, 산토스는 이런 로저의 자신감을 올려주기 위해 2014년 7월 9일 [[울산 현대]]와 경기에서 자신이 얻은 [[페널티킥]]을 로저에게 양보하며 시즌 첫 골을 넣을 있게 배려해 주었다. 그 후 산토스와 연계 플레이에 눈을 뜨고 전체적인 플레이 질이 좋아져 전반기 무득점에 그쳐 실패한 외국인 공격수로 될 뻔한 로저는 후반기 주전 스트라이커로 발돋움했다.</ref>
 +
 
 +
* 우한 줘얼 시절 산토스의 후임 외국인 공격수는 [[경남 FC]]와 [[부산 아이파크]]에서 활약 중인 [[스토야노비치]]다. 이 밖에도 당시 팀 동료로 [[조원희]]도 있었으며, 조원희가 2016년 수원으로 6년 만에 복귀하게 되면서 다시 재회하였다.
  
* 유난히 숫자 '''14'''관련이 많은 선수이다. SK시절 3시즌 연속 14득점을 기록하더니 우한 줘얼에선 14출전에 그쳤다. 2014년에는 수원 삼성에서 14골을 득점하여 득점왕에 오르기도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2015년에도 14득점 징크스를 이어가는지가 화재가 되기도 했는데, 초반에는 부진한 활약에 불가능할 것 같더니 시즌 후반기에는 12득점을 기록하면서 또 14득점으로 가나 했으나.. 결국 12득점으로 마무리하였다.
+
* 평소 성실한 모습을 보이며 팀 훈련에 지각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기도 했으나, [[2014년 FIFA 브라질 월드컵]] 브라질과 독일과의 4강전을 새벽 늦게까지 시청하고 늦잠이 들었고, 결국 팀 훈련에 지각하게 되었다고 한다. 당시 부상 중인 [[염기훈]]을 대신해 임시 주장을 맡고 있었던 [[김은선]]은 산토스의 평소 성실했던 점과 브라질이 1-7로 충격패한 것에 대한 수원 선수들의 동정여론으로 지각 벌금을 매기지 않고 대신 반드시 [[울산 현대]]경기에서 득점하는 조건으로 완화(?)해주게 되었다고 한다. 산토스는 약속했던 경기에서 선취 득점을 성공시키며 김은선과의 약속을 지키며 늦잠 세레머니까지 하며 늦잠 지각을 만회하며 약속을 지키게 되었다.<ref>[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407100100133200008187&servicedate=20140710 산토스, 늦잠꾸러기 세리머니는 김은선 배려 덕분]</ref>
  
* 친화력이 상당히 좋아 보인다. 팀내 브라질 선수들이 오면 산토스가 모두 챙기는 모습으로 팀 적응을 도와준다 한다.
+
* 유독 [[인천 유나이티드]]에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SK 유나이티드]]에서 중국으로 떠나기 전까지 인천을 상대로 3골 2도움을 기록했었고, 수원 입단 후 2013년 8월 28일에 펼쳐진 인천과의 맞대결에서도 득점에 성공하였다. 그 뒤로 7경기 연속 골을 성공시키기며 '인천 킬러'로 불리기도 했다. 연속 골 기록은 2015년 5월 31일 수원과 인천의 맞대결에서 득점에 성공하지 못하며 득점 행진을 마쳤으나 이후 경기에서 다시 득점에 성공하며 인천을 상대로 맹활약을 이어갔다.<ref>[http://sports.hankooki.com/lpage/soccer/201604/sp2016041417105693650.htm]</ref>
  
* 우한 줘얼 시절 산토스의 후임 외국인 공격수는 [[경남 FC]]에서 활약하여 2016년부터 [[부산 아이파크]]로 이적한 [[스토야노비치]]다. 이 밖에도 당시 팀 동료로 [[조원희]]도 있었다.
+
* 유난히 숫자 '''14'''와 관련이 많은 선수이다. SK 시절 3시즌 연속 14득점을 기록하더니 우한 줘얼에선 14경기 출전에 그치며 중국 생활을 마무리 했고, 2014년에 수원에서 14골을 득점하여 득점왕에 오르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2015년에도 14득점 징크스를 이어가는지가 화재가 되기도 했는데, 초반에는 부진한 활약에 불가능할 것 같더니 스플릿 라운드 진입 후 12득점을 기록하면서 또 14득점을 달성하는 가했으나, 결국 12득점에서 득점 행진을 멈추게 되며 14 징크스에서 탈출(?)하였다.
  
  
102번째 줄: 105번째 줄:
 
| 2009 || {{국기그림|브라질}} Santa Rita || Campeonato Alagoano - 2ª Divisão  ||
 
| 2009 || {{국기그림|브라질}} Santa Rita || Campeonato Alagoano - 2ª Divisão  ||
 
|-
 
|-
| 2009 || {{국기그림|브라질}} Cascavel || Campeonato Paranaense ||
+
| 2009 || {{국기그림|브라질}} Cascavel || Campeonato Paranaense ||
 
|-
 
|-
| 2010 ~ 2012 || {{틀:팀/SK}} || [[K리그]] ||
+
| 2010 ~ 2012 || {{팀/SK}} || [[K리그]] ||
 
|-
 
|-
| 2013.02 ~ 07 || {{국기그림|중국}} 우한 줘얼 || [[중국 슈퍼리그]] ||
+
| 2013.02 ~ 2013.07 || {{국기그림|중국}} 우한 줘얼 || [[중국 슈퍼리그]] ||
 
|-
 
|-
| 2013.07 ~ || {{틀:팀/수원}} || [[K리그 클래식]] ||
+
| 2013.07 ~ 현재 || {{팀/수원}} || [[K리그 클래식]] ||
 
|}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10번의 저주]] (산토스는 가장 확실하게 이 저주를 벗어난 선수다)
  
  
118번째 줄: 122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분류:1985년생]][[분류:브라질 국적의 선수]][[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선수]]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선수단}}{{K리그 득점왕}}
 +
 
 +
[[분류:1985년생]][[분류:브라질 국적의 선수]][[분류:SK 유나이티드의 선수]][[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선수]]

2016년 4월 22일 (금) 03:26 판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산토스

산투스(Santos, 1985년 12월 25일 ~ )는 브라질 국적의 축구선수로, 2010년부터 K리그에서 활약 중인 공격형 미드필더이다.

같은 이름을 가진 다른 사람에 대해서는 산토스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프로필

  • 이름 : 나타나에우 지 소자 산투스 주니오르 (Natanael De Souza Santos Junior)
  • 국적 : 브라질 브라질
  • 출생일 : 1985년 12월 25일
  • 신체 : 165cm / 64kg
  • 수상 경력
2014년 K리그 득점상 수상
2014년 K리그 시즌 베스트 11 FW 부문 선정
  • K리그 기록
연도 소속팀 리그 출장 교체 득점 도움 경고 퇴장
2010 Teamlogo sk.png SK 유나이티드 K리그 28 18 14 5 0 0
2011 29 6 14 4 2 0
2012 35 12 14 11 0 0
2013 Teamlogo sbfc.png 수원 삼성 블루윙즈 클래식 19 7 8 1 1 0
2014 35 27 14 7 2 0
2015 29 23 12 1 0 0
2016 0 0 0 0 0 0
통산 K리그 클래식 175 93 76 29 5 0
K리그 통산 기록은 리그컵 기록 포함. 2016년 3월 1일 기준
연맹 공식 DB


선수 생활

K리그 입단 이전

브라질 클루비 지 헤가타스 브라지우에서 데뷔 후, 파라나 주리그 소속의 론드리나, 카스카베우를 거쳐 알라고아누 주리그 소속의 산타 히타에서 한 시즌 활약하고 카스카베우로 복귀하였다. 산토스는 주로 주리그 군소 팀에서만 활동하였으며 브라질 전국 리그 출장 기록도 없는 등 K리그 입단 이전까지는 무명에 가까운 선수였다.


SK 시절

2010년, 산토스는 SK 유나이티드에 저렴한 이적료로 입단하였다. 큰 기대를 받지 못하며 초반 주전 명단에서 제외되기도 했으나 2010년 4월 4일 성남 일화와 경기에서 리그 데뷔전을 치렀고, 이후 가끔 출전하는 것에 그치다가 2010년 5월 8일 포항 스틸러스와 경기에서 1골 1도움을 올리며 주전으로 도약했다. 주전급으로 올라선 산토스는 점차 위협적인 모습을 보이며 이적 첫 시즌에 14골과 5개의 도움을 기록하며 SK의 리그 준우승이라는 이변 속의 주인공으로 이름을 알렸다. 이듬해 2011년 박경훈 감독은 2010년 맹활약한 산토스를 위한 전술을 펼쳤고, 산토스는 이에 부응하며 핵심으로 활약하며 14골과 4도움을 올렸다. 농익은 플레이를 보인 2012년에는 35경기에 출전해 14골을 득점함과 동시에 플레이 메이커로 역할까지 소화하며 11개의 도움을 기록하는 놀라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산토스는 SK 유나이티드 소속으로 자일, 페드로 등 시즌마다 거쳐온 공격수와 모두 좋은 호흡을 보여주며 팀 에이스로 활약, 무명 선수에서 수준급 선수로 성장하였다.


중국행과 K리그 무대 복귀

K리그에서 성공적인 세 시즌을 보낸 뒤, 2013년 중국 슈퍼리그로 승격한 우한 줘얼로 이적하였다. 우한 줘얼로 이적 후 아시아 무대에서 적응력을 맹활약을 바탕으로 핵심 선수로 활약할 것으로 전망되기도 했으나, 감독과의 전술 부조화로 리그 적응에 애를 먹게 되었고, 165cm의 신장으로 원톱 역할까지 하게 되면서 14경기 출전해 득점을 올리지 못하는 최악의 모습으로 입단 반년만인 7월에 상호 해지로 중국 생활을 마무리하였다.


수원에서의 활약

짧은 중국 생활을 마무리한 산토스는 K리그 복귀를 타진하였고, 성남 일화수원 삼성 블루윙즈 등의 팀들과 연결되며 복귀를 기정사실로 했다. 산토스는 기존 외국인 공격수인 스테보핑팡, 라돈치치를 모두 정리한 수원의 적극적인 구애를 받게되었고, 2013년 7월 25일 수원에 정식 입단하였다. 과거 SK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준 것에 비해 중국에서 슬럼프를 겪은 선수로 우려의 시선이 있었으나 빠르게 팀에 녹아들어 8월 11일 경남 FC와 경기에서 데뷔골을 시작으로 팀이 공격이 안 풀릴 때마다 득점을 성공시켰고 반 시즌만 활약했음에도 8골 1도움을 기록하는 활약을 보여주며 건재함을 과시, 새로운 수원의 희망으로 존재감을 알렸다. 이듬해인 2014년 산토스는 등번호 10번을 배정받으며 수원의 에이스로 인정받았고, 시즌 초반 정대세의 부진으로 답답하던 수원 공격진영을 혼자서 이끄는 능력과 여름부터 로저의 적응을 도와 서로 시너지를 일으키며 시즌 내내 꾸준한 활약을 통해 수원의 K리그 클래식 준우승에 공헌하였다. 2014년 맹활약한 산토스는 14골을 기록하며 2014년 K리그 득점왕에 이름을 올렸고, 동시에 K리그 시즌 베스트 11에 선정되는 영광을 누리기도 했다.

2015년 산토스는 염기훈과 함께 수원 공격의 핵심으로 활약할 것으로 전망되기도 했으나 정대세, 카이오와 호흡이 좋지 못했고, 부상과 컨디션 난조가 겹쳐 기복 있는 플레이를 보이며 지난 시즌보다는 못하다는 평을 듣기도 했다. 그러나 여름부터 컨디션을 회복하며 2015년 6월 17일 SK 유나이티드, 6월 21일 전북 현대 모터스와 경기에서 두 경기 연속 멀티 골을 폭발시켰고, 경기력을 되찾아 7월 이후 카이오의 연이은 부진과 일리안의 부적응으로 무주공산이 된 수원 공격을 염기훈, 권창훈과 함께 이끌며 자신의 몫 이상을 하는 활약을 이어갔다. 리그 마지막 경기 광주 FC와 경기에서는 해트트릭을 성공하기도 했고, 스플릿 라운드까지 꾸준히 출전하여 2년 연속 팀 내 최다 득점자에 이름을 올려 수원의 리그 준우승에 이바지하며 활약을 인정받아 재계약 체결하며 수원에 잔류하게 되었다. 이듬해 2016년 산토스는 부쩍 개인플레이가 늘어나고 팀플레이에 겉도는 모습을 보이며 득점을 올렸음에도 비판받는 상황에 놓이면서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나 2016년 4월 19일 AFC 챔피언스리그 조별예선 감바 오사카와 경기에서 경기력을 회복해 팀 공격을 이끌었고, 멀티 골까지 성공시키며 부진하던 수원을 구하였다.


플레이 스타일

공격형 미드필더와 쉐도우 스트라이커에 특화된 선수로, 영리한 플레이를 선보이며 단신임에도 위치선정과 타이밍을 잘 맞춰 헤딩슛에도 능한 면을 보이며 슈팅 감각과 골 결정력도 상당한 편이다. 그러나 체격적인 불리함으로 강한 압박에 취약점을 보이며 자주 고립되기도 하고, 동료 원톱 공격수의 역할에 의존하는 경향과 산토스 중심으로 맞춰진 전술에서만 활약이 좋은 편이라 유연한 전술 운용을 어렵게 만드는 단점이 있다.


에피소드

  • 무릎 양쪽 전방 십자인대가 모두 없다고 한다. 산토스 본인은 K리그 진출 후 이러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고 하며 신체적 불리함에도 맹활약을 펼칠 수 있었던 이유는 성실하게 훈련을 하며 무릎 주변 근육이 십자인대를 보완할 만큼 더 발달시켰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 넉살 좋고 친화력이 좋아 국내 선수단과 잘 어울리는 모습을 보여주며, 팀에 입단한 브라질 국적 선수들과도 잘 지내며 한국 생활을 도와주는 역할을 맡고 있다.[1]
  • 우한 줘얼 시절 산토스의 후임 외국인 공격수는 경남 FC부산 아이파크에서 활약 중인 스토야노비치다. 이 밖에도 당시 팀 동료로 조원희도 있었으며, 조원희가 2016년 수원으로 6년 만에 복귀하게 되면서 다시 재회하였다.
  • 평소 성실한 모습을 보이며 팀 훈련에 지각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기도 했으나, 2014년 FIFA 브라질 월드컵 브라질과 독일과의 4강전을 새벽 늦게까지 시청하고 늦잠이 들었고, 결국 팀 훈련에 지각하게 되었다고 한다. 당시 부상 중인 염기훈을 대신해 임시 주장을 맡고 있었던 김은선은 산토스의 평소 성실했던 점과 브라질이 1-7로 충격패한 것에 대한 수원 선수들의 동정여론으로 지각 벌금을 매기지 않고 대신 반드시 울산 현대와 경기에서 득점하는 조건으로 완화(?)해주게 되었다고 한다. 산토스는 약속했던 경기에서 선취 득점을 성공시키며 김은선과의 약속을 지키며 늦잠 세레머니까지 하며 늦잠 지각을 만회하며 약속을 지키게 되었다.[2]
  • 유독 인천 유나이티드에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SK 유나이티드에서 중국으로 떠나기 전까지 인천을 상대로 3골 2도움을 기록했었고, 수원 입단 후 2013년 8월 28일에 펼쳐진 인천과의 맞대결에서도 득점에 성공하였다. 그 뒤로 7경기 연속 골을 성공시키기며 '인천 킬러'로 불리기도 했다. 연속 골 기록은 2015년 5월 31일 수원과 인천의 맞대결에서 득점에 성공하지 못하며 득점 행진을 마쳤으나 이후 경기에서 다시 득점에 성공하며 인천을 상대로 맹활약을 이어갔다.[3]
  • 유난히 숫자 14와 관련이 많은 선수이다. SK 시절 3시즌 연속 14득점을 기록하더니 우한 줘얼에선 14경기 출전에 그치며 중국 생활을 마무리 했고, 2014년에 수원에서 14골을 득점하여 득점왕에 오르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2015년에도 14득점 징크스를 이어가는지가 화재가 되기도 했는데, 초반에는 부진한 활약에 불가능할 것 같더니 스플릿 라운드 진입 후 12득점을 기록하면서 또 14득점을 달성하는 가했으나, 결국 12득점에서 득점 행진을 멈추게 되며 14 징크스에서 탈출(?)하였다.


경력

시즌 소속팀 리그 비고
2006 ~ 2007 브라질 Clube de Regatas Brasil Série B
2008 브라질 Londrina Campeonato Paranaense
2008 브라질 Cascavel Campeonato Paranaense
2009 브라질 Santa Rita Campeonato Alagoano - 2ª Divisão
2009 브라질 Cascavel Campeonato Paranaense
2010 ~ 2012 Teamlogo sk.png SK 유나이티드 K리그
2013.02 ~ 2013.07 중국 우한 줘얼 중국 슈퍼리그
2013.07 ~ 현재 Teamlogo sbfc.png 수원 삼성 블루윙즈 K리그 클래식


같이 보기


참고

  1. 이러한 모습은 로저의 적응을 도운 것에서 잘 나타난다. 로저는 2014년 수원 입단 후, 많은 슈팅을 날렸음에도 전반기 동안 무득점에 그치며 슬럼프에 빠졌고, 산토스는 이런 로저의 자신감을 올려주기 위해 2014년 7월 9일 울산 현대와 경기에서 자신이 얻은 페널티킥을 로저에게 양보하며 시즌 첫 골을 넣을 수 있게 배려해 주었다. 그 후 산토스와 연계 플레이에 눈을 뜨고 전체적인 플레이 질이 좋아져 전반기 무득점에 그쳐 실패한 외국인 공격수로 될 뻔한 로저는 후반기 주전 스트라이커로 발돋움했다.
  2. 산토스, 늦잠꾸러기 세리머니는 김은선 배려 덕분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