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풋케위키, 대한민국 대표 축구위키 FootballK WIKI-
Gunmania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4월 22일 (수) 17:37 판 (Rollback from spam or vandalism.)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大韓民國 蹴球 國家代表Team 監督)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통솔하는 감독을 말한다.

본 문서는 역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개괄하여 조명한다.


역사[편집]

최초의 국대 감독 및 대행체제[편집]

광복 이후 조선축구협회가 재건되면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도 탄생을 목전에 두고 있었다. 1947년 9월, 조선축구협회는 대표 선수 선발을 전담하는 '선수선발위원회'를 발족하고, 해당 위원으로 신기준, 박정휘, 김화집 3인을 추대하였으며 이듬해인 1948년 봄 1948년 런던 올림픽 출전을 앞두고 조선 축구 국가대표팀 선발전을 치른 뒤 16명의 선수를 최종적으로 선발, 이들을 이끌 감독으로 박정휘 씨를 낙점하면서 대한민국 초대 감독의 자리는 박씨에게 돌아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수 선발과 감독 선임 과정에서 대학축구선수 집단월북사건 등 각종 설화가 터지면서 박정휘 씨의 감독 재임은 1개월도 안되어[1] 마무리되고 말았다. 이후 축구협회는 부랴부랴 이영민 씨를 감독 대행으로 세워 런던 올림픽에 참가한다.


겸임 감독의 등장[편집]

이처럼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직은 초창기부터 축구협회의 입김과 각종 외부 설화에 좌지우지되며 대회 때마다 지도력을 발휘할 여건을 만들어주지 못하는등 고질적인 문제점을 오랜 기간 안고 있었다. 특히 1980년대 초까지 아시안컵, FIFA 월드컵 뿐만 아니라 아시안게임, 올림픽 국가대표팀까지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 전담했는데,[2] 한국프로축구의 출범과 IOCFIFA의 올림픽 축구 연령 제한으로 인해 1984년 올림픽 축구 이후 올림픽 국가대표팀 감독은 성인 국가대표팀 감독과 별도로 임명되어 떨어져나갔고, 1992년 이전까지 평상시에는 본인의 팀에서 활동하다가 국가대표팀 경기가 있을때 소집되는 겸임 제도였으나 1992년 김호 감독이 최초의 전임 국가대표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겸임 감독 제도는 차츰 모습을 감추게 되었다.


역대 감독 및 수석코치[편집]

감독 수석코치 경기수 승률 (%) 취임 사임 업적
홍명보 김태영 2013년 6월 24일
최강희 최덕주 12 6 2 4 50 2011년 12월 21일 2013년 6월 19일
조광래 박태하 21 12 6 3 57.1 2010년 7월 21일 2011년 12월 8일
허정무 정해성 33 21 15 7 48.8 2007년 12월 7일 2010년 7월 2일
핌 베어벡 홍명보 17 6 6 5 35.3 2006년 7월 1일 2007년 7월 25일
딕 아드보카트 핌 베어벡 20 10 5 5 50.0 2005년 10월 1일 2006년 6월 30일
요하네스 본프레레 허정무 25 11 8 6 44.0 2004년 6월 24일 2005년 8월 23일
박성화 (대행) 4 2 1 1 50.0 2004년 4월 20일 2004년 6월 15일
움베르투 코엘류 박성화 18 8 3 7 44.4 2003년 2월 3일 2004년 4월 19일
김호곤 (대행) 1 0 0 1 0 2002년 11월 18일 2002년 11월 20일
거스 히딩크 박항서 38 16 11 11 42.1 2001년 1월 1일 2002년 6월 30일
박항서 (대행)[3] 1 0 1 0 0 2000년 12월 20일 2000년 12월 20일
허정무 정해성 34 18 5 11 42.9 1998년 10월 14일 2000년 11월 13일
김평석 (대행) 1 0 1 0 0 1998년 6월 22일 1998년 6월 25일
차범근 김평석 41 22 8 11 53.7 1997년 1월 8일 1998년 6월 21일
박종환 최만희
(96년 7월 8일 ~ 97년 1월 7일)
16 8 3 5 50.0 1996년 2월 15일 1997년 1월 7일
정해성 (트레이너)
(96년 2월 15일 ~ 96년 6월)
고재욱 박경훈 1 0 0 1 0 1995년 10월 20일 1995년 10월 30일
정병탁 조윤환 0 0 0 0 - 1995년 9월 16일 1995년 9월 30일
허정무 이장수 1 0 1 0 0 1995년 8월 1일 1995년 8월 12일
박종환 최만희 2 1 1 0 50.0 1995년 4월 26일 1995년 7월 31일
러시아 아나톨리 비쇼베츠 김성남 16 8 4 4 50.0 1994년 7월 24일 1995년 2월 26일
김호 허정무
(93년 12월 6일 ~ 94년 7월 23일)
37 14 15 8 37.8 1992년 7월 8일 1994년 7월 23일
유기흥
(92년 12월 29일 ~ 93년 11월 24일)
조광래
(92년 7월 8일 ~ 92년 11월 9일)
최길수 김성남 2 1 0 1 50.0 1992년 5월 11일 1992년 6월 23일
고재욱 허정무 6 3 0 3 50.0 1991년 5월 22일 1991년 7월 27일
박종환 김희태 10 8 2 0 80.0 1990년 8월 9일 1991년 10월 23일
이차만 김희태 4 3 0 1 75.0 1990년 7월 3일 1990년 8월 8일
이회택 이차만 30 19 5 6 63.3 1988년 10월 6일 1990년 7월 2일
김정남 김호곤 2 2 0 0 100.0 1988년 7월 6일 1988년 10월 5일
박종환 원흥재 9 4 1 4 44.4 1986년 11월 20일 1988년 7월 5일
김정남 김호곤 26 15 7 4 57.7 1985년 3월 19일 1986년 11월 19일
문정식 김정남
(84년 12월 17일 ~ 85년 3월 18일)
10 4 3 3 40.0 1984년 7월 3일 1985년 3월 18일
공석
(84년 7월 3일 ~ 84년 12월 16일)
박종환 이이우 2 1 1 0 50.0 1983년 8월 23일 1984년 7월 2일
조윤옥 이세연 6 4 0 2 66.7 1983년 1월 29일 1983년 8월 22일
최은택 김정남 3 1 2 0 33.3 1982년 6월 21일 1983년 1월 28일
김정남 (대행) 김호곤 (트레이너) 35 23 4 8 67.6 1980년 5월 4일 1982년 6월 18일
장경환 최은택 8 7 1 0 87.5 1979년 3월 29일 1980년 5월 3일
함흥철 김정남 21 18 1 2 85.7 1978년 3월 2일 1979년 3월 28일
김정남 (대행) 5 2 0 3 40.0 1977년 9월 17일 1977년 12월 18일
최정민 김정남 21 14 1 6 66.7 1977년 1월 1일 1977년 9월 16일
문정식 박경화 14 8 2 4 57.1 1976년 5월 14일 1976년 12월 31일
함흥철 김정남 29 22 5 2 81.5 1974년 11월 17일 1976년 5월 13일
최영근 최은택 9 3 5 1 33.3 1974년 1월 1974년 11월 17일
민병대 문정식 17 10 2 5 58.8 1972년 12월 21일 1973년 11월 20일
함흥철 박경화 19 11 3 5 57.9 1972년 6월 16일 1972년 12월 20일
박병석 박경화
(72년 4월 6일 ~ 72년 6월 15일)
5 1 2 2 20.0 1971년 12월 7일 1972년 6월 15일
박상훈
(71년 12월 5일 ~ 72년 4월 5일)
홍덕영 4 1 0 3 25.0 1971년 11월
한홍기 잉글랜드 그레이엄 아담스
(71년 3월 ~ 71년 10월 6일)
27 17 2 8 63.0 1970년 2월 13일 1971년 10월 6일
우상권
(70년 2월 13일 ~ 70년 10월?)
강준영 5 4 0 1 80.0 1969년 11월 1969년 12월
김용식 강준영 4 1 1 2 25.0 1969년 1월 1969년 10월
박일갑 6 4 2 0 66.7 1968년 8월 1968년 12월
장경환 박일갑 15 10 3 2 66.7 1967년 7월 1967년 11월
민병대 [4] 한창화 8 5 3 0 62.5 1966년 7월 1966년 12월
홍건표 [5] 정남식 6 3 1 2 50.0 1965년 8월
정국진 김규환 0 0 0 0 0 1964년 9월
민병대 [6] 김규환 ' 1962년 3월
이종갑 [7] 김규환 ' 1961년 10월
이유형 [8] 김용식 ' 1961년 3월
위혜덕 [9] 김용식 ' 1960년 10월
김용식 민병대 ' 1960년 3월
정국진 정남식 ' 1959년 7월
김근찬 민병대 ' 1958년 4월
이유형 김성간 ' 1956년 8월
박정휘 주영광 ' 1955년 12월
김용식 2 0 0 2 0.0 1954년 6월 1954년 스위스 월드컵 본선 지휘
이유형 배종호 2 1 1 0 50.0 1954년 3월 1954년 스위스 월드컵 아시아예선 통과
김화집 이용일 ' 1952년 4월 1954년 2월
박정휘 이유형 ' 1948년 12월 1950년 4월
이영민 (대행) 2 1 0 1 50.0 1948년 6월 1948년 런던 올림픽 8강
박정휘 ' 1948년 5월 초대 감독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1. 런던 올림픽에 참가할 선수단이 발표된 것이 48년 6월초의 일이고, 박정휘 감독이 대표팀 감독직을 고사한 것이 6월말의 일이었다.
  2.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대표 B팀이 존재하기도 했다.
  3. 거스 히딩크 감독이 내정된 상태로 2001년 1월 1일 공식 취임을 앞두고 한일전 감독대행직 수행
  4. 실제 감독 역할은 한창화
  5. 실제 감독 역할은 정남식
  6. 실제 감독 역할은 김규환
  7. 실제 감독 역할은 김규환
  8. 실제 감독 역할은 김용식
  9. 실제 감독 역할은 김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