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아이파크
부산 아이파크 | |
---|---|
기본정보 | |
정식명칭 | 부산 아이파크 |
원어명 | 로마 : Busan IPark Football Club |
별명 | 방패군단 |
이전이름 | 1979년 ~ 1980년 (새한자동차 축구단) 1980년 ~ 1982년 ( 대우 축구단) 1983년 ~ 1995년 (대우 로얄즈) 1996년 ~ 1999년 (부산 대우 로얄즈) 2000년 ~ 2004년 (부산 아이콘스) |
클럽색 | 빨강, 흰 |
창단년도 | 1979년 11월 22일 (새한자동차 축구단) |
홈경기장 | 구덕운동장 |
연고지 | 부산광역시 |
운영 | |
운영법인 | (주)HDC그룹 |
구단주 | 정몽규 |
감독 | 조성환1 |
소속리그 | K리그2 |
홈페이지 | 공식 홈페이지 |
현재시즌 | |
부산 아이파크 2025 |
부산 아이파크는 부산광역시를 연고로 K리그2에 참가하고 있는 프로 축구 클럽이다.
산하 유스팀으로 준프로인 K4리그에 참가했던 부산 아이파크 퓨처스가 있었다.
역사[편집]
이 글의 본문은 부산 아이파크의 역사 입니다.
선수단[편집]
스탭진[편집]
코칭스태프 | |
---|---|
직책 | 이름 |
감독 | 박진섭1 |
코치 | 유경렬 |
골키퍼코치 | 최현 |
피지컬코치 | 최준혁2 |
선수단[편집]
|
|
군 복무 및 임대선수 현황[편집]
포지션 | 이름 | 사유 | 소속팀 | 만료일 |
---|---|---|---|---|
MF | 한준규 | 사회복무 | 틀:팀 진주시민 | 2023년 11월 소집해제 |
DF | 이상준 | 사회복무 | 틀:팀 진주시민 | 2024년 3월 소집해제 |
2020년 시즌 이적 상황[편집]
시즌 전 이적 상황[편집]
|
|
시즌 중 이적 상황[편집]
|
|
기록[1][편집]
각 시즌 결과[편집]
시즌 | 리그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승점 | 리그컵 | FA컵 | 아챔 |
---|---|---|---|---|---|---|---|---|---|---|---|---|
1983 | K리그 | 준우승 | 16 | 6 | 7 | 3 | 21 | 14 | 19 | 컵대회 미개최 | 미개최 | |
1984 | K리그 | 우승 | 28 | 17 | 6 | 5 | 47 | 23 | 59 | |||
1985 | K리그 | 3 | 21 | 9 | 7 | 5 | 22 | 16 | 25 | |||
1986 | K리그 | 3 | 20 | 10 | 2 | 8 | 26 | 24 | 22 | 준우승 | 우승 | |
1987 | K리그 | 우승 | 32 | 16 | 14 | 2 | 41 | 20 | 46 | 컵대회 미개최 | ||
1988 | K리그 | 5 | 24 | 8 | 5 | 11 | 28 | 30 | 21 | |||
1989 | K리그 | 3 | 40 | 14 | 14 | 12 | 44 | 44 | 21 | |||
1990 | K리그 | 준우승 | 30 | 12 | 11 | 7 | 30 | 25 | 35 | |||
1991 | K리그 | 우승 | 40 | 17 | 18 | 5 | 49 | 32 | 52 | |||
1992 | K리그 | 5 | 30 | 7 | 14 | 9 | 26 | 33 | 28 | 6위 | ||
1993 | K리그 | 6 | 30 | 10 | 0 | 20 | 22 | 32 | 40 | 3위 | ||
1994 | K리그 | 6 | 30 | 7 | 6 | 17 | 37 | 56 | 27 | 3위 | ||
1995 | K리그 | 5 | 28 | 9 | 5 | 14 | 30 | 40 | 32 | 3위 | ||
1996 | K리그 | 6 | 32 | 9 | 9 | 14 | 45 | 51 | 36 | 3위 | 8강 | |
1997 | K리그 | 우승 | 18 | 11 | 4 | 3 | 24 | 9 | 37 | 우승(아디다스) 우승(프로스펙스) |
1 라운드 | |
1998 | K리그 | 5 | 18 | 10 | 0 | 8 | 27 | 22 | 25 | 조별예선(아디다스) 우승(필립모리스) |
8강 | |
1999 | K리그 | 준우승 | 32 | 17 | 0 | 15 | 42 | 40 | 46 | 1라운드(아디다스) 준우승(대한화재) |
2 라운드 | |
2000 | K리그 | 6 | 27 | 11 | 0 | 16 | 42 | 42 | 29 | 4위(아디다스) 조별예선(대한화재) |
4강 | |
2001 | K리그 | 4 | 27 | 10 | 11 | 6 | 38 | 33 | 41 | 준우승 | 8강 | |
2002 | K리그 | 9 | 27 | 6 | 8 | 13 | 36 | 45 | 26 | 조별 예선 | 8강 | |
2003 | K리그 | 9 | 44 | 13 | 10 | 21 | 41 | 71 | 49 | - | 1 라운드 | |
2004 | K리그 | 7 | 24 | 6 | 12 | 6 | 21 | 19 | 30 | 13위 | 우승 | |
2005 | K리그 | 4 | 25 | 7 | 7 | 11 | 28 | 33 | 28 | 13위 | 1 라운드 | 4강 |
2006 | K리그 | 8 | 26 | 9 | 7 | 10 | 40 | 42 | 34 | 10위 | 16강 | |
2007 | K리그 | 13 | 26 | 4 | 8 | 13 | 20 | 39 | 20 | 조별 예선 | 8강 | |
2008 | K리그 | 12 | 26 | 5 | 7 | 14 | 30 | 39 | 22 | 8강 | 16강 | |
2009 | K리그 | 12 | 28 | 7 | 8 | 13 | 36 | 42 | 29 | 준우승 | 16강 | |
2010 | K리그 | 8 | 28 | 8 | 9 | 11 | 36 | 37 | 33 | 16강 | 준우승 | |
2011 | K리그 | 5 | 30 | 13 | 7 | 10 | 49 | 43 | 46 | 준우승 | 8강 | |
2012 | K리그 | 7 | 44 | 13 | 14 | 17 | 40 | 51 | 53 | 미개최 | 32강 | |
2013 | K리그 클래식 | 6 | 38 | 14 | 10 | 14 | 43 | 41 | 52 | 미개최 | 4강 | |
2014 | K리그 클래식 | 8 | 38 | 10 | 13 | 15 | 37 | 49 | 43 | 미개최 | 8강 | |
2015 | K리그 클래식 | 11 | 38 | 5 | 11 | 22 | 30 | 55 | 26 | 미개최 | 32강 | |
2016 | K리그 챌린지 | 5 | 41 | 19 | 7 | 15 | 52 | 40 | 64 | 미개최 | 16강 | |
2017 | K리그 챌린지 | 준우승 | 37 | 20 | 11 | 6 | 55 | 30 | 68 | 미개최 | 준우승 | |
2018 | K리그2 | 3 | 37 | 15 | 14 | 8 | 56 | 35 | 56 | 미개최 | 16강 | |
2019 | K리그2 | 준우승 | 37 | 19 | 13 | 5 | 73 | 47 | 67 | 미개최 | 3라운드 | |
2020 | K리그1 | 12 | 27 | 5 | 10 | 12 | 25 | 38 | 25 | 미개최 | 8강 | |
2021 | K리그2 | 5 | 36 | 12 | 9 | 15 | 46 | 56 | 45 | 미개최 | 3라운드 | |
2022 | K리그2 | 10 | 40 | 9 | 9 | 22 | 34 | 52 | 36 | 미개최 | 3라운드 | |
2023 | K리그2 | 준우승 | 36 | 20 | 10 | 6 | 50 | 29 | 70 | 미개최 | 3라운드 |
이 글의 본문은 부산 아이파크 역대 시즌 기록입니다. (각 시즌별 소속 선수와 성적, 이적 시장 동황 수록)
부산 아이파크 클럽부문 주요기록[편집]
대회 주요 기록[편집]
대회명 | 순위 | 연도 |
---|---|---|
국내대회 | ||
K리그 | 우승 | 1984, 1987, 1991, 1997 |
준우승 | 1983, 1990, 1999 | |
K리그컵 | 우승 | 1997, 1997 (아디다스컵, 프로스펙스컵 동시석권), 1998 |
준우승 | 1986, 1999, 2001, 2009, 2011 | |
FA컵 | 우승 | 2004 |
준우승 | 2010, 2017 | |
전국축구선수권대회 | 우승 | 1989, 1990 |
준우승 | 1988 | |
대한민국 슈퍼컵 | 준우승 | 2005 |
전국실업축구연맹전 | 우승 | 1981 전기리그 |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 준우승 | 1981 |
국제대회 | ||
AFC 챔피언스 리그 | 우승 | 1986 |
준우승 | ||
아프로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 우승 | 1986 |
팀 주요 기록[편집]
기록부문 | 이름 & 일자 | 상대팀 및 장소 |
---|---|---|
프로리그 1호골 | 이춘석 (1983.5.8) |
포항제철 축구단 (동대문운동장) |
프로 1000호골 | 뽀뽀 (2006.10.29) |
FC GS (부산아시아드경기장) |
프로리그 첫승 | 1983년 5월 14일 | 對 국민은행 까치 (구덕운동장) |
프로 최다 득점승 | 2005년 3월 9일 8:0 | 對 빈딘 (부산아시아드경기장) |
최다 실점패 | ||
무패행진 | K리그 무패행진 기록만 고려 | |
최다관중 | ||
최고순위 | 1위 | 1984, 1987, 1991, 1997 |
최저순위 | K리그2 10위 |
부산 아이파크 개인부문 주요 기록[편집]
개인 수상[편집]
기록부문 | 이름 | 내용 |
---|---|---|
K리그 MVP | 박창선 (1984), 정해원 (1987), 정용환 (1991), 김주성 (1997), 안정환 (1999) |
|
K리그 득점왕 | 정해원 (1986) |
|
K리그 도움왕 | 아미르 (1995), 우르모브 (2001) |
|
K리그 시즌 베스트 일레븐 | 김주성 (1987, 1991, 1996, 1997, 1999), 정용환 (1984, 1987, 1991), 장외룡 (1983, 1985), 이태호 (1984, 1990), 정해원 (1986, 1987), 김풍주 (1987, 1991), 안정환 (1998, 1999), 조광래 (1983), 이춘석 (1983), 박노봉 (1986), 최태진 (1988), 손형선 (1988), 조덕제 (1989), 이재희 (1990), 박현용 (1991), 김판근 (1993), 아미르 (1995), 하석주 (1996), 신범철 (1997), 정재권 (1997), 마니치 (1997), 송종국 (2001), 우성용 (2001), 뽀뽀 (2006), 김창수 (2012), 임상협 (2014) |
|
K리그 특별상 | [[ ]] | |
K리그 감독상 | 장운수 (1984), 이차만 (1987, 1997), 베르탈란 (1991) |
|
FA컵 감독상 | 이안 포터필드 (2004) |
|
K리그컵 득점왕 | 마니치 (1997), 안정환 (1999) |
|
K리그컵 도움왕 | 루벤 (1993), 마니치 (2001) |
개인 기록[편집]
기록부문 | 이름 | 상대팀, 일자 및 장소 |
---|---|---|
1경기 최다 득점 | ||
연속골 | ||
통산 팀내 최다 득점자 | ||
통산 팀내 최다 도움 | ||
통산 팀내 최다 출장 | 경기 ( ~ ) |
역대 부산 아이파크의 선수[편집]
이 글의 본문은 분류:부산 아이파크의 선수 입니다.
역대 유명 선수[편집]
이름 | 부산 소속 연도 | 통산 기록 (부산에서 뛴 기록만) |
수상 경력 |
---|---|---|---|
1980년대 | |||
장외룡 | 1982 ~ 1987 | 77경기 2도움 | |
이태호 | 1983 ~ 1992 | 181경기 57골 27도움 | |
김풍주 | 1983 ~ 1996 | 181경기 159실점 | |
변병주 | 1983 ~ 1989 | 99경기 22골 15도움 | |
정해원 | 1983 ~ 1991 | 154경기 34골 11도움 | |
조광래 | 1983 ~ 1987 | 46경기 3골 4도움 | |
이춘석 | 1983 ~ 1987 | 48경기 11골 3도움 | |
박창선 | 1984 ~ 1986 | 55경기 6골 10도움 | 1984년 K리그 시즌 MVP |
정용환 | 1984 ~ 1994 | 168경기 9골 4도움 |
1984년 K리그 감투상 |
박양하 | 1986 ~ 1990 | 49경기 2골 9도움 | |
김판근 | 1987 ~ 1993 | 167경기 11골 14도움 | |
김주성 | 1987 ~ 1992 1994-1999 |
255경기 35골 17도움 | 1987년 K리그 신인왕 1987, 1991, 1997 K리그 시즌 베스트 11 수상 |
조덕제 | 1988 ~ 1995 | 213경기 10골 11도움 | |
1990년대 | |||
하석주 | 1990 ~ 1997 | 187경기 42골 20도움 | |
김종부 | 1990 ~ 1992, 1995 | 40경기 5골 1도움 | |
류웅렬 | 1993 ~ 2000 | 117경기 11골 | |
신범철 | 1993 ~ 2000 | 123경기 147실점 | |
정재권 | 1994 ~ 1999 | 147경기 28골 22도움 | |
우성용 | 1996 ~ 2002 | 217경기 54골 17도움 | |
이민성 | 1996 ~ 1998, 2001 ~ 2002 | 95경기 6골 1도움 | |
이장관 | 1997 ~ 2007 | 348경기 4골 9도움 | |
이정효 | 1997 ~ 2008 | 222경기 13골 9도움 | |
안정환 | 1998 ~ 2000, 2008 | 114경기 50골 14도움 | |
마니치 | 1996~ 1997, 1999 ~ 2002 | 172경기 53골 34도움 | |
샤샤 | 1995 ~ 1997 | 79경기 22골 10도움 | |
뚜레 | 1996 ~ 2001 | 113경기 11골 12도움 | |
2000년대 | |||
이승현 | 2006 ~ 2010 | 125경기 16골 6도움 | |
송종국 | 2001 ~ 2002 | 45경기 4골 1도움 | |
김용대 | 2002 ~ 2005 | 103경기 137실점 | 2004년 FA컵 MVP |
노정윤 | 2003 ~ 2004 | 57경기 6골 11도움 | |
뽀뽀 | 2005 ~ 2006 | 66경기 24골 14도움 | |
2010년대 | |||
정성훈 | 2008 ~ 2010 | 78경기 27골 9도움 | |
김창수 | 2008 ~ 2012 | 152경기 7골 12도움 | |
이범영 | 2008 ~ 2015 | 74경기 102실점 | |
2020년대 | |||
박종우 | 2010 ~ 2013,2019 ~2023 | 85경기 6득점 13도움 |
역대 감독[편집]
기타 제반 사항[편집]
역대 엠블럼[편집]
1983 ~ 2000
대우 로얄즈 엠블럼2000 ~ 2002
부산 아이콘스 엠블럼- 부산 아이파크.jpg
2008 ~ 2011
부산 아이파크 엠블럼 - 부산아이파크2016.jpg
2016 ~ 현재
부산 아이파크 엠블럼
시설[편집]
홈구장[편집]
대우 로얄즈가 슈퍼리그 참가 후 첫 개막전을 치룬 경기장은 구덕 종합운동장이었다. 이후 연고권이 확립되지 않은 시기에도 홈경기의 6~70% 이상은 구덕운동장에서 치루어졌으며, 그외에 마산 창원 종합운동장 등에서 경기가 벌어진 기록이 남아있다. 2001 시즌을 끝으로 부산의 홈구장은 2002년 부산 아시아드 경기장 개장과, 구덕운동장의 노후화등을 이유로, 부산 아시아드 경기장으로 변경되었으며,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2008년부터는 국내최초로 E석과 N석 쪽에 8천석 규모의 가변석을 설치함으로써 홈구장의 치명적 결점이었던 시야 문제를 어느정도 해결했다.
클럽하우스[편집]
2003년 2월부터, 강서체육공원에 2면의 축구연습구장을 갖춘, 부산 아이파크 클럽 하우스를 보유하고 있다. 클럽하우스에서는 미혼인 선수들이 생활을 하며, 풋살 경기와 자체 연습경기 부산 유스 경기 등이 연습구장에서 벌어진다.
유소년 시스템[편집]
순서 | 재임 기간 | 성명 | 승/무/패 | 특이 사항 |
---|---|---|---|---|
초대 | 1979년 ~ 1980년 | 이종환 | ||
1대 | 1981 ~ 1983년 | 장운수 | 6승 7무 3패 | |
2대 | 1984년 | 조윤옥 | - | 시즌 도중 경질 |
3대 | 1984년 ~ 1986년 | 장운수 | 26승 11무 20패 | 84시즌 우승, 86 아시아챔피언스리그 우승 86 아프로아시안클럽챔피언십 우승 |
4대 | 1987년 ~ 1989년 | 이차만 | 87시즌 우승 | |
5대 | 1990년 | 프랑크 엥겔 | K리그 최초 외국인 감독 | |
6대 | 1991년 | 비츠케이 | K리그 우승 후 경질 | |
7대 | 1992년 | 이차만 | ||
8대 | 1992년 ~ 1994년 | 조광래 | 감독대행 중 승격 | |
9대 | 1988~1989, 1994년 ~ 1995년 | 김희태 | 감독대행 중 승격 | |
10대 | 1996년 | 샤키 세큘라치치 | ||
11대 | 1997년 ~ 1999년 | 이차만 | 97 K리그, K리그 컵대회 3개대회 동시석권 98 컵대회 우승 | |
12대 | 2000년 | 김태수 | 현대산업개발로 팀이 매각되면서 감독직 고사 | |
13대 | 2000년 ~ 2002년 | 김호곤 | ||
14대 | 2003년 ~ 2006년 | 이안 포터필드 | 2004년 FA컵 우승 | |
15대 | 2006~2007년 | 엔디 에글리 | ||
16대 | 2007년 | 박성화 | 1승 0무 0패 | 13일만에 감독직 사임, |
17대 | 2008년 ~ 2010년 | 황선홍 | ||
18대 | 2011년 ~ 2012년 | 안익수 | ||
19대 | 2013년 ~ 2015 | 윤성효 | ||
20대 | 2015년 ~ 2016년 | 최영준 | ||
21대 | 2017년 | 조진호 | ||
22대 | 2018년 | 최윤겸 | ||
23대 | 2019년 ~ 2020년 | 조덕제 | ||
24대 | 2021년 ~ 2022년 | 페레스 | ||
25대 | 2022년 ~ 2024년 | 박진섭 | ||
26대 | 2024년 ~ | 조성환 |
협약 연도 | 명칭 | 코치진 | 비고 |
---|---|---|---|
축구교실 슛돌이 | |||
축구교실 슛돌이 동래 축구교실 슛돌이 영도 |
부산 아이파크유소년 코치 | 어린이 축구교실 | |
초등부 (U-12) | |||
2003년 | 부산 아이파크 U-12 | 정수진 감독 김창현 코치 |
|
중등부 (U-15) | |||
2006년 | 신라중학교 축구부 | 고병운 감독 정주완 코치 | |
2015년 | 낙동중학교 축구부 | 임종욱 감독 이지호 코치 |
|
고등부 (U-18) | |||
2007년 | 동래고등학교 축구부 | ||
2011년 | 개성고등학교 축구부 | 최광희 감독 |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참고[편집]
|